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넷째주 일요일 (10/22)
조남선 교수님을 모시고 강원도와 경기도 일부를 답사하고자 합니다.
세(勢)로써 용(龍)을 보고
형(形)으로 혈(穴)을 본다.
세(勢)란 신(神)이 나타난 것이요
형(形)이란 정(精)이 나타난 것이다.
세(勢)가 아니면 용(龍)의 신(神)을 볼 수 없다.
형(形)이 아니면 혈(穴)의 정(精)을 살필 수 없다.
고로 조종(祖宗)은 용발지세(聳拔之勢)가 필요하고
낙맥(落脈)은 강하지세(降下之勢)가 필하고
출신(出身)은 병장지세(屛障之勢)가 필요하고
과협(過頰)은 둔질지세(?跌之勢)가 필요하고
행도(行道)는 기복곡절지세(起伏曲折之勢)가 필요하고
전신(轉身)은 후탱전추지세(後撑前趨之勢)가 필요하다.
또 용(踊), 약(躍), 분(奔), 등(騰)은 말이 달리는 것과 같은 기세이고
급(級), 평(平), 포(鋪)는 물결의 파(波)와 같은 기세이다.
이러한 기세가 있으면 진용(眞龍)이요, 이러한 세가 없으면 가룡(假龍)이 되고
비록 산맥이 있어도 황량한 죽은 나무들 무리에 불과하고
비록 혈(穴)의 형태가 있어도 필시 가혈(假穴)이다. 이것이 정한 이치다.
세(勢)를 살피는 법(法)은 먼저 높은 곳에 올라보라.
그 다음에 용(龍)을 따라와서 재차 좌우를 살펴라.
대면(對面)하고 있으면 용신이 드러난곳(眞神顯露之處)은 달려와서 멈추어 모인 곳이다.
자연 가히 득하고 깨달을 수 있다.
형(形)을 살피는 법(法)을 보자.
마땅히 원(圓), 편(偏), 곡(曲), 직(直), 방(方), 요(凹)의 육체(六體)를 판단하고
그 와(窩), 겸(鉗), 유(乳), 돌(突)의 4격(四格)을 연구하고
재차 승금(乘金), 상수(相水), 혈토(穴土), 인목(印木)의 법(法)으로 증거한다.
즉 혈정(穴情)은 자연 숨기 어렵다.
윗 글과 같이 세(勢)와 형(形)을 살펴서
용의 위이와 기복을 살피고 결인속기처의 송영사를 확인하고,
와, 겸, 유, 돌의 어느곳에 속하는지
또 혈증은 있는지를 공부할 좋은 기회가 되리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조선의 마지막 황후인 명성황후의 생가를 방문해서 양택의 발복도 공부하실 수
있겠습니다.
회원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합니다.
일시 : 2006년 10월 22일 일요일 08:00
장소 : 협회 사무실 (대한지적공사건물)
지하철 탄방역에서 내려서 2번출구로 오시면 됩니다.
회비 : 삼만원 (여성회원 이만원)
준비물 : 간편한 복장. 나경패철. 필기구.
1. 원천석(元天錫, ? - ? , 운곡 耘谷)
본관 원주. 고려 수절신
고려말 세상의 어지러움을 보고 사적을 기록한 야사 6권을 저술, 가묘에 몰래 안치해 두었으나 그 증손이 화를 입을까 두려워 소각하고 지금은 다만 시집 2권만이 전함
묘 : 원주시 행구동 산37 소재 (묘비명 '高麗國子進士元天錫之墓')
2. 김제남[金悌男]
1562(명종 17)~1613(광해군 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공언(恭彦). 증조부는 영의정 전(詮)이며, 아버지는 증(贈)영의정 오()이다.
1585년(선조 18) 사마시에 합격하고 1594년 의금부도사·공조좌랑을 거쳐, 1596년 연천현감을 지냈다. 1597년 별시문과에 급제한 뒤 1601년 정언·헌납·지평을 거쳐 이조좌랑이 되었다. 1602년 둘째딸이 선조의 계비(繼妃:인목왕후)가 됨으로써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로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에 봉해졌다. 광해군이 왕위에 오른 뒤 1613년 이이첨(李爾瞻) 등에 의해 인목왕후(仁穆王后)의 소생인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추대하려 했다는 공격을 받고 처형되었다. 1616년에 폐모론이 일어나면서 그 죄가 재론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 뒤에 복권되었으며 왕명으로 사당이 세워졌다.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의민(懿愍)이다.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에 신도비가 있다
3. 이기묘
강원도 문막에 위치한 돌혈
4.명성황후 생가
종목 : 시도유형문화재 46호
분류 : 고가
수량 : 1동
소재지 : 경기 여주군 여주읍 능현리 250-2
조선 고종(재위 1863∼1907)의 비 명성황후(1851∼1895)가 태어나서 16살 때까지 살던 집이다. 명성황후는 민치록의 딸로 철종 2년(1851)에 태어나 16살에 고종의 왕비가 되었다. 그 후 정치에 참여하여 개화정책을 주도해 나갔으나, 고종 32년(1895) 을미사변 때 일본인에 의해 살해되었다. 능은 청량리에 있었다가 1919년 고종황제가 세상을 떠나자 홍릉으로 함께 합장되었다. 명성황후 생가는 숙종 13년(1687)에 처음 지어진 집으로, 그 당시 건물로는 안채만이 지금까지 남아 보존되고 있다. 1996년에 안채는 수리되었고 행랑채 와 사랑채 , 별당채 등이 함께 지어져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 명성황후 생가는 조선 중기 살림집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집이다.
첫댓글 참석을 원하시는 분은 운영위원들께 연락바랍니다. 운영위원은 남정봉(017-402-6131) 이두영(016-460-7245) 오상영(010-3028-5000) 임광묵(011-375-3388)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회원님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성공리에 답사함을 감사드리며 유익한 하루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처음부터 끝까지 열성으로 가르쳐주신 조남선교수님께 마음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참석하신분: 고종성. 김기학. 남정봉. 백경애. 오홍근. 이백수. 이종우. 이두영. 임홍균. 주진헌. 허환. 김영철. 박미순. 윤경섭. 이길옥. 이숙자. 이애숙. 인금희. 임광묵. 이춘옥. 최흥수. 이나금. 이순옥. 송용근. 최인자. 오지연. 조은식. 이현순. 이충기 이상29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