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제균형이론(control balance theory)
1. 서론(Introduction)
통제균형은 통제균형 : 일탈의 일반이론에 대하여(Control Balance: Toward a General Theory of Deviance, Tittle 1995) 책에서 이론의 초기 진술을 제시한 Charles R. Tittle이 전개한 일탈행동의 독창적 이론이다. 1995년 출간후 이 책은 미국사회학협회와 미국범죄학회 둘 다로부터 뛰어난 학술상을 받았다. Tittle의 통제균형이론은 또한 학술회의의 초점과 몇몇 서평의 주제가 되었고 이론범죄학 저널에서 Tittle과 그 이론의 비판자들간에 두 번의 주고 받기에서 대서특필되었다. 초기 질풍같은 토론, 토의 및 연구에도 불구하고 오직 3개의 새로운 경험적 작품이 통제균형이론을 검증하여 2005년 이후 이론에 대한 관심은 줄어 들었다. 가설을 측정하고 검증할 기본자료를 위한 필요성과 결부된 통제균형이론의 복잡성은 이러한 새로운 진전을 설명할 수 있다. 통제균형이론은 ⑴ 다른 사람들과 사람의 환경이 개인의 행동선택을 제한할 수 있는 정도 및 ⑵ 개인이 이들 통제로부터 벗어나 다른 사람들에[ 대하여 통제를 행사하는 범위인 통제 관념을 전제로 하고 있다. 경험한 통제에 대해 행사된 통제율은 이론에서의 일탈의 중심원인인 통제율을 규성한다. 통제균형이론의 핵심주장은 통제율균형이 일탈에 대한 동기와 일탕행동에 대한 제약간의 불균형을 야기하므로 일탈과 연관될 것이라는 것이다. 통제균형은 두 유형의 관한 것일 수 있다: ⑴ 개인들이 행사할 수 있는 통제가 그들이 겪는 통제를 초과하는 것을 가리킨다. 받는 통제량에 의하여 초과될 때 일어나는 통제결핍(control deficits) 및 ⑵ 개인들이 행사할 수 있는 통제가 그들이 받는 통제량에 의하여 초과될 때 일어나는 통제잉여(control surpluses)이다. 중요하게도 이론의 초기 진술에서 통제결핍은 (거리범죄에 유사한) “억압적” 유형의 일탈에만 영향을 미치는 반면 통제잉여는 (화이칼러범죄와 엘리트일탈에 유사한) “자율적” 일탈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된다. 통제율은 행사된 통제와 경험한 통제가 같은 균형점에 접근하므로 일탈동기와 일탈에 대한 제약이 균형될 것이므로 일탈은 덜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통제균형이론의 직접 검증은 통제결핍과 통제잉여 둘 다 억압적 또는 자율적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일탈과 결부되는 경향이 있었다. 통제율과 다른 이론적 변수간 우연적 또는 인과적 관계를 검토한 검증은 지지하는 경향이었고 또한 대체로 문제가 된 일탈 유형과는 관계가 없었다. 경험적 연구결과와 출판된 비판적 평가에 반응하여 Charles R. Tittle은 2004년 개정판에서 억압적 또는 자율적 일탈의 유형론을 제거한다. 대신에 그는 주어진 일탈행위가 통제율불균형을 개선하는 데 얼마나 효과가 있고 그것이 얼마나 몰인적인지를 나타내는 일탈의 “통제균형 바람직성”의 개념을 전개한다. 행위자들로부터 보다 적은 직접 관여를 요구하고 (성공적으로 완수되면) 통제불균형에 실질적 개선을 가져올 것 같은 일탈은 보다 큰 통제균형바람직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전이론을 검증한 어떤 연구도 발표되지 않았다.
Control balance is an original theory of deviant behavior developed by Charles R. Tittle, who presented the initial statement of the theory in his book, Control Balance: Toward a General Theory of Deviance (Tittle 1995, cited under Initial Statement of the Theory). Following its 1995 publication, the book received distinguished scholarship awards from both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the American Society of Criminology. Tittle’s control balance theory also became the focus of scholarly conference sessions and the subject of several book reviews (Savelsberg 1996, cited under Theoretical Development), and it was featured in two exchanges between Tittle and critics of the theory in the journal Theoretical Criminology (Braithwaite 1997 and Tittle 1997, cited under Theoretical Development). In the ten years following its publication, a dozen journal articles empirically tested various hypotheses and other features of the theory, and Tittle published a major revision of the theory in 2004 (Tittle 2004, cited under Theoretical Development). In spite of this initial flurry of debate, discussion, and research, attention to the theory has waned since 2005, with only three new empirical pieces testing control balance theory. The complexity of control balance theory, combined with the need for primary data to measure and test hypotheses, may account for this development. Control balance theory is predicated on the idea of control, which is (1) the degree to which others and a person’s surroundings can limit an individual’s behavioral options and (2) the extent to which an individual can escape from these controls and exercise such controls over others. The ratio of controls exercised to controls experienced constitutes the control ratio, which is the central cause of deviance in the theory. The key assertion of control balance theory is that control ratio imbalances will be associated with deviance because they will lead to an imbalance between motivation toward deviance and constraints on deviance behavior. Control imbalances can be of two types: (1) control deficits, which occur when the control that individuals can exercise is exceeded by the amount of control to which they are subject, and (2) control surpluses, which indicate that the controls that individuals can exercise surpass the controls they experience. Importantly, in this initial statement of the theory, control deficits are hypothesized to impact only “repressive” types of deviance (similar to street crime), whereas control surpluses should affect only “autonomous” deviance (analogous to white-collar crime and elite deviance). As control ratios approach a balanced point, in which controls exercised and controls experienced are equal, deviance becomes less likely, because deviant motivation and constraints on deviance will be balanced. Direct tests of control balance theory, however, showed that both control deficits and control surpluses tended to be associated with deviance,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repressive or autonomous. Tests that examined contingent or causal chain relationships between control ratios and other theoretical variables also tended to be supportive and, again, generally without regard to the type of deviance in question. In response to empirical findings and published critical appraisals, Charles R. Tittle removes the typology of repressive and autonomous deviance in his 2004 revision. In its place, he develops the concept of the “control balance desirability” of deviance, which represents how effective a given deviant act is at improving a control ratio imbalance and how impersonal it is. Deviance that requires less direct involvement from actors and that (if successfully completed) is likely to result in substantial improvements to a control imbalance is seen as having greater control balance desirability. However, to date, no research that tested the revised theory has been published.
2. 이론의 초기 진술(Initial Statement of the Theory)
통제균형이론은 개인들의 행동의 심각성은 물론 개인일탈에서의 변화를 설명하려고 노력한다. 많은 다른 이론들과는 다르게 통제균형은 청소년비행과 다른 거리 범죄유형 뿐만 아니라 종종 화이트컬러범죄 또는 엘리트 일탈로 불리는 영향력있는 행위자들의 일탈도 설명하려고 한다. 게다가 통제균형이론은 또한 모집단 전체를 초월한 일탈에서의 변화를 다루나 이론의 이 점은 별로 관심을 받지 못했다. Tittle 1995는 서로 다른 일탈행위들이 그것들이 억압적인가 또는 자율적인가는 물론이고 이들 유형내에서 그것들의 심각성에 따라 범주화될 수 있는바에 의하여 일탈행동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수반되는 유형론을 제시한다. 일탈은 행위자의 통제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단적 행동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론의 핵심은 통제률이 점차로 불균형함에 따라 일탈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다른 인과적 과정변수 대한 통제율의 영향 특히 일탈동기와 일탈행동에 대한 제약에서 비롯된다. 이론의 이러한 초기 공식화에서 통제율불균형은 또한 중요한 개정인 Tittle 2004에서 제거되고 “통제균형바람직성”의 관념에 의하여 대체된 규정인 개인이 행하는 일탈의 삼각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이론화되어 있다.
Control balance theory endeavors to account for variation in individual deviance, as well as the seriousness of these actions. Unlike many other theories, control balance seeks to explain not only adolescent delinquency and other street-crime types of deviance, but also the deviance of powerful actors, often called white-collar crime or elite deviance. In addition, control balance theory also addresses variation in deviance across population aggregates, but this aspect of the theory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Tittle 1995 provides a new definition of deviant behavior and an accompanying typology by which different deviant acts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whether they are repressive or autonomous, as well as their seriousness within these types. Deviance is portrayed as instrumental behavior that is employed in an effort to improve the actor’s control ratio. The crux of the theory is that deviance will increase as control ratios become increasingly imbalanced. This results from the effect of control ratios on other causal process variables, particularly deviant motivation and constraints on deviant acts. In this original formulation of the theory, control ratio imbalances are also theorized to affect the seriousness of the deviance that individuals perform, a provision that is removed in Tittle 2004, a major revision (cited under Major Revision) and replaced by the idea of “control balance desirability.”
3. 이론적 전개(Theoretical Development)
통제균형이론은 이론적 비판의 수준과 그것이 학자들간에 자극한 토론으로 유명한다. 그 이론에 초점을 맞춘 26개 연구 발행물중에 including three replies or revisions from Charles R. Tittle로부터의 3개의 답변 또는 개정을 포함하여 7개만 비판 및 서평이다. 비판은 주로 ⑴ 일탈에 대한 Tittle의 새로운 개념(Savelsberg 1996); ⑵ 억압적 및 자율적 일탈의 유형론(Braithwaite 1997, Jensen 1999); ⑶ 단순한 이론을 종합적 통합이론으로 대체할 필요성에 대한 Tittle의 주장(Savelsberg 1999); 및 ⑷ 통제균형이론의 복잡성에 의하여 제기된 난제들(Savelsberg 1996)에 초점을 맞춘다. Tittle은 2개의 주요 반응을 전개한다. 첫째, 그것이 불완전하고 인정하는 반면 Tittle 1997과 Tittle 1999는 특히 그 이론과 관련하여 일탈에 대한 자기의 개념을 유용하다고 옹호한다. 둘째, Tittle 2004는 저자의 독창적인 일탈유형론을 포기하고 일탈행위의 “통제균형 바람직성”의 관념으로 대체한다. 이것은 일탈행위가 ⑴ 통제율불균형을 개선하는데 유효하고 ⑵ 몰인적인 정도의 기능이다. 중요하게도 Tittle 2004는 통제균형이론을 일탈행위는 물론 준봉적이고 순종하는 행동의 하나로서 개조하고 Tittle 1995에서 처음으로 제시된 개념과 관계를 수정하는데 특히 두드러진 것이 보다 많은 통제균형인과과정에 대한 자기통제의 보다 더 현저성이다. 그러나 Tittle 2004 이후로 새로운 연구는 거의 발표되지 않았으나 Williams 2008은 컴퓨터범죄에 대한 그 이론의 사려깊은 적용을 제시한다. 어떤 경험적 연구도 별도의 경험적 확인을 요하는 일탈의 통제균형 바람직성을 다루지 못했다.
Theoretical Development
Control balance theory is notable for the level of theoretical criticism and debate that it stimulated among scholars. Of the twenty-six research publications that focus on the theory, eleven are critiques and book reviews, including three replies or revisions from Charles R. Tittle. Criticisms largely focus on (1) Tittle’s new definition of deviance (Savelsberg 1996); (2) the typology of repressive and autonomous deviance (Braithwaite 1997, Jensen 1999); (3) Tittle’s argument for the need to replace simple theory with synthetic integrated theory (Savelsberg 1999); and (4) the challenges posed by control balance theory’s complexity (Savelsberg 1996). Tittle develops two key responses. First, while admitting it is imperfect, Tittle 1997 and Tittle 1999 defend his definition of deviance as useful, especially in relation to his theory. Second, Tittle 2004 abandons the author’s original typology of deviance and replaces it with the notion of a deviant act’s “control balance desirability,” which is a function of the degree to which the deviant act is (1) effective at improving a control ratio imbalance and (2) impersonal. Importantly, Tittle 2004 recasts control balance theory as one of conforming and submissive actions as well as deviant behavior and modifies some concepts and relationships originally presented in Tittle 1995 (cited under Initial Statement of the Theory)—particularly notable is the greater prominence of self-control for the larger control balancing causal process. Since the Tittle 2004 revision, however, very little new research has been published, but Williams 2008 presents a thoughtful application of the theory to computer crime. No empirical research has been done addressing the control balance desirability of deviance, which requires separate empirical verification.
4. 주요한 개정(Major Revision)
Tittle 2004는 잉여든 결핍이든 일탈심각성에 관계없이 또는 일탈이 억압적인가 자율적이든 통제불균형은 모든 유형의 일탈에 관계된다고 이제 주장한다. 게다가 독창적 일탈이론은 일탈의 통제균형바람직성의 관념속에 통합되어 있는데 이것은 “⑴ 통제뷸균형을 바꿀 문제가 된 일탈행위의 있음직한 장기효과성 및 ⑵ 주어진 형태의 나쁜 행위가 범죄자에게 일탈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피해자 또는 대상과 직접 및 몸소 관여를 요하는 정도”를 말한다.(Tittle 2004, p. 405). 통제불균형에 대한 최장기 영햐을 미치고 가장 몰인적인 일탈은 최대의 통제균형바람직성을 갖고 통제율에 대한 가장 실질적인 개선을 낳을 수 있을 것이다. 별도의 경험적 연구는 다양한 일탈행위의 통제균형바람직성을 평가하고 그것들을 다양한 범위를 나눌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제 통제균형의 핵심은 (다른 인과과정 변수와 관련하여) 통제율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되는 개인이 행하는 일탈행위의 통제균형 바람직성의 일반적 범위에 초점을 맞춘다. 자기통제는 이 개정판에서는 주어진 보다 큰 현저성이다. Tittle은 새로운 통제균형과정은 일탈행위가 그들의 통제율에 대하여 미치는 장기효과를 더 잘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들이 고자기통제를 갖는 범위로 이론화되어 작동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개정판이 제시한 문제들은 초기 공식화 못지 않게 복잡한 인과과정을 포함하여 가정과 측정에 대한 난제와 이론을 검증할뿐만 아니라 일탕행위의 통제균형 바람직성의 평가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연구자들은 개정판의 통제균형 바람직성을 경험적으로 또는 이론적 비판으로서 다루어야 한다.
Tittle 2004 (cited under Theoretical Development) now argues that control imbalances, whether surpluses or deficits, are related to all types of deviance, regardless of deviance seriousness or whether the deviance is autonomous or repressive. Moreover, the original deviance typology (Tittle 1995, cited under Initial Statement of the Theory) is merged into the idea of the control balance desirability of deviance, which refers to “(1) the likely long range effectiveness of the deviant act in question for altering a control imbalance and (2) the extent to which a given form of misbehavior requires the perpetrator to be directly and personally involved with a victim or an object that is affected by the deviance” (Tittle 2004, p. 405). Deviance that has the greatest long-term impact on control imbalances and that is most impersonal has the greatest control balance desirability and will produce the most substantial improvements to control ratios. Separate empirical research will need to assess the control balance desirability of various deviant acts and divide them into different ranges. The heart of control balancing now focuses on the general range of control balance desirability of deviant acts that individuals perform, which are predicted to be affected by control ratios (in conjunction with other causal process variables). Self-control is given greater prominence in this revision. Tittle argues that the new control balancing process will tend to operate as theorized to the extent that individuals possess high self-control, because they are better able to judge the long-range effects that a deviant act might have on their control ratios. Problems presented by the revision include a causal process that is no less complex than the original formulation, posing challenges to hypothesizing and measurement, and the need for primary data to assess the control balance desirability of deviant acts as well as to test the theory. Researchers have yet to address, either empirically or in theoretical critiques, the revised version of control balance theory.
5. 경험적 검증(Empirical Tests)
The empirical results of Tittle의 통제균형이론의 경험적 결과는 통제율과 일탈간에 꽤 일치하는 모습을 낳는다. 거의 모든 사례에서 분석된 일탈행위에 관계없이 그리고 Tittle의 유형론에 따라 그것이 억압적이든 자유적이든) 통제결핍과 통제잉여 둘 다 이들 행동과 긍정적 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나 통제균형아론의 Tittle의 초기 진술의 주요한 혁신적 특징은 일탈유형이 통제잉여 또는 통제결핍이 일탈에 영향을 미칠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억압적 일탈은 통제결핍이 강화되면 증가할 것이고 자율적 일탈은 통제잉여가 커지면 증가할 것이다. 이리하여 통제결핍과 통제잉여 둘 다 예를 들면 폭행을 저지를 용의와 약물 사용의 빈도와 관련되어 통제결핍에 관한 유일한 결과는 초기이론을 지탱한다(통제잉여을 위한 결과는 이론적 에측과 모순된다). 이론적 비판은 물론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응하여 Tittle은 “일탈의 통제균형 바람직성”의 관념으로 대체하기 위하여 균형유형론을 개정하였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이 이론의 새로운 공식화를 다루어야 한다. 기본적 통제율일탈연관 넘어선 문제를 검토하는 연구는 이 연관이 이론에 의하여 예측한 구체적 우발사건과 조건하에서 더 설득력이 있다고 확인하는 경향이 있다. 어떤 노력도 거시차원에서 통제균형이론을 검증하지 못했다. 연구결과 외에도 많은 두드러진 방법론적 쟁점들이 경험적 문헌에서 논의되어 있다. 첫째, 통제율은 개념화가 직접검증을 위한 1차자료의 사용을 요하는 새롭고 혁신적 개념을 나타낸다. 둘째, 결과로서 대부분의 연구들은 보통 대연구결과를 꽤 제한된 집단에 한정하는 대학생을 편의표본을 사용하였다. 셋째, Third, (이론에서의 많은 다른 변수는 물론) 통제율과 일탈간의 곡선의 이론적 관계는 결과를 분석하는 비선형적 회귀분석의 사용을 필요하게 하는데 이것은 아주 복잡하고 해석이 어렵고 여태까지 범죄학에서 거의 상요되지 않은 것이다. 넷째, 통제균형이론은 구체적 상황에 관련된 많은 변수를 사용하므로 많은 검증들은 실제 행동을 측정하기 보다는 반응자가 이러한 행동에 관여할 용의를 측정하개 하는 시나리오를 포함하고 있는 삽화를 사용했다. 특히 1차적 자료를 위한 필요성은일탈행위의 통제균형 바람직성을 검토할 별도의 1차자료를 위한 Tittle의 개정판이 특정한느 필요성은 물론 이론에 대한 관심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The empirical results of Tittle’s control balance theory (Tittle 1995, cited under Initial Statement of the Theory) produce a fairly consistent picture regarding the associations between control ratios and deviance. In nearly all cases, regardless of the deviant act analyzed (and whether it is repressive or autonomous according to Tittle’s typology), both control deficits and control surpluses evinc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se behaviors. However, a key innovative feature of Tittle’s original statement of control balance theory is that deviance type will determine whether control surpluses or control deficits will affect deviance. Specifically, repressive deviance will increase as control deficits intensify, and autonomous deviance will increase as control surpluses become greater. Thus, when both control deficits and surpluses are associated with, for example, the willingness to commit assault and frequency of drug use, only the results regarding control deficits support the original theory (the results for control surpluses contradict theoretical predictions). In response to such findings, as well as theoretical critiques (see Major Revision), Tittle revised control balance theory to replace the deviance typology with the concept of the “control balance desirability of deviance.” However, researchers have yet to address this new formulation of the theory. Studies that examine issues beyond the basic control ratio–deviance association tend to find that this association is stronger under specific contingencies and conditions predicted by the theory. No effort has tested control balance theory at the macro level. In addition to research findings, a number of salient methodological issues are discussed in the empirical literature. First, control ratios represent a new and innovative concept whose conceptualization requires the use of primary data for direct tests. Second, as a result, most studies used convenience samples, typically college students, which restrict a large proportion of findings to a rather limited group. Third, the curvilinear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control ratios and deviance (as well as many other variables in the theory) necessitates the use of nonlinear regression to analyze results, which is highly complex, difficult to interpret, and heretofore rarely employed in criminology. Fourth, because control balance theory employs a number of variables that pertain to specific situations, many tests have employed vignettes containing scenarios in which deviance might occur to measure a respondent’s willingness to engage in such deviance, rather than measuring actual behavior. In particular, the need for primary data may be contributing to the decline in attention to the theory, as well as the need stipulated by Tittle’s revision (Tittle 2004, cited under Theoretical Development) for separate primary data to examine the control balance desirability of deviant acts.
6. 일탈과 통제율간의 직접관계의 검증(Tests of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Deviance and Control Ratios)
대다수의 통제균형이론의 경험적 검증은 일탈과 통제율간의 가정된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이론의 완전한 복잡성을 탐구한 것은 아니지만 이들 연구는 이론의 가장 기본적이고 혁신적인 부분을 검토한다. 이 연구의 대다수는 1999년 Piquero와 Hickman에 의하여 처음 전개되고 2001년 Piquero에 의하여 정교화된 통제율의 직접측정을 사용한다. 몇몇 연구들은 대학생들이라는 편의 표본을 사용하나 다른 표본들은 경찰관(Hickman, et al. 2001)과 거리의 젊은이(Baron and Forde 2007, Baron 2010)를 포함한다. 나머지(Baron 2010; Baron and Forde 2007; Delisi and Hochstetler 2002; Hickman, et al. 2001; Hickman and Piquero 2001; Piquero and Hickman 1999)가 억압적 일탈행위에 관한 것이고 두 연구(Hickman and Piquero 2001, Piquero and Piquero 2006)는 자율적 유형의 일탈을 검토한다. 직접검증으로부터 조사결과는 그것이 억압적이건 자율적이건 통제잉여와 통제결핍은 일탈과 관련된다고 보통 보여주는데 이것은 Tittle의 통제균형이론의 초기 진술에 대한 혼합된 뒷밭침을 한다. 혁신적 연구는 범죄피해자화를 고찰한 2003년 Piquero와 Hickman, 성차별을 평가한 2001년 Hickman과 Piquero 및 엘리트일탈을 사용한 2006년 Piquero 와 Piquero에 의해서 행해졌다.
The majority of empirical tests of control balance theory focus on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 between deviance and control ratios. Although not exploring the full complexity of the theory, these studies examine the most fundamental and innovative part of the theory. Most of this research employs direct measures of control ratios developed initially by Piquero and Hickman 1999 and refined by Piquero, et al. 2001, cited under Methodological Research). Several studies use convenience samples of college students, but other samples include police officers (Hickman, et al. 2001) and street youth (Baron and Forde 2007, Baron 2010). Two studies examine autonomous types of deviance (Hickman and Piquero 2001, Piquero and Piquero 2006), with the remainder pertaining to repressive acts of deviance (Baron 2010; Baron and Forde 2007; Delisi and Hochstetler 2002; Hickman, et al. 2001; Hickman and Piquero 2001; Piquero and Hickman 1999). Findings from direct tests typically show that both control surpluses and control deficits are associated with deviance, regardless of whether it is repressive or autonomous, which provides mixed support for Tittle’s original statement of control balance theory (Tittle 1995, cited under Initial Statement of the Theory). Innovative studies have been done by Piquero and Hickman 2003 which examined crime victimization, Hickman and Piquero 2001 which assessed gender differences, and Piquero and Piquero 2006 which employed elite devi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