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대구서씨는 고려 중엽 후에 군기소윤공 휘 한을 시조로 하고 근 구백년에 이른 것이다. 그 이상을 더 거슬러 올라가 보면 신라 말엽에 휘 신일 아간공 이천서씨 시조가 계시고 여러 문헌에는 기자의 사십대손 기준(기자조선의 마지막 왕)이 이천에 정착하여 그 후손이 서신일이라 한다.
서신일의 자손이 이천을 본관으로하고 대구, 달성, 장성, 평창, 남평, 연산, 부여로 분파되어 본관을 달리하였다고 하나 부여서씨는 일설에 백제 의자왕자의 후손이라고도 한다.
우리 대구서씨는 이천에서 어느 때 누구로부터 갈려 나왔다는 확증할 만한 문헌의 고증이 없어 휘 한 고려조 군기소윤공이 대구서씨의 시조인 것이다. 그러나 대구서씨의 또 한 파가 있으니 고려말에 판도판서를 지내신 휘 진을 시조로 하는 판도공파가 있어 일컬어서 경파(京派)와 향파(鄕派)로 불리우기도 한다. 하여간 경파나 향파가 동조동근(同祖同根)인 것만은 분명하다.
우리 서문의 최초의 창보자 몽어상공께서도 경ㆍ향파 한계를 세대가 꽤 오래되어 문적이 없어서 밝힐 수 없으나 후일 다시 생각하라고 하였으나 이 밀은 그 세대를 감안할 때 한 조상의 자손이지만 경파ㆍ향파 운운한 것이 꽤 오래되어 밝히기 어려우니 후일에 다시 생각해서 동조동근임을 입증시켜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경파 보첩이나 향파 보첩에 현 달성공원이 서씨터로 되어 있으며 판도공보다 년대가 근 백년이 먼저이신 소윤공이 선조이심을 확인하였으니 동조동근인 대구서씨라면 경ㆍ향파를 따지기 전에 세대와 항렬을 일원화해서 형(兄), 숙(叔), 조(祖)의 호항(呼行)을 통일하는 것만이 근세의 우리의 해야 할 의무요, 향파와 경파라고 하는 좋지 않은 근본을 없애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한다.
성이 같고 같은 지방의 한 터에서 살았고 한 근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대구가 지방 명칭의 본명이라, 대구로 본관을 정하고 1세에 소윤공 한을 위시, 보책을 간행하면서 지방 명이 대구였던 것을 조선 초기에 달성으로 개명되었으므로 우리 선대 다수가 지명 따라 속칭 달성으로 많이 불러와 본관을 대구와 달성으로 혼용하는 사람이 많은 것이다.
세보에는 휘 한 소윤공 이하 오세는 무전으로 실전되었고 7세의 휘 익진께서 고려조 전객사사에서 부터 전해왔으나, 육대 실전부분에서 혹자는 대구서씨 파계도를 이천서씨의 41세손 기준이 위만에게 쫓겨 이천효양산에 입산하여 그 7세손이 익진으로 기록하였는가 하면, 사가공대가첩 원보라해서 향파를 종가로 표시하였는가 하면, 장원공파 일부 파보에는 다르게 기록되어 있는 듯도 한데 이렇게 오세 실전부분이 이러쿵 저러쿵하니 앞날을 위하여 실전이나 무전은 오세대가 없음이 아니고 있음인즉 빨리 우리 대에서 정의를 확정하여 자손에게 전수시켜서 뿌리가 흔들리는 우를 범하는 일이 없도록 함이 우리 후손된 도리로 생각한다.
고려 중엽 휘 한을 고려조 군기소윤공(중낭장으로서 현 병사구사령관급)께서 대구감사로 계시다가 그 당시 군기소윤으로 중부 국방부 예산지구 병사구 사령관으로 예산에 주둔하시었다. (현재도 예산역 서북사 200미터 지점에 예산 산성지가 옛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고 함)
수 85세를 일기로 타계하시고 산소를 예산군 대흥면 하탄방리 계좌(복계혈이라 칭한다)에 모시었으며 이 할아버지가 만천하에 대구서씨의 최초의 시조이시다.
그 후 근 600년 후인 1702년에 몽어상공(휘 문중)께서 우리 대구서씨의 최초 족보를 간행하실 때 휘 한 소윤공을 1세로 하고 이하 오세는 무전으로 실전되었고 소윤공조의 증손벌이 거의 확실한 휘 진 판도공까지도 누보가 되었음은 여러가지 사유가 있었겠으나 교통이나 통신이 현재같이 발달되지 못하였던 이유도 있었을 것으로(이 문제는 앞으로 경파와 향파의 대종회에서 조속히 정의가 내려져야 할 문제임) 그 후 7세의 휘 익진께서 고려조 전객사사, 8세가 휘 의 고려조의 호조전서로 계시다가 혁명으로 고려조가 붕괴되자 양대께서 은거하시다 9세의 휘 미성께서 비로소 조선조의 벼슬에 올라 안주목사가 되시고 보조좌리공신 달천부원군으 봉하시었고 아들 형제를 두시어 큰아드님이 휘 거광은 무과를 급제하시어 언양현감이 되시고 작은아드님 휘 거정은 문과에 급제하시어 육조판서를 거쳐 문장으로 양관 대제학을 23년 하시고 5대의 왕을 섬기시어 좌리공신 달성군에 봉하시어 당대에 명성을 높히셨다.
그러나 자손이 한미하여 언양공께서 아들 팽소, 팽려를 두셨고 팽소 장령공께서 4형제의 아들을 두셨으나 위로 3형제는 절손지경이고 넷째 휘 고 이조참의공께서도 4형제의 아드님을 두시었으나 역시 자손이 번창하지 못하고 세째 휘 해 호 함제공이 휘 성 호 약봉을 낳으시고 다음 해 졸하시니 서씨를 겨우 연장하는 정도로 미약하였다
비로소 약봉께서 아들 4장부와 손자 15명, 증손이 근 100여명이 되어 차츰 거족으로 번창하여 약봉을 위시하여 상신(相臣)이 9명, 증직상신(贈職相臣)이 11명, 중신(重臣)이 55명, 증직중신(贈職重臣)이 28명, 군위(軍尉)가 4명, 문형옥당(文衡玉堂)이 26명, 각신청환(閣臣淸宦)이 18명, 등단대장(登檀大將)이 6명, 명신(名臣)이 9명, 서원배향(書院配享)이 3명, 불비지전의 예위를 받으신 분이 4명, 대과급제가 140명, 소과급제가 355명, 무과급제가 305명, 관행직(官行職)이 1,400여명이라는 굉장한 수의 인물이 배출되었으며 3대 정승(종태, 명균, 지수), 그리고 3대 대제학(유신, 영보, 기순), 6대가 계승했고 7대 대과급제(명구, 효수, 유인, 준보, 노순, 상조, 병찬)를 연속했고 3대 문장(명응, 호수, 유거)등의 명사가 계셨으나 서씨로서 역적이 없고 대대로 벼슬이 끊이지 아니하고 조선조 말까지 이르렀으나 한일합방에 있어 치욕적인 일본국 작위를 받은 사람이 없어 또한 자랑거리라 하겠다.
서씨는 보수적이고 성격이 강직한 소치로 타성에 비하여 개화가 늦었으나 휘 광범, 휘 재필 두 분이 박영효, 김옥균 등과 같이 개화당을 조직하고 정부를 개혁한 바 있고 (즉시 번복되었음) 재필은 신문학에 전진하여 한국인으로서 최초로 미국의 박사학위를 한국 1호로 획득하였으며 지금은 우리 서씨에 박사학위를 받은 분이 부지기수이다.
조선조 중엽에 들어 동서남북 사색정파가 있었으니 약봉께서는 서인에 친하셨고 북인의 정인홍이 이미담 등의 간흉무고에 의하여 10여년의 유배를 당하시고 자손이 관직을 물러나기도 하였다.
인조반정으로 북인당파가 물러나고 서인파가 다시 복귀했으며 그 후에 노소로 파가 갈라지자 文자 항렬 당시 노론 소론으로 분파되었으나 조선조 말엽까지 노소 구별없이 조정에 참여하였다가 끝으로 출가하신 따님들의 특유한 사항을 첨기하자면 전첨공의 증손 휘 종제(달성부원군)의 따님이신 정성왕후께서 영조대왕의 왕후이시다.
나라 일에 공정을 기하시고 사사로움에 치우치지 아니하시며 국정이 어지럽고 왕실이 혼잡했을 때 엄정하게 중립을 지키시었으며 더우기 친가에도 심려하시어 안동에 있는 약봉고의 태실과 소호헌(함제공이 수학하시던 집)을 불미한 자손이 있어 타인에게 매도해 버린 것을 왕후께서 그 정상을 아시고 내탕전(왕후의 용전)을 내 주시며 환매하심으로 지금까지 서씨 종중 소유로 보존되고 있으며 현 정부에서 국보물 제 475호로 문화재로 지정되었고 1974년 정부로부터 보수경비를 지급받아 보수한 바 있다.
그리고 전첨공의 8대손 휘 경순의 따님이 여흥민씨 민겸호의 부인이사다. 부인께서는 민충정공 민영환을 낳으시니 우리나라가 일본국과 합병함을 반대하고 활복자살한 충신 민영환의 어머니시다.
고려 말 충신 포은 정몽주가 있고 조선조 말 충신 계정 민영환으로서 이 두 분은 충절의 혈죽이 솟아나서 우리나라를 세계 만방에 떨친 충신 중의 우뚝 솟은 충신이시다.
정성왕후와 민충정공의 어머니 정경부인이 두 분 다 약봉공의 후예이시니 본손과 외손을 망라하여 많은 인재가 배출되었음은 우연히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평소에 선조께서 후덕을 베푸신 여덕이라 할 것이다.
우리 후손들은 다시 옷깃을 여미고 선조께 경건한 마음으로 감사를 드리고 무언의 교시를 받들어야 함은 물론 선조의 장하신 빛을 길이 보존하여 이어받아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