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오석 부총리는 ’제3차 경제․민생활성화 대책회의(‘13.9.17(화) 07:30, 정부서울청사 19층 영상회의실)를 주재하고 ’최근 경제동향과 대응 방안‘과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2014년 재정투자방안‘를 논의하였음
< 최근 경제동향과 대응방안 >
□ (최근 경제동향) 최근 우리경제는 주요지표가 완만한 개선세를 보이고 있으나, 민간부문 회복모멘텀이 아직 확고하지 않은 상황
ㅇ 2/4분기 중 성장률이 9분기만에 1%대를 기록한 가운데, 수출․고용 등 주요 지표가 개선되는 모습
* 수출(전년동기비, %): (‘13.1/4)0.4 (2/4)0.8 (7월)2.6 (8월)7.7
* 취업자 증감(전년동기비, 만명): (‘13.1/4)25.7 (2/4)32.4 (7월)36.7 (8월)43.2
ㅇ 다만, 기업심리 위축 등으로 설비투자 부진이 지속되고 있어 향후 우리경제 회복에 부담으로 작용
-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경기적 요인외에 자금조달 애로 등으로 투자부진 지속 가능성
* 상반기 설비투자(전년동기비 △8.3%)는 ’00년대 들어 ‘01년 상반기(△8.6%), ’09년 상반기(△20.0%)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 시현
□ (대응방안) 기업투자 회복을 위하여 중소기업 금융․세제지원, 기업애로 해소 등 정책노력을 강화하는 가운데, 취약계층 지원 등 민생부담 경감 노력 지속
ㅇ (중소기업 투자지원) 시설자금 금융지원 확대, 한시적 세제지원 등 중소기업 투자 지원 확대
- ‘13년 정책금융기관을 통한 시설자금 공급계획(당초 32.8조원*)을 중소기업 중심으로 5.3조원 확대(대출 +3.4조원, 보증 +1.9조원)
* 시설자금 대출(산은․기은․정금공): 28.6조원, 보증(신․기보): 4.2조원
- 중소기업이 설비투자비용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도록 ‘13.9월~ ’14.3월 투자에 대한 감가상각률 확대
*(‘13.10월 법인세법 시행령 개정)
* 직전연도보다 투자액이 증가한 중소기업의 경우 ‘13.9월~’14.3월 투자에 대한 감가상각 내용연수 변동폭을 기준내용연수의 ±25% → ±50%로 조정
- (예시) 현재 기준내용연수가 8년인 자산의 경우 감가상각기간을 최대 6년(25%)으로 단축할 수 있으나, 4년(50%)까지 단축할 수 있도록 허용
- 중소제조업체의 공장자동화 기계․설비에 대한 관세감면을 ‘14.3월까지 확대(30→50%, ’13.10월 관세법 시행규칙 개정)
ㅇ (기업 현장애로 개선) 중소기업 옴부즈만, 현장방문 등을 통해 발굴한 32개의 기업 현장애로사항 개선
* 소상공인 사용 경유자동차 환경개선부담금 면제, 특허등록료 감면, 폐기물 부담금 감면기간 연장, 군산 산업단지내 중량물 야간운송시간 확대 등
ㅇ (주거․일자리 등 민생지원)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취약계층 일자리 지원 등 민생부담 완화 노력 강화
- 8.28 전월세 대책 관련 근로자․서민 주택구입자금 지원 등을 위한 국민주택기금 지원 확대(5천억원), 취업성공패키지 훈련비 등 고용보험기금 지원 확대(400억원) 등
<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2014년 재정투자 방안 >
□ 내년 예산안은 어려운 재정여건 下에서 재정건전성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경제활력을 적극 뒷받침할 계획
⇒ 우리 경제의 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4대 핵심과제 적극 지원
① (수출역량 강화) 중소․중견기업의 역량별․단계별 맞춤형 지원 강화(828→ 1,000억원), 해외건설․플랜트 수출지원(6,300억원), 농식품산업 해외수출지원(5,148→6,529억원) 확대
② (기업투자 활성화 유도) 신성장분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시설자금을 지원하는 창조경제 특별보증(2.0조원) 운용, 노후 산업단지 기능회복 (1,021→1,441억원) 지원 확대 등
③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쟁력 강화)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정책금융(82→95조원), R&D(8,387→8,860억원) 등 지원 확대
④ (창조경제 기반조성) 디지털콘텐츠 창업 지원을 위한 펀드 조성(신규 500억원), 창업선도대학(402→508억원) 등 지원 확대
□ ‘14년 정부 예산안에 반영하고, 금년내 집행계획을 수립하여 내년 초부터 속도감있게 집행 추진
Ⅱ. 세부 대응방안 |
◇ 기업투자 회복을 위한 금융․세제지원, 기업애로 해소 등 정책노력을 강화하는 가운데, 취약계층 지원 등 민생부담 경감노력 지속 |
1. 중소기업 투자 지원 |
2. 기업 현장애로 개선 |
◇ 중소기업옴부즈만, 경제단체 건의, 부총리 1박2일 현장방문(7.31~8.1) 등을 통해 발굴한 기업 현장애로사항 개선 |
3. 주거ㆍ일자리 등 민생지원 |
◇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취약계층 일자리 지원 등 민생부담 완화 노력 강화 |
민생안정지원 주요 사업내용
구 분 |
주요 내용 |
규모(조원) |
주거 안정지원(0.62조원) |
ㆍ주택구입과 전세자금 융자 확대(국민주택기금) |
0.50 |
ㆍ다세대․다가구 주택 융자 확대(국민주택기금) |
0.12 | |
취약계층 지원(0.07조원) |
ㆍ실업자와 근로자 능력개발 지원, 직장어린이집 지원(고용보험기금) |
0.04 |
ㆍ고령자고용연장지원금(고용보험기금) |
0.02 | |
ㆍ한부모가족자녀양육비(여성기금)ㆍ영유아 사전예방적 건강관리(건강증진기금) |
0.01 | |
환경․체육 등 지원(0.07조원) |
ㆍ환경기초시설 설치, 생태하천 복구 등(한강수계기금) |
0.02 |
ㆍ생활체육 인프라 조성(체육진흥기금) 등 |
0.03 | |
ㆍ문화재 소규모 발굴 등(문화재보호기금) |
0.01 | |
․장애체육인 복지사업(체육진흥기금) , 독립유공자 및 유족지원(순국선열 사업기금) 등 |
0.01 |
Ⅲ. 향후 추진계획 |
구 분 |
조치 사항 |
소관부처 |
추진일정 | |
1. 중소기업 투자 지원 | ||||
금융지원 |
정책금융 |
ㅇ 설비투자펀드 확대 등 설비 |
금융위 |
‘13.9월 |
세제지원 |
감가상각률 |
ㅇ 법인세법 시행령 개정 |
기재부 |
‘13.10월 |
수입자본재 |
ㅇ 관세법 시행규칙 개정 |
기재부 |
‘13.10월 | |
기금지원 |
ㅇ 관련 기금운용계획 변경 |
각 부처 |
‘13.9월~ | |
2. 기업애로 해소(※ 세부과제 추진계획 별첨) | ||||
자금·판매 애로 개선 |
중소기업 시설투자자금 대출기간 연장 |
ㅇ 정책자금 운영계획 변경 |
중기청 |
‘14.1월 |
특정주류도매업자 겸업제한 완화 |
ㅇ 주세사무처리규정 개정 |
국세청 |
‘13.12월 | |
건강기능식품 |
ㅇ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 |
식약처 |
‘13.12월 | |
부담금·수수료 등 완화 |
폐기물부담금 |
ㅇ 자원 절약·재활용 촉진법 |
환경부 |
‘14.12월 |
환경개선부담금 감면 |
ㅇ 환경개선비용 부담법 시행령 개정 |
환경부 |
‘13.12월 | |
중소기업 특허 연차등록료 부담 완화 |
ㅇ 특허료 등의 징수규칙 개정 |
특허청 |
‘14.6월 | |
4대 사회보험료 |
ㅇ 국민건강보험법 등 4대 사회보험 관련 법령 개정 |
복지부,노동부 |
‘14.4월 | |
불합리한 규제 합리화 |
자동차 종합검사 지정정비사업자 장비기준 완화 |
ㅇ 자동차종합검사의 시행 등에 관한 규칙 개정 |
국토부 |
‘14.6월 |
세탁업에 대한 환경 이중규제 단일화 |
ㅇ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개정 |
복지부 |
‘14.6월 | |
지역 현장애로 |
온산 국가산업단지 |
ㅇ 산단 실시계획 등 변경 |
울산시 |
‘13.10월 |
군산산단 중량물 운송 개선 등 |
ㅇ 야간운송허용 확인증 발급 |
군산시 |
’14.3월 ‘14.7월 | |
3. 주거ㆍ일자리 등 민생지원 | ||||
민생부담 경감 지원 |
ㅇ 관련 기금운용계획 변경 |
각 부처 |
‘13.9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