(1) |
우리말에서 음절의 끝에서 발음되는 자음(대표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일곱 뿐이다. |
① |
박[박], 밖[박], 부엌[부엌] : ㄱ, ㅋ, ㄲ → [ㄱ] |
② |
간[간], 반[반] : ㄴ→[ㄴ] |
③ |
낟[낟], 낱[낟], 낫[낟], 났(다)[낟], 낮[낟], 낯[낟], 히읗[히읃] : ㄷ, ㅌ, ㅅ, ㅆ, ㅈ, ㅊ, ㅎ→[ㄷ] |
④ |
말[말], 발[발] : ㄹ→[ㄹ] |
⑤ |
밤[밤], 섬[섬] : ㅁ→[ㅁ] |
⑥ |
법[법], 숲[숩] : ㅂ, ㅍ→[ㅂ] |
⑦ |
방[방], 정[정] : ㅇ→[ㅇ] |
(2) |
음절의 끝에 겹받침이 올 경우, 겹받침은 대표음으로 발음한다. |
① |
겹받침 중 앞자음으로 발음되는 것 : 값[갑], 삯[삭], 앉(다)[안(따)], 않(다)[안(타)], 섧(다)[설(따)], 곬[골], 훑(다)[훌(따)], 닳(다)[달(타)] |
② |
겹받침 중 뒷자음으로 발음되는 것 : 삶[삼], 읊(다)[읖다→읍(따)] |
③ |
불규칙적인 것 : 읽(고)[일(꼬)], 읽(지)[익찌] / 넓(다)[널(따)], 넓(죽하다)[넙(쭈카다)] |
(3) |
다음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음절이 오는 경우 |
① |
다음에 오는 형태소가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같은 형식 형태소일 경우에는 그대로 다음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겹받침의 경우에는 첫째 자음은 그냥 두고, 둘째 자음만을 다음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예) 옷이[오시], 삶이[살미] |
② |
다음에 오는 형태소가 실질 형태소일 경우에는 7개의 자음 중 하나로 바꾼 후 다음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예) 옷 아래[옫아래→오다래] |
자음과 자음이 만나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한쪽이나 양쪽 모두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발음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해 생겨난 음운 현상이다.
|
① |
동화 정도에 따라
|
- |
완전 동화 : 두 자음이 같은 음운으로 완전히 동화된 경우
(예) 신라[실라], 밥물[밤물]
|
- |
불완전 동화 : 두 자음이 비슷한 음운으로 동화된 경우 (예) 국물[궁물], 십리[심니]
|
② |
동화의 방향에 따라
|
- |
순행 동화 : 뒷자음이 앞자음을 닮아 바뀌는 경우 (예) 칼날[칼랄], 담력[담녁], 침략[침냑], 대통령[대통녕], 강릉[강능]
|
- |
역행 동화 : 앞자음이 뒷자음을 닮아 바뀌는 경우 (예) 국난[궁난], 입는[임는], 닫는[단는], 먹는[멍는], 광한루[광할루]
|
- |
상호 동화 : 앞뒤 다음이 모두 바뀌는 경우 (예) 국력[궁녁], 백로[뱅노], 백리[뱅니], 협력[혐녁]
|
① |
'ㅂ, ㄷ, ㄱ'+ 'ㅁ, ㄴ'→[ㅁ, ㄴ, ㅇ]+'ㅁ, ㄴ' →'ㅂ, ㄷ, ㄱ'이 'ㅁ, ㄴ' 앞에서 [ㅁ, ㄴ, ㅇ]으로 바뀌는 현상 (예) 입는[임는], 밥물[밤물], 닫는[단는], 국물[궁물]
|
② |
'ㅂ, ㄷ, ㄱ'+ 'ㄹ'→[ㅁ, ㄴ, ㅇ]+[ㄴ] → 'ㅂ, ㄷ, ㄱ'과 'ㄹ'이 만나, 먼저 'ㄹ'이 [ㄴ]으로 바뀌고, 이렇게 변해서 된 [ㄴ]을 닮아서 그 앞의 'ㅂ, ㄷ, ㄱ'이 다시 [ㅁ, ㄴ, ㅇ]으로 바뀌는 현상 (예) 급류[금뉴], 몇 리[면니], 백로[뱅노]
|
③ |
'ㅁ, ㅇ'+ 'ㄹ'→ 'ㅁ, ㅇ'+[ㄴ] → 'ㅁ, ㅇ'뒤의 'ㄹ'이 [ㄴ]으로 바뀌는 현상 (예) 담력[담녁], 종로[종노]
|
④ |
'ㄹ'+ 'ㄴ'→[ㄹ]+[ㄹ] 또는 'ㄴ'+ 'ㄹ'→[ㄹ]+[ㄹ] →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ㄴ'이 [ㄹ]로 바뀌는 현상 (예) 신라(실라), 칼날(칼랄)
|
끝소리가 'ㄷ, ㅌ'인 형태소가 'ㅣ' 모음을 만나 'ㅈ, ㅊ'으로 바뀌어 소리나는 현상. 치조음 'ㄷ, ㅌ'이 'ㅣ' 모음을 만나면 모음 'ㅣ'의 영향을 받아 그것과 가까운 위치에서 소리나는 구개음 'ㅈ,ㅊ'으로 바뀌어 생겨난 음운 현상이다. 즉, 구개음화는 소리나는 위치가 다른 두 음운('ㄷ, ㅌ'과 'ㅣ') 사이의 거리를 좁혀 좀더 편하고 쉽게 발음하려는 데에서 비롯된 것이다. (예) 해돋이[해도지], 굳이[구지], 피붙이[피부치]
두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 소리나는 것 |
(1) |
자음의 축약 :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ㅋ, ㅌ, ㅍ, ㅊ'으로 변하는 현상. 표기에는 반영이 안 된다. (예) 낳다[나타], 낳고[나코], 국화[구콰], 닫히다[다치다] |
(2) |
모음의 축약 : 'ㅣ+ㅏ→ㅑ, ㅣ+ㅓ→ㅕ, ㅡ+ㅣ→ㅢ, ㅗ+ㅣ→ㅚ, ㅜ+ㅣ→ㅟ, ㅗ+ㅏ→ㅘ, ㅜ+ㅓ→ㅝ, ㅚ+ㅓ→ㅙ'와 같이 두 모음이 하나의 모음으로 합쳐지는 현상. 표기에 반영이 된다. (예) 가리+어→가려, 오+아→와, 두+어→둬, 되+어→돼 |
두 음운이 만나면서 한 음운이 아예 사라져 소리나지 않는 현상. 용언이 활용할 때 또는 낱말과 낱말이 합쳐질 때에 이러한 현상이 종종 나타난다. |
① |
동음 탈락 : 이어진 동음 중 앞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 (예) 간난→가난 |
② |
'ㄹ' 탈락 : 'ㄴ, ㄷ, ㅅ, ㅈ' 앞에서 'ㄹ'이 탈락하는 경우 (예) 딸님→따님, 말소→마소, 울짖다→우짖다 |
③ |
'ㅅ' 탈락 : 모음 앞에서 'ㅅ'이 탈락하는 경우 (예) 긋+어→그어, 낫+아→나아 |
④ |
'ㅎ' 탈락 : 모음이나 'ㄴ' 앞에서 'ㅎ'이 발음되지 않는 경우 (예) 좋+은→좋은[조은] |
① |
동음 탈락 : 이어진 동음 중 뒷모음 생략 (예) 가+아→가 |
② |
'으' 탈락 : 어미 '-아/-어' 앞에서 탈락 (예) 끄+어→꺼 |
③ |
'우' 탈락 : 어미 '-어' 앞에서 탈락 (예) 푸+어→퍼 |
④ |
'어' 탈락 : 어미 '-ㅔ/-ㅐ' 뒤에서 탈락 (예) 깨+어→깨 |
⑤ |
'아' 탈락 : '하다'의 어간 '하'에서 탈락 (예) 흔하+지→흔치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