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로그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보고, 듣고, 어떤 행동을 했는지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온도, 습도, 조도와 같은 환경 정보, 그리고 호흡, 혈압, 맥박과 같은 생체 정보까지 다양한 정보를 자동으로 기록된다.
다양한 수집 경로를 통해 저장된 라이프로그는 과거의 경험 정보를 검색하여 불러와 현재의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며,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하여 자립적으로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수집된 라이프로그 데이터는 거주자의 행위나 상황에 맞게 저장 및 분류
라이프로그 해석이 끝나면 거주자의 행위나 상황은 지속적인 모니터링 과정
거주자의 행위나 상황에 맞는 주거 환경 및 응급 상황을 제어
라이프로그 정보는 크게 일반적인 서비스(주택 내 일어나는 일반적인 행위나 상황에 따라 고독사 관리 서비스를 연계)와 개인 맟춤형 서비스(과거와 현재의 데이터 비교 분석을 통해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행위와 예외적인 경우의 행위 및 상황들을 최대한 고려하여 독거노인 개개인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안)로 나뉘어 제공된다.
출처: IT 기술을 활용한 독거노인 고독사 관리 서비스에 관한 연구- 독거노인의 라이프로그를 중심으로 -, 임해원·이현수,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