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기독교의 대화총서 01
종교란 무엇인가
니시타니 게이이치 저/정병조 역 | 대원정사 | 1993년 03월
1. 종교란 무엇인가
2. 종교에서의 인격성과 비인격성
3. 허무와 공
4. 공의 입장
5. 공과 시간
6. 공과 역사
불교와 기독교의 대화총서 02
불교의 공과 하나님
한스 발덴펠스 저/김승철 역 | 대원정사 | 1993년 09월
불교와 기독교의 대화총서 03
선과 기독교 신비주의 : 불교와 기독교가 만나는 고요한 정점
윌리암 존스톤 저/이원석 역 | 대원정사 | 1999년 03월
1. 선의 깨달음
2. 기독교의 신비 체험
3. 선의 심리학적 구조 - 융의 분리심리학과 관련하여 -
4. 기독교 신비주의의 심리학적 구조
5. 이성과 불합리성
6. 도덕성에 대한 직관적 접근
7. 선과 회귀 본능
8. 신비주의란 무엇인가
9. 성육화
10. 선과 서구문명
11. 선과 기독교
불교와 기독교의 대화총서 04
무신론과 유신론 : 포스트모던시대의 종교와 철학이란? (개정증보판)
히사마쯔 신이찌 등저/정병조, 김승철 공역 | 대원정사 | 1997년 10월
선을 종교철학적으로 다채롭게 조명하고 있을뿐더러 선이 왜 무신론이가,동양적 무란 무엇인가를 설득력 있게 말하고 있다. 이 책의 제1부에서 지은이는 포스트 모던 시대에 접어든 종교의 궁극적입장을 선의 입장에서 조명하고 있다. 제2부에서는 이러한 포스트 모던 종교철학에 대한 기독교 신학자들의 공감과 반론을 실고 있다.
[ 저자 및 역자 소개 ]
저자 : 아베 마사오
교토학파의 일원. 교토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콜럼비아 대학에서 스즈끼 다이세쯔와 폴 틸리히로부터 선, 신학, 철학 등을 배웠다. 교토, 하와이, 프린스톤, 버클리 대학 등에서 종교철학을 강의하였다.
저자 : 히사마쯔 신이찌(久松眞一)
교토학파의 핵심 멤버. 교토대학 철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묘심사에서 참선수행 중 깨달음을 얻었다. 교토대학 교수를 역임하고 1959년 미국하버드대학 객원 교수로서 '선과 선문화'를 강의했다. 하이데거, 칼 바르트, 칼 융 등 서양의 저명한 철학자, 신학자, 심리학자들과 대화를 나누었다.
1. 무신론
무신론
인간의 참된 실존
깨달음 - 후 근대적 인간상
선 - 근대 문명에서의 선의 의미
동양적 무의 성격
절대 위기와 부활
깨달음의 종교
2. 무신론과 유신론
히사마쯔 신이찌의 기독교 비판에 대한 응답
선에 대한 기독교 신학의 이해
무상의 자기와 살불살신
기독교와 불교 - 신이 우선하는가 인간이 우선하는가? -
현대 세계사에서의 기독교와 불교의 대화
[ 책속으로 ]
무신론으로서의 불교
불교 중에도 여러가지 형태가 있다. 그 중에서 불교의 궁극적 존재방식은 유신론이 아니고 무신론이다. 그것이 무신론적이라는 의미는 단지 유신론에 대한 인간 중심주의라는 뜻만의 무신론은 아니고 단순한 자율을 초월한 자율의 종교이기 때문이다. 불교에서 증(證)이라든가 각(覺)이라든가 반야(般若)라든가 등의 지적인 언어 표현은, 단순한 자율을 초월한 자율의 자각체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각체 외에 사실 불교의 부처는 없다. 거기에서 소생한 인간이 부처이고 그 외에 진정한 부처는 없다. 거기에서 소생한 인간이 부처이고 그 외에 진정한 부처는 없다는 것이다. '내 자신 속에 있는 부처가 곧 진정한 부처이다'(自佛是眞佛), '마음이 바로 부처이다'(卽心卽佛), '이 마음이 부처이다'(是心是佛)라는 표현이 그러한 모습을 잘 보여준다.
--- p.48
[ 추천평 ]
이 책의 제1부에서 히사마쯔 신이찌는, 포스트 모던 시대(근대이후의 시대)의 종교의 궁극적 입장을 선(禪)의 입장에서 조명하고 있다. 즉 그는 기존의 중세적인 나이브한 신 중심적 종교와 근세적 인간 중심주의를 뛰어넘는 깨달음의 종교를 주장한다. 그 깨달음의 주체가 역사창조의 주체로서 '무상(無相)의 자기'이다.
제2부에서는 히사마쯔의 이러한 포스트 모던 종교9철학)에 대한 기독교 신학자들의 공감론과 반론을 싣고 있다. 특히 그들은 히사마쯔의 '무상의 자기'나 무신론을 바탕으로 하는 깨달음의 종교가 유신론적 절대자에게 구원을 갈구하는 믿음의 종교와 그렇게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고 하면서 불교와 기독교 대화의 물꼬를 트고 있다.
토인비는 앞으로 수 백년 후의 사람들이 우리들의 시대를 돌아보면서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될 것은 원자력의 개발이 아니라 동양과 서양의 만남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하여 오늘날 기독교는 서구 세계가 일찍이 그리이스철학과의 관계에 의해서 형성되었듯이 동양사상, 특히 불교와의 관계에 의해서 새로운 세계를 낳을 수 밖에 없는 것은 아닐까? 이렇게 말한다면 바르트 신학은 거기로부터 뛰어 오르는 뜀틀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 오다가끼 마사야
불교와 기독교의 대화총서 05
선과 현대철학 : 선의 철학적 자리매김은 가능한가?
아베 마사오 등저/변선환 편역 | 대원정사 | 1996년 04월
선의 깨달음은 지적이거나 철학적으로 파악할 때 사라져 버린다고 하지만, 본래적인 선의 깨달음은 지적인 분석이나 철학적 반성을 거친다고 해도 파괴되 않는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선 수행에 함축되어 있는 철학을 현대철학과의 대화를 통해서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헤겔.니체.하이데거.마르크스.화이트 헤드.칼 융 틸히히 등과 대결하고 대화를 나눈다.
1. 선이란 무엇인가
선이란 철학은 아니지만...
참사람과 자비
2. 선과 서양철학
선과 서양사상
불교와 순수이성
선과 니체
허위와 악마
불교와 마르크스주의
대승불교와 화이트헤드
3. 동과 서의 대화
예술의 본질
양경상조
무의식과 무심
비일의성의 예술
신율과 선적 자율
폴 덜리히 교수를 맞이하며
무를 둘러싼 대화
비신화화와 비신화
불교와 기독교의 대화총서 06
선과 현대신학
아베 마사오 | 대원정사 | 1996년 04월
과학주의,마르크스주의, 프로이트의 분석 심리학,니체 철학이 지닌 종교 부정의 이데올르기에 대응해 가면서 바람직한 종교로 남기 위해 불교와 기독교의 책심 개념인 공과 하나님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종교와 비종교가 벌이는 당대의 대결이라는 더 넓은 맥락을 숙지하면서 불교- 기독교 대화를 모색하므로 깉은 종교적 차원을 열어 준다.
불교와 기독교의 대화총서 07
선과 종교철학 : 종교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하여
아베 마사오 | 대원정사 | 1996년 04월
니시다 기타로, 니시타니 게이지 등 교토학파의 종교철학을 다루고 있다. 그것은 서양의 입장에 선종교철학이 아니라 불교, 특히 선의 입장에 선 종교철학이며, 또 선의 입장에 서 있다 하지만, 거기에는 특정 종교를 옹호하는 배타적 우월감이 완전히 배제되어 있다. 나아가 기존의 종교철학이 무너지는지점에서 새로운 종교철학을 구축하려한다. 21세기를 맞이하는 현대 종교의 방향도 셜득력 있게 제시된다.
[ 목차 ]
1. 교토학파와 종교철학
니시다철학의 장소사상
니시다철학에서 역대응의 문제
니시다와 화이트헤드의 철학, 종교, 예술
'종교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의지, 공, 역사
2. 불교의 세 가지 중심 문제
니르바나, 그 현대 사상과 생활에 주는 의의
공은 진여이다
대승불교에 나타난 청정성
3. 종교의 오늘과 내일
현대사상에 의해 도전받는 종교
지구촌 시대의 종교와 철학
세계종교의 목표
자각적 우주론 확립을 위하여
주권은 인류에게 있다
불교와 기독교의 대화총서 08
바울과 정토불교, 예수와 선 : 공통과 뿌리를 찾기 위한 모색
야기 세이이치 저/김승철 역 | 대원정사 | 1998년 04월
이 책에서는 바울과 정토불교를 비교하고 예수와 선을 비교한다. 그러나 여기에 그치지 않고 바울과 정토불교라는 묶음과 예수와 선이 라는 묶음 사이의 비교도 시도한다. 필자는 이러한 비교가 가능하다고 본다. 그 까딹은 불교와 기독교가 공통적인 인간 이해의 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바울과 정토불교가 어떤 의미에서 하나의 묶음이 되고, 예수와 선이 또다른 하나의 묶음이 되는가?
[ 목차 ]
1. 바울과 정토불교
사고의 축과 자리
바울의 신학
2. 정토불교
예비적 고찰 - 성취하는 것
정토불교(신당)의 사상
구제의 활동 : 회향의 구조와 삼위일체
자연법이와 무상 법신의 자각
3. 예수
예수의 사상의 분석
사랑에 관한 말
삶에 관한 말
율법에 관한 말
하나님의 지배와 하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