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관구 사령부(줄여서 관구 사령부) 부대마크1954.11.1 창설
제2야전군사령부(줄여서 2군사령부, 현재는 2작전사령부) 창설시 예하 부대로 함께 창설됨
제1군관구사령부 (현 육군교육사령부)광주시, 책임지역 : 전라도(호남권), 예하 사단 - 31사단,35사단
- 1960년 1월 해체, 전투병과교육사령부(창설)로 개편 ->1981년 교육사령부로 변경
- 교육사령부는 1951년8월 부산의 부산진초교에서 창설한 교육총감부 창설년도를 창립일로 기록하고 있음.
제2군관구사령부 (현 육군군수사령부)부산시, 책임지역 : 경상남도(동남권), 예하 사단 - 39사단
- 1960.01.15 해체,군수기지사령부(창설)로 개편 -> 1970.12.15 군수사령부로 변경
- 1974.04.01 2관구사령부 재창설 ->1982년 해체, 2관구예하 부산경비교육단('70년 창설)을 증편하여
1982년 53사단 창설(모체인 부산경비교육단 창설년도를 53사단 창설년도로 인정, 기록하고 있음)
제3군관구사령부 논산시, 책임지역 : 충청도, 예하 사단 - 32사단,37사단
- 1982년 관구사령부제 폐지로 해체
제5군관구사령부 (현 제5군수지원사령부)대구시, 책임지역 : 경상북도(대경권), 예하 사단 - 36사단,50사단
- 1982년 해체 ->5관구예하 군수지원단(5군지단)을 모체로 1986년10월.1일 5군수지원사령부 창설
제6군관구사령부 (현 수도군단)서울시, 책임지역 : 서울시및 경기도 남부, 예하 사단 - 30사단,33사단(현17사)
- 1974.3.1 해체, 경인지구방어사령부(창설)으로 개편, 3군으로 편입 -> 1975.8.1 수도군단으로 개편
경부고속도로 공사(1968.2.1~1970.7.7)시 투입된 건설공병단 요원들 모습(1201,1202,1203건설공병단)
1978년12월30일 건설공병단(1201,1202,1203,1205,1206,1207건공단)을
야전공병단(1115,1116,1117,1118,1119,1120야공단)으로 개편
육군 1,2,3하사관학교
1951.03.01 육군하사관학교 부산에서 창설,1951년7월 해체
1953.01.18 육군하사관학교 재 개교 경기도 양주군 태릉에서, 1955.02.20 해체
1953.05.25 2훈련소내 하사관교육대 창설, 1966년2월 해체
1961.09.27 육군 제1하사관학교(1군 하사관학교) 원주 현36사단 위치에서 창설, '81.10.31 해체
1966.02.04 육군 제2하사관학교(2군 하사관학교) 익산에서 창설, '81.10.10 해체
1973.10.20 육군 제3하사관학교(3군 하사관학교) 가평 현66사단 위치에서 창설, '81.10.31 해체
1981.10.10 육군 하사관학교(1,2,3하사관학교 통합) 익산 제2하사관학교 위치에서 창설
2001.03.27 육군 하사관학교 ==> 육군 부사관학교로 명칭 변경
33사단 부대마크, 번개부대 17사단 부대마크
1955.03.20. 강원도 양구군 적리에서 육본직할 33예비사단으로 창설
1955.05.07 인천시 부평구로 이동
1982.01.01 17사단으로 개편
38사단 부대마크 76사단 부대마크
1960.05.20. 원주 단구동에서 38향토사단으로 창설
1982년 38사단 해체. 76동원사단으로 개편. 주둔지 이동
2011.11.30. 76동원사단 해체.홍천
63사단 부대마크,봉화부대 55사단 부대마크
1975.09.10. 63훈련단 창설
1982년 63동원사단으로 개편
1987년 63동원사단 해체, 55향토사단으로 증편 창설
9군단 11군단
2군사령부 2작전사령부로 개편 2007.11.1 -> 9.11군단 해체, 예하부대 2작사 직할로 전환
9 군단 - 1987.4.1 창설 2군 예하 충청,전라권 부대 지휘 - 2007.10.31 해체
11군단 - 1987.4.1 창설 2군 예하 경남 경북권 부대 지휘 - 2007.10.31 해체
국방개혁2020 (2005.09.13 발표, 노무현 정부시절)에 의거 해체
101, 102, 103보병여단 해체
1980년대 90년대 초반, 전방 지역 경계및 방어임무를 위해 편성됨
101보병여단 - 1982년 창설 -> 2007.11.30 해체, 부근 사단으로 분할 합병
102보병여단 - 1988.06.01 창설 -> 2007.11.30 해체, 102기갑여단(창설07.12.1)으로 개편
103보병여단 - 1993년 창설(17사단103연대에서 수도군단 103여단으로 승격 개편)
2007.11.30 해체, 부근 사단으로 분할 합병
국방개혁2020 (2005.09.13 발표, 노무현 정부시절)에 의거 해체
205특공여단 해체
1984.10.01창설 - 2작사(11군단)예하로 창설 ->2008.11.30 해체(201.203특공여단으로 분산 귀속)
국방개혁2020 (2005.09.13 발표, 노무현 정부시절)에 의거 해체
국방개혁2020 (2005.09.13 발표, 노무현 정부시절)에 의거 해체
국방개혁307(2011.03.08 발표, 이명박 정부 시절)에 의거 해체
2019년 야전공병단 요원들의 문.부교 설치 모습
2작사 직할 1116공병단 2013년 해체(김해), 2작사 직할 1117공병단으로 통합
2작사 직할 1118공병단 2013년 해체(정읍), 2작사 직할 1115,1117공병단으로 분할 합병
306보충대(구101보충대)
-1952.02.17. 부산에서2보충대로 창설
-1958.11.30. 의정부시로 이전
-1960.02.20. 101보충대로 명칭 변경(경기도 전방지역 자대 배치의 대명사)
훈련소 훈련 종료후 3군지역 배치 병력, 자대 배치시 까지 대기하는 보충대
'70년대 후반 3군지역 사단 신병교육대 창설로 입소병력 보충대 역할 수행
(수도기계화,1,3,5,6,8,9.17,20,25,26,28,30,51,55사단 신교대 입소병력)
-1983.07.01. 306보충대로 명칭 변경
-2014.12월 해체, 사단 신병교육대 입소병력 신교대로 바로 입소
훈련소 훈련 종료 병력 자대로 바로 배치
102보충대(구103보충대)
-1951년 3월. 제주도 모슬포에서 제1훈련소로 창설
-1953.08.12. 춘천시로 이전
-1960.02.20. 103보충대로 명칭 변경(강원도 전방지역 자대 배치의 대명사)
훈련소 훈련 종료후 1군지역 배치 병력, 자대 배치시 까지 대기하는 보충대
'70년대 후반 1군지역 사단 신병교육대 창설로 입소병력 보충대 역할 수행
(2,7,11,12,15,21,22,23,27,36사단 신교대 입소병력)
-1983.07.01. 102보충대로 명칭 변경
-2016.10월 해체, 사단 신병교육대 입소병력 신교대로 바로 입소
훈련소 훈련 종료 병력 자대로 바로 배치
국방개혁안 (2014.03.06 발표, 박근혜 정부 시절)에 의거 해체
국방개혁2.0 (2018.7.27 발표, 문재인 정부)에 의거 해체
1군(1야전군)사령부 3군(3야전군)사령부
( 지상작전사령부 )
2019.01.01. 지상작전사령부(1군,3군 통합사령부)창설
1953.12.15. 1군사령부 창설->경기도,강원도 전방지역 부대 관할 사령부로 창설
1973.07.01. 3군사령부 창설로 경기도 및 강원도 철원지역 관할권 인계
1973.07.01. 3군사령부 창설->1973년3월 철수한 주월한국군사령부를 모체로 창설
1군사령부로 부터 경기도 및 강원도 철원지역 관할권 인수
2013.05.14. 1,3군사령부->1.3야전군사령부로 명칭 정식 변경
임무를 명확하게 교정하려는 목적에 따라 명칭을 개정하는 법안 통과
2019.01.01. 1,3야전군사령부 해체, 지상작전사령부 창설
3야전군사령부 시설을 모체로 1,3야전군사령부를 통합하여 지상작전사령부를 창설하고
부대마크는 1야전군사령부 부대마크를 사용함.
국방개혁2.0 (2018.7.27 발표, 문재인 정부)에 의거 해체
1,3군 사령부 -->지작사로 통합에 따른 예하 1,2,3 군수지원사령부 개편
1군 사령부 예하 1군수지원사령부는 지작사 예하로 편성되면서
예하에 수도군수지원여단(수도군단), 2군수지원여단(2군단), 3군수지원여단(3군단),
6군수지원여단(6군단), 7군수지원여단(7군단), 8군수지원여단(8군단)창설하여 각 군단 지원
3군 사령부 예하 2군수지원사령부는 해체하여 5군단 예하 5군수지원여단으로 개편 창설
일부 예하 부대는 1군수지원사령부 예하로 전환
3군사령부 예하 3군수지원사령부는 해체하여 1군단 예하 1군수지원여단으로 개편 창설
일부 예하 부대는 1군수지원사령부 예하로 전환
2작전사 예하 5군수지원사령부는 변동 없으며 예하에 51군수지원단(전라권 지원),
52군수지원단(부산,경남),53군수지원단(대전,충청), 대구 경북지역은 5군지사에서 직접 지원
29사단 부대마크
1953.11.26 제주도 모슬포에서 창설
강원도 인제군 용대리로 이동
1959.01.01. 20사단과 통합으로 해체
2019.11.30. 20사단도 11사단과 통합으로 해체
20사단 부대마크
1953.02.09 제1교육여단을 모체로 창설
1959.01.01 29사단 흡수 합병
1981년 보병사단에서 차량화보병사단으로 승격
1983년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
2019.11.30. 11사단과 합병으로 해체
국방개혁2.0 (2018.7.27 발표, 문재인 정부)에 의거 해체
2사단 부대마크
1947.12.01 대전에서 조선경비대 예속 2여단으로 창설
1949.05.12 제2 보병 사단으로 개편
1959.08.28 강원도 양구로 이동
2019.12.06 해체,신속대응사단으로 개편 창설, 주둔지 이동
국방개혁2.0 (2018.7.27 발표, 문재인 정부)에 의거 해체
6군단,27사단,28사단,30사단,8군단,23사단 2022년까지 해체 예정
국방개혁2.0 (2018.7.27 발표, 문재인 정부)에 의거 해체 예정
동해안 부대들도 개편되고 해체된 부대가 참 많더군요. 아는대로 한번 나열하여 봅니다.
동방사(동해안방어사령부), 동경사(동해안경비사령부), 울경사(울산경비사령부)등
1961년 동해안방어사령부 창설
1974년 동해안방어사령부 해체, 1해안전투단 으로 재편성, 동경사로 귀속
동해안경비사령부 부대마크 7군단 부대마크
1969년 1월 18일 동해안경비사령부 창설. 예하에 제1유격여단(1월 18일 창설), 56연대, 58연대.
1969년 2월 17일 제2유격여단 창설, 동해안경비사령부 배속.
1969년 8월 18일 1, 2유격여단 특전사 배속. 이후 각각 3공수여단/5공수여단 개편.
1974년 동해안방어사령부 개편, 1해안전투단 으로 재편성, 동경사로 귀속
1982년 8월 16일 동해안경비사령부 해체, 7군단으로 개편 창설.
1983년 7군단 경기도로 이동
1유격여단 부대마크
1969.01.17 동경사 예하 1유격여단으로 창설
1969.08.18 특전사로 배속
1972.09.20 3특전여단으로 개편
2유격여단 부대마크
1969.02.18 동경사 예하 2유격여단으로 창설
1969.08.18 특전사로 배속
1972.09.20 5특전여단으로 개편
2000.06.01 특수임무단으로 개편
2010.07.01 국제평화지원단으로 개편
88여단 부대마크
1975.07.01. 동경사 예하 88보병여단 창설
1982.08.16. 88여단 해체, 22보병사단(창설) 예하 연대로 개편 귀속
68사단 부대마크, 철벽부대 23사단 부대마크
1975.08.01. 68훈련단 창설.
1987년 68훈련단 68동원보병사단으로 증편. (173, 175, 176연대)
1998.12.01. 68동원사단 해체, 23보병사단으로 증편 창설
22보병사단 부대마크
1953.04.21. 강원도 양양애서 창설, 1958.12.24. 20사단에 통합되어 해체됨
1982.08.16. 22보병사단 재창설[제1해안전투단, 동경사(7군단)예하 56연대, 88여단 통합하여 창설]
동경사가 7군단으로 개편, 경기도 지역으로 이동함에 따른 대치 부대로 창설하여 현존하고 있음
울산경비사령부 부대마크
1968년 울산경비사령부(울산특정경비사령부)창설 울산공업지구 경비 담당
1984년 울산경비사령부 해체, 53사단 127연대로 개편 귀속, 이른바 울산연대로 현존하고 있음.
8군단 부대마크
1987.04.01. 제8군단 창설. 예하 22보병사단, 68동원사단('98년 제23보병사단으로 증편)
포항특정지역경비사령부 도 있더군요.
경상북도 포항시의 특정한 지역을 경비하는 해군-해병대의 합동 지역 사령부이다. 동해안의 최대 산업지역
인 포항시-경주시 일대의 포스코, 포항 항구, 월성원자력발전소 등 국가의 중요한 시설을 방호하는 임무를
가지며, 해병대 제1사단장이 사령관직을 겸직한다.
1968년에 창설되었으며 포항시와 경주시에 주둔하는 모든 해군(제5항공전단, 포항 항만 방어 대대)과 모든
해병대(제1사단, 교육훈련단, 군수지원단)부대가 배속되어 있다.
ㅇ 국직부대 부대마크
ㅇ 육직부대 부대마크
ㅇ 육군 기타 부대마크
ㅇ 육군 교육사 예하 부대마크
ㅇ 육군 특전사 예하 부대마크
ㅇ 육군 항작사 예하 부대마크
ㅇ 구 항공단(육본,군,군단), 항공대(사단) 부대마크
ㅇ 해군 부대 마크
ㅇ 공군 부대 마크
ㅇ 육군 흉장
첫댓글 부대개편 정보 감사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