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군수사령부 창설지와 주둔지
육군 군수사령부 창설지 기념비 (1960년1월15일 창설)
(양정동 라이온스 공원내 기념비 건립 2012.5.31)
연산동 군수기지사령부 (1964년 이전, 현 부산시청 자리)
대연동 시절의 군수사령부 (1993년) (1974.10.1 연산동에서 이전)
부산 군수사령부에서 대전 군수사령부로 향하는 부대 이전 화물 차량 모습 (2007.2월)
부산 군수사령부 대전 이전후 황량한 모습 (2008년)
대전 군수사령부 조감도 (2006년)
대전 군수사령부에 도착한 부산 군수사령부 부대 이전 화물 차량 모습 (2007.2월)
대전 군수사령부 (2010년대)
육군 군수기지사령부 창설과 그 배경
근거
군수체제 개편 후 부산지역의 각 병과기지 군수지원부대 지휘 감독 및 지휘사항 조정
배경
1959년 1월 1일부로 제2군에서 담당하던 전군 군수지원임무가 육군본부 군수참모로 이관되어 군수지원의 결정권과 집행권
이 통합되었다. 그러나 전군 군수지원 책임을 부여받은 군수참모부장으로서 부산지역의 각 병과 군수지원시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가 곤란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각 병과기지 군수지원부대를 지휘감독하고 2종 시설의 공통지원 사항을 조정하여
전군의 군수지원 업무를 촉진하도록 하기 위해 1960년 1월 15일부로 군수기지사령부를 창설했다.
내용
가. 군수기지사령부의 창설
군수기지사령부가 창설되기 직전의 상황은 육군본부에 군수참모부장이 군수지원의 결정권과 집행권을 통합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각 병과 기술감을 통해 지원시설이 감독지휘되고 있었고, 병과간의 협조가 필요한 제반 군수활동의 조정 및 통제는
서울에 위치한 군수참모부장으로서는 불가능했다. 따라서 1960년 1월 15일 부산지역에 있던 제2관구사령부를 해체하여
육군 군수기지사령부로 개편창설했다.
나. 군수기지사령부의 주요업무
군수기지사령부는 육군 군수참모부장의 지시에 의거 전 육군부대의 군수지원을 촉진하기 위해 부산항만을 중심으로 한 육군
의 보급기지창, 생산창, 재생창, 그리고 각급 근무부대와 기술병과학교 및 부산지역의 기타 육군부대에 대한 업무를 감독하는
기능을 수행했다.
그 주요기능은 다음과 같다.
- 군수참모부장의 지시에 의해 육군의 효율적인 군수지원 촉진
- 부산지역 2종 군수시설의 행정업무운영 감독과 시설간 공통사항 조정 및 협조
- 2종 군수시설 지휘관의 육군방침 및 지시사항 실천상태 감독
- 부산지역 국지군수지원
다. 군수지원 업무의 변화
군수기지사령부의 창설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의 변화하는 군수상황에 효율적인 군수지원 업무를 기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각 병과의 보급 및 생산정비창이 육군본부 직할부대로서 각 기술병과의 병과기지사령부(병기, 병참, 수송)가
지원업무를 통제했기 때문에 군수기지사령부의 기술참모부와 병과기지사령부가 양립되어 전군 군수지원 집행업무를 수행
함에 있어 종합적인 통제조정이 현실적으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전군 지원에 관련된 보급, 생산 정비업무가 비효율적으로 운용되어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게다가 1970년대에
이르러 미 군원의 이관이 가속화되어 국고변조 군수물자의 비중이 증가되는 자립 군수상황으로 변화되고 전산제도를 군수
에 도입함으로써 군수관리 과학화가 추진되어 종전까지의 병과별 군수지원체제를 기능 통합제로 전환하는 것이 불가피했다.
이러한 군수상황의 변화에 따라 육군은 70년대초부터 군수체제 개편을 시행하고 각 병과의 군수지원 통제업무를 종합하고
군수시설을 지휘감독할 수 있는 강력한 군수기구의 창설이 요구되었다. 이에 병과종합 관리체제 개편 기본개념을 구현하기
위해 체제 개편에 앞서 1970년 12월 15일 군수기지사령부를 해체하고 동시에 군수사령부를 창설했다.
라. 군수사령부의 창설과 역할
국방부가 군수사령부를 창설하면서 국군 군수사령부로 편성하는 방안을 검토한 바 있었다. 그러나 각군의 이해관계를 고려
하여 우선 육군 군수사령부로 창설하여 각 기술병과 기지사령부에 분산돼 있던 전군지원 군수통제기능을 통합 편성하게 되었
다. 그러나 창설 초기에 전군 군수지원 책임과 함께 부산, 경남지역에 주둔한 부대에 대한 국지군수지원 책임과 함께 지역경계
임무까지 부여했기 때문에 군수기능을 전담하는 군수기능사령부로서의 역할은 지역작전을 담당할 제2관구사령부가 74년 4월
1일부로 재창설돼 지역작전 및 경계책임 임무를 제2관구사령부로 인계한 후인 1970년대 중반 이후에 가능했다.
군수기지사령부 창설2주년 기념식 1962.1.25 (장소 관계로 현 부산시청 자리에서 기념식 거행)
참고자료
국방부,«국방사»제1집, 2002.
육군본부,«육군조직발전사», 1997.
육군본부,«군수변천사», 1996
집필자
백기인(원광대 군사학부 외래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8. 09. 22
최초 주제 수정
2008. 0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