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하일 회원을 비롯하여 다수 회원의 바람에 <山書> 총목차(제 1~24호)를 이곳에 남깁니다. 이 목차들을 보면서 이제는 우리가 '오래된 미래'를 만들어야 하는 책임을 통감하게 됩니다. 앞으로도 주욱~ never ending story^^
제1호
1987년 4월 26일 발행
한국산서회보의 발간에 즈음하여 - 손경석
산과 책과 글과 - 김영도
'우리동 구곡기' 탐사 - 이용대
예지 메스너와 라인홀트 쿠쿠츠카 - 신승모
인간은 왜 산에 오르는가? - 임종한
좌담회
산서 안내
자료
산악도서 전시목록
전국 산악회보 발간 일람
한국산서회 일지
한국산서회 회칙
별책부록 海東遊山攷(해동유산고)
제2호
1987년 12월 21일 발행
근대 등산의 효시를 규명하는 - 손경석
근대 등산 뿌리의 재조명 - 손경석
북한산성 및 사적지 답사 - 박정근
한계고성을 다녀와서 - 박융달
산성과 지게 - 임종한
우리 나라 옛 그림에 나타난 산 - 이양재
산의 아름다움과 등산 - 한영환
미완성의 남극 - 홍석하
중앙아시아의 풍운아 - 신승모
금강 유산일기 해설 - 최병로
산서 문헌의 해제
한국대의 해외원정 - 손경석
국제행사
일본 북알프스 - 윤형두
산서 도서목록
회원명단 한국산서회일지 회원동정
제3ㆍ4호 합병호
1989년 12월 31일 발행
대자연에 손대지 말라-김영도
산악 진 고도-서두석
큰 귀때기골 등반기-김성진
87동계 에베레스트 등반 참가일지-손재식
남서벽에서 남벽으로-엄홍길
설악산과 이대성 우화-이병태
<설악산 세미나 특집>
설악산 세미나를 개최하면서 그 주제의 기조 - 손경석
한국 알피니즘에 있어서의 설악산의 현대적 의의와 현황 - 김영도
국립공원 설악산의 관리개선 문제 - 김장호
설악산의 문헌과 지명고찰 - 이용대
설악산의 능선과 계곡에서의 초등반 활동 - 최중기
설악산 암벽과 빙벽의 등반사 - 신승모
설악산 초등반 연대표
설악문화대상 심의 결과 보고
설악산 세미나와 산악문화대상 시상 참관기 - 박인식, 서두석
(해외원정대 85%가 설악산에서 전지훈련했다)
산서문헌 해제
산악도서전 전시목록
한국산서회일지 회원동정 추도사 이찬영 동지에게 회원 명단 한국 산서회 회칙영문 초록
제5호
1994년 10월 26일 발행
책머리에 - 손경석
국립공원은 돈벌이꾼에 私用될 수 없다 - 박성용
山書에서 만난 誤譯들 - 김영도
백두산 일기 영인 - 이양재
화보:제3회 산서전시회, 월례회
(속)설악산과 이대성 우화 - 이병태
내가 아끼는 산서 - 이규태
산서총록
산서 출품 목록
한국산서회 회칙
회원명단
제6호
1996년 2월 13일 발행
산책을 읽고 싶은 마음 - 김성진
끊임없는 길을 가야 - 손경석
山書二題 - 김영도
국제산악도서 전시회의 날 - 김성진
만남의 즐거움 - 박동욱
泰山遊覽 - 이병태
山길에 思念을 묻고 - 박계수
자연에 대한 경외심 - 이영순
금 강 산 - 편집위원회
금강산을 소개하는 책들 - 변기태
책을 쓴 산악인들 - 이경수
94~95간행도서 - 편집위원회
회무일지 - 이병태 , 이경수 정리
산서회 회원 주소록
ABSTRACT
제7호
1996년 12월 27일 발행
산서회 10년 특집
산서와 산서회 (김영도)
산서회 10년의 수레바퀴 속에서 (손경석)
산서 정신의 고향 (박그림)
한국산서회 10년의 정리(앙케이트를 통한) (이영순)
회원의 글
안느 소비의 작품세계 (김성진)
< my horizontal worid >의 회상 (김문식)
꼭 밝히고 싶었던 사연 두가지 (이병태)
술 이야기 (박동욱)
일상의 나태함을 깨는 즐거움, 산, 산행 (손재식)
순수성을 상실한 등반 (박융달)
月刊山 스트레스 (변기태)
월출산 천왕봉 (윤형두)
백운산에서 만난 빨치산 장자 (박계수)
북한산 인수봉 누가 처음 올랐나 (이용대)
발굴자료
한국의 첫 등산학교와 하영수 선생 (박재곤)
인터넷을 통한 산악정보 (김성진)
교또 분지로의 산맥이론에 대한 1910년대 한국 학자들의 대응 (박용수)
우리나라 안내 산행의 발자취 (안경호)
해외 산악서적 수입과 그 현황 (호경필)
한국산서의 맥을 잇는 사람들 (안일수 호경필)
백두산을 소개하는 책들 (변기태)
책을 쓴 산악인들 (이경수)
환경
한국 풍경론 (김영도)
무너지는 설악산 (박그림)
1996년 간행도서
회무일지 /회원주소록 /영문초록 /회칙 /편집후기
제8호
1997년 12월 31일 발행
책머리에 - 이병태
회원의 글
세간티니에 대하여 (김영도)
떠나버린 악우 (김성진)
보르네오의 키나발루 산 등정 (윤형두)
책과 바위 (박동욱)
나의 수필산행-한라산 (박계수)
생활을 사랑하는 사람-내속의 산을 오르며 (이영순)
로톤도 산장 (김영도 역)
책 그리고 산서
책을 쓴 산악인들 (이경수)
세계의 산악서적-유럽과 알프스 (호경필)
1997년 내가 만난 두권의 산서 (박재곤)
1997년 간행도서 (안일수)
환경
설악산 쉼터-대피소 (박그림)
북한산 국립공원의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연구 (김수영)
발굴자료
인터넷과 등산정보 (김성진)
금강산 연표 (이병태)
멸종위기의 생물 호랑이에 대하여 (김호근)
<산서>총목차
회무일지 회원주소록 회 칙 편집후기
제9호
1998년 12월 31일 발행
책머리에 - 이병태
금강산 특집
금강산관련 자료 해제 및 일람 (변기태)
사진화보 遊金鋼錄 (남면주)
(속)금강산과 조선왕조 실록 (이병태, 최광현, 이영순)
금강산등반 3일 (베른트 아놀드 글, 김영도 역)
회원의 글
백두산 정계비 유감 (손경석)
아이거북벽과 스캔들 (김성진)
마터호른의 전설과 개발 계획들 (이병태)
산양이 뛰어 노는 설악산을 꿈꾸며 (박그림)
비봉산/숲의 함성 (박계수)
수필 2편
기연/산장 (串田孫一 글, 김영도 역)
발굴자료
책을 쓴 산악인들 (이경수)
세계의 산악서적-히말라야 관련책 (호경필)
신간안내 (안일수)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 칙 contents
<표지사진> 금강산 도서들
제10호
1999년 12월 31일 발행
책머리에 - 이병태
독도특집
나의 사랑 독도40년-독도연구 - 김명희
회원의 글
자스 페의 회상 - 김성진
(속)금강산 사연들 - 이병태
일본 검악산행 - 박동욱
동행, 광화문 시대, 나의 수필 산행기 - 박계수
높은 산에 올라가면 우리 몸에 어떤 일이 생길까? - 정갑수
보이는 산과 보여지는 산 - 이영순
설악산 산행기 - 김태규
특별기고
北漢山 韆秊[香林洞과 香林寺] - 김영복
발굴자료
<백두산 遊覽錄> - 변기태
다시 챙겨본 소중한 산서-<산악> - 박재곤
책을 쓴 산악인들 - 이경수
세계의 산악출판사 - 호경필
1999 간행도서 - 안일수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 칙 contents
<표지 설명> 세기말 현상인지 독도문제가 뜨겁게 달궈지고 있다. 울릉도와 독도는 일본과 관계없는 곳이므로 일본 지적에 포함시키지 말라고 태정관(일본 국가 최고기관)이 내무성에 보낸 공문서(1877년, 일본 국립공문서관 소장).
제11호
2000년 12월 31일 발행
책머리에-이병태
특집 백두산 도서-변기태
회원의 글
산서의 세계-김영도
헤르만 불의 피켈-김성진
백두산기행-이기웅
설악산과 산양을 위한 전국순회 강연-박그림
2000년 백두산 기행-박동욱
킬리만자로-길망스, 5681m의 도전-권오달
끝없는 나의 도전-엄홍길
나의 수필산행기와 시-박계수
달리는 사람들-이영순
새천년 새아침의 대청봉산행-권병화
우리는 왜 산에 오르는가-김홍주
특별기고;백두산의 등산코스-이형석
발굴자료
책을 쓴 산악인들-이경수
2000년 간행도서-안일수
<8000m × 14 봉> 도서-호경필
등산의학에 관련된 서적들-정갑수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칙
표지설명;<A Journey through the North Korea to the Chang-pai shan>은, 1889년 8월 31일부터 11월 6일까지 68일간 서울의 동대문을 출발하여 양주,포천,금화,금성,원산,북청,길주와 무산을 경유하여 백두산을 등정한 보고서이다. 한반도를 통과하여 백두산을 오른 서양인이 남긴 최초의 기록이다(1892년, Charles W. Campbell 著, Royal Geographical Society 발간).
제12호
2001년 11월 10일 발행
책머리에 산서회의 중흥을 기대하며-박동욱
지리산 특집 I
지리산의 명칭과 그 의미 소고-이정희
유두류록(遊頭流錄) 조식(曺植)지음/경상대학교 두류고전강독회 번역-이정희 편역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소개-이정희
頭流山 遊覽錄 一覽表-이정희
지리산 도서 일람표-이민호
지리산 특집 II
智異山의 어제 오늘-김영도
지리산의 터주대감-손경석
30년 전 덕유․지리산행기-박동욱
나의 지리산 등산수첩-이병태
지리산은 국립공원 제1호다-권병화
점필재의 지리산에서의 조망-김홍주
지리산 주식회사와 함태식-한형석
회원의 글
나의 산에서의 실수담
1.인수봉에 오른 자랑과 30년 후의 실수-이병태
2.실수투성이 산행-김병준
3.우습게 끝난 달빛 산행-변기태
알프스 이야기1-이병태
산방에서 온 손님-박계수
쓰구냥산 등정기-한상철
내가 만든 산 책들-허긍열
산 희평 박영래
산서회 자료실
1.책을 쓴 산악인들-이경수
2.세계의 산악문학상-호경필
3.2001년 신간 산서-안일수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원주소록, 회칙
표지 설명:남명(南冥) 조식(曺植ㆍ1501-1572)의 유두류록(遊頭流錄) 첫장. 조식은 1558년 4월 10일부터 26일까지 삼가 계부당을 출발하여 진주~사천~남해 앞바다~하동~쌍계사~불일폭포~신응사~악양~횡포~합천 삼가 뇌룡사로 돌아왔다.
제13호
2002년 12월 10일 발행
책머리에 - 박동욱
북한산 특집 I
1.북한산 개관 나각순
2.북한산 한담(閑談) 육제(六題) 김영복
3.북한산의 역사에 관한 小考 김윤우
4.삼각산 옛 지명(地名) 연구 민경길
5.서울고지도로 본 북한산 허영환
6.그림으로 본 북한산 이태호
7.기록에 남아 있는 인수봉 초등정 이야기 이용대
8.북한산 산서 해제 심산
북한산 특집 II
1.북한산이 나에게는…… 김영도
2.북한산 잡기(雜記) 손경석
3.인수봉과 노적봉, 북한산을 생각한다 홍석하
4.가슴 아린 추억의 북한산 박동욱
5.북한산 깔딱고개에서 몽블랑 만년필까지 이병태
6.북한산은 거기 서 있건만 박계수
7.북한산국립공원의 이런일 저런일 권병화
8.그리운 북한산 산행 허긍열
9.다시 북한산을 노래하며 김장욱
회원의 글
1.알프스 이야기2-이병태
2.중국 곤명 여행기-권병화
산 희평-박영래
산서회 자료실
1.산책을 쓴 산악인들-이경수
2.산책을 쓴 한국의 작가-호경필
3.2002년 신간 산서-안일수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원연락처, 회칙
표지 설명 1720년대에 제작된 걸로 기록된 한양(漢陽) 도성도(都城圖). 북한산 주변 산군을 비교적 상세히 그린 지도. 필사본으로 크기는 193mm X 278mm. 성신여대 박물관 소장.
제14호
2003년 12월 16일 발행
책머리에-회장 박동욱
한라산 특집1
1.옛 사람들의 登漢拏山記 - 양중해
2.한라산 이름의 유래와 지명 탐구 - 김윤우
3.한라산의 지명 연구 - 양송남
4.한라산과 제주속담 - 고재환
5.한라산 자락의 사람들 - 강정효
6.그림이 있는 한라산 이야기 - 안흥찬
7.한라산 국립공원 개관 - 송상옥
8.한라산의 오름 연구 - 강성규
9.한라산의 지질 - 강순석
10.식물의 보고, 한라산 - 고정군
11.한라산의 동물 - 오장근
12.한라산과 환경문제 - 현원학
13.한라산 야생노루 이야기 - 신용만
14.한라산 등반사 - 진창기
15.한라산 조난구조사 - 강경호
16.한라산 도서 해제 - 오희삼
한라산 특집2
1.한라산을 생각한다-김영도
2.탐라잡기-손경석
3.한라산을 다시 오르며-박동욱
4.60년대 한라산 등반기-이병태
5.추억 어린 한라산 산행-권병화
회원의 글
1.티티의 눈물-김성진
2.알프스 이야기(III)-이병태
3.산악스키(Ski Mountaineering)에 대하여-김병준
4.山書를 읽는 즐거움-호경필
5.죽령연가-박재곤
6.이상한 사람들을 위한 세레나데-박계수
7.북한산가 연작시 -김장욱
산희평-박영래
산서회 자료실 1.보드만 태스커 산악문학상 소고-심산
2.2003년 신간 산서-안일수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원연락처
한국산서회 회칙
영문목차(contents)
<표지설명>1800년대 후반에 제작된 전국지도집『동여도』(東輿圖) 제22첩에 실린 제주 전도. 중앙에 한라산이 위치한다.
제15호
2004년 12월 13일 발행
책머리에 - 회장 박동욱
* 설악산 특집 1
옛 사람들의 설악산 산행기록
내설악편 - 설악왕환일기(雪嶽往還日記)/이복원 지음, 이정희 옮김
외설악편 - 유설악록(遊雪嶽錄)/이정소 지음, 임영란 옮김
설악산의 산수와 명승고적 / 김윤우
설악산과 지도 / 최선웅
설악지명고(雪嶽地名攷) / 박기성
설악산 국립공원의 역사와 발전방향 / 권병화
설악산의 지형과 지질 / 박경
설악산의 멸종위기식물 현황과 보전방안 / 현진오
설악산 국립공원 개관 / 이임상
설악산 등반사 / 김성림
설악산 조난사고 유형분석 / 김진성
수학여행과 60년대 설악산 이야기 / 엄상빈
설악산 수복 후 초창기에 오른 산악인들 / 심용섭
1962년 겨울의 십이선녀탕 등행기 / 故 이희성, 정계조 정리
설악산 도서 / 변기태
설악산은 우리에게 어떤 존재인가? / 박그림
* 산희평 / 박영래
* 설악산 특집 2
내가 아는 설악 / 김영도
설악산 2題 / 손경석 설악산 단풍잎 하나 - 백담골 이야기
설악을 생각하면 / 홍석하
나와 설악산 인연 / 박동욱
설악산 하계 등반을 마치고 나서 / 권오달
설악산과 철교의 조화를 위한 제언 / 박승기
雪岳 8題(山時調) / 한상철
설악가(連作詩) / 김장욱
* 회원의 글
알프스 이야기 4 / 이병태
산은 나요, 나는 산이로다-母山 원도봉산 / 엄홍길
체코기행 - 체스키라이 국립공원 / 김장욱
* 산서회 자료실
1.미국산악회 도서관 소장 산악도서 목록(히말라야 편) / 호경필
2.2004년 신간 산서 / 안일수
역대회장명단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원연락처 /한국산서회회칙 /영문목차
<표지설명> 1960년 3월에 발행된 설악산 최초의 종합안내서 <설악산탐승인도지>에 실린 ‘내설악 조감도’. 수렴동과 쌍폭을 거쳐 봉정암에 이르는 탐승로가 그려져 있고 대청봉이 ‘晴峯’으로 표기되어 있다.
제16호
2005년 12월 23일 발행
책머리에 - 회장 홍석하
특집1 백두대간
1.백두대간이란 무엇인가-조석필
2.백두대간설의 전래와 대간상의 역사지리-김윤우
3.다시 찾은 백두大산줄기-김영표
4.우리 민족의 전통적 산지관과 백두대간-양보경
5.한국 산지분포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박수진
6.백두대간을 이룬 태백산맥과 경부운하 구상-이우평
7.백두대간 지도의 시대별 변천사-최선웅
8.한반도의 산줄기와 지질에 관하여-박경
9.백두대간의 식물상-현진오
10.백두대간보호지역 지정과 그 의미-최대순
11.무너지고 있는 백두대간-정용미
12.백두대간에서 보내는 편지-성량수
13.백두대간 사람들-신영철
14.백두대간에 자리잡은 여덟 개의 명산-신정일
15.백두대간 산서 해제-변기태
특집2
1.횡설수설 백두대간-손경석
2.백두대간 종주산행기-이수용
3.백두대간 종주산행의 발자취-홍석하
4.나의 태백산맥 등반기-최중기
5.백두대간 4제-김장욱
6.인터넷 속으로 들어간 백두대간-강기석
7.백두대간 종주산행기(특별기고)-이상호
회원의 글
1.2005년 Best 5 산행-박동욱
2.설악산 산행이야기-권오달
3.알프스 이야기(5)-이병태
4.금강산 산봉우리․고개(령)․명소 높이와 위치-이병태
5.에베레스트는 이제 산악인의 산이 아니다-김병준
6.산방에서 온 손님-박계수
7.오대산 상원사 회귀 산행기-권병화
8.선시(禪詩) 시리즈-한상철
9.산길여정-유재형
10.체코 국립공원 마운트 슈네츠카-김장욱
* 산희평 / 박영래
자료실
* 미국산악회 도서관 소장 산악도서 목록(알프스 편) / 호경필
* 2005년 신간 산서 / 안일수
역대임원명단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원연락처 회칙 영문목차
<표지설명> 1800년대 초에 제작된 걸로 추정되는 동국지도(東國地圖). 목판본으로서 당시까지의 조선전도 가운데 산줄기의 표현이 단연 으뜸이다. 산을 형상화하여 묘사하면서 그 맥을 이어 나갔고, 백두대간을 비롯한 높고 큰 산줄기는 산의 형상을 보다 크고 힘있게 표현하여 산줄기 표현에 강약을 주었다. 이러한 산줄기의 표현 방식이 전승되어 김정호의 대동여지도가 탄생했으리라 추측된다. 사진:최선웅
제17호
2006년 12월 27일 발행
책머리에-회장 홍석하
특집1 오대산
1.오대산의 역사 문화지리-김윤우
2.오대산기(五臺山記)-김창흡(이정희 옮김)
3.오대산 동식물-오대산을 지키는 족제비 5형제-민지홍
4.오대산 개관-어머니의 품속같은 넉넉한 오대산-이현우
5.내가 우연히 만난 오대산-김영도
6.초겨울 오대산 산길의 회상-손경석
7.30년 전 영동고속도로를 달리며-이병태
8.아! 오대산-박계수
9.오대산의 또 다른 이야기-한형석
10.오대산에서 만난 사람-신영철
11.오대산 답사기-신정일
특집2 치악산
1.치악산의 지명과 역사 문화지리-김윤우
2.치악산의 역사와 전설, 원주시 산악활동, 등산로-박순조
3.치악산의 동식물-치악산이 전해주는 자연과 사람의 이야기-민지홍
4.치악산의 산성, 영원산성-박기성
5.치악산 개관-치악산 굽이굽이 숨은 이야기-김성수
6.꽃을 시샘하는 치악산 비로봉 서설-권병화
7.치악산 답사기-신정일
특집3 한국산서회 창립 20주년
1.그리고 20년이 흘렀다-김영도
2.산서회 창설 20년 전을 생각하며-손경석
3.산서회 20년 동안의 기록-변기태
산희평 / 박영래
회원의 글
1.백두대간 죽령~고치령 구간종주기-이수용
2.과거로의 시간여행, 실크로드-박동욱
3.알프스 이야기(6)-이병태
4.세존봉에 올라보니-이병태
5.70 나이 넘기고 5,355m 다꾸냥봉 등정-박재곤
6.나는야 설악산이 좋더라-권병화
7.선가(仙歌) 시조 10首-한상철
자료실 2006년 발행 신간 산서 / 안일수
특별별책부록 american alpine journal index 1929년~2006년/호경필, 이민호, 나영윤
역대임원명단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원연락처 /한국산서회 회칙 /영문목차
<표지설명> 1530년에 발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은 55권 25책으로 된 인문지리서이다. 건국 후 통치상의 필요에서 지리지 편찬의 중요성을 통감하여, 세종의 명에 따라 맹사성(孟思誠)ㆍ신색(申檣) 등이 1432년(세종14) 《신찬팔도지리지(新撰八道地理志)》를 찬진(撰進)하였다. 그 후 명나라에서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가 들어오자, 양성지(梁誠之)ㆍ노사신(盧思愼)ㆍ강희맹(姜希孟)ㆍ서거정(徐居正) 등이 성종의 명으로 이 체제를 본따고 《신찬팔도지리지》를 대본으로 하여, 1481년(성종 12)에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50권을 완성하였다. 이를 다시 1486년에 증산(增刪)ㆍ수정하여 《동국여지승람》 35권을 간행하고, 1499년(연산군 5)의 개수를 거쳐 1530년(중종 25)에 이행(李荇)ㆍ홍언필(洪彦弼)의 증보에 의해 이 책이 발간되었다. 표지에 사용된 지도는 제44권 강원도 편에 나오는 오대산 지도이다. 자료 제공:변기태
제18호
2007년 12월 27일 발행
특집1 한국에서 발간된 에베레스트 자료
한국산악계 에베레스트 등반사
단행본
보고서
기타
특집2 산서 베스트 20
산서 총목록 (489권)
산서 베스트 20
꿈속의 알프스 - 심산
백두산 등척기 - 변기태
북한산 역사지리 - 김진덕
마운틴 오딧세이 - 김진덕
역동의 히말라야 - 변기태
하얀 능선에 서면 - 심산
산희평/고경한
회원이 발행한 산서
이렇게 사는 인생 - 박재곤
알피니즘, 도전과 역사 - 이용대
검은고독 흰고독 - 김영도
세계의명산 위대한 도전 - 호경필
등산수첩 - 허창성
100명산 수첩 - 최선웅 외
백두대간 수첩 - 최선웅
발굴자료
Diary of Trip to Sul-Ak San - 김수영 역
조선 최초의 전문 산악인 정란 - 안대회
新增東國輿地勝覽 - 변기태
牛耳洞 附近 道峯 佛岩 水落 -전영아 역
회원의 글
예천장터 - 박계수
산시조 10수 - 한상철
금강산 온정병원 치과에서 만난 산사람들 - 이병태
알프스 이야기7 - 이병태
운악산 산행기 - 박동욱
슬기를 배우는 뫼를 걸으며 - 권병화
클린마운틴 캠페인 인 히말라야 - 원용덕
히말라야의 핵,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를 가다 - 이수용
아처와 웨스턴을 생각하며 - 변기태
2007 신간 산서
역대임원명단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원연락처 /한국산서회 회칙 /영문목차
<표지설명> 학산문화사에서 2007년 6월 25일 발행한 만화 <산> 전4권 중 3권의 표지에서 발췌
제19호
2008년 12월 23일 발행
*특집 우이구곡 답사
우이구곡 답사 개관- 변기태
우이구곡을 가본다- 김영도
이계의 우이동 구곡기 역주-김윤우
우이구곡, 계곡이 끝난 것은...-김진덕
무이구곡 가는 길-김장욱
우이구곡-한상철
자연에서 얻는 삶과 지혜-팔경과 구곡-최기수
*독서토론
청춘의 샘-김용주
촐라체-이민주
아내여 나는 죽으러 간다-김진덕
한국사 시민강좌- 변기태
*특별기고
산악도서정보공유를 어떻게 할 것인가-이연창
헤르만 불-신대철
회원이 발행한 산서
한국바위열전-손재식
웰컴 투 마이 텐트-한형석
산사랑 이야기-권병화
*발굴자료
우리의 산수미-세계 명승을 조유하고 나서- 변기태 정리
백두산, 1931년-언제나 하양산 L. H. Underwood-서정민 역
조선 최초의 여성 산악인 김금원- 변기태
산에서 배우는 인생의 보폭-고두현
*회원의 글
왜색 산이름에 관한 단상-김윤우
어느 耽書人의 年賀狀-김준열
히말라야에 꽃 핀 인간애, 태평양에 뿌려지다-이병태
'나는 이렇게 살아왔다'의 한국전쟁 격전지 형제산을 오르다-이수용
새벽을 훔친 사람들/낙엽을 태우며-박계수
청간옥수에 심신을 맡기노라-한경수
산길에서-김장욱
타우랑아를 위한 시-김용주
일복 북알프스:설산 그리고 술산-박동욱
안나푸르나 팡 이야기-정계조
김병준 칼럼 모음-김병준
*산희평 박영래
*산서회 자료실
2008년 신간 산서-김진덕
Banff Mountain Book Festival- 변기태
역대임원명단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원연락처 /한국산서회 회칙 /영문목차
권말부록
불타는 빙벽-손장순
입석부근-황석영
<표지설명> 홍양호의 ‘우이동 구곡기’
제20호
2009년 12월 29일 발행
책머리에-회장 박계수
<산서> 제20호 발간 기념 메시지
산서 불모시대에 살며-김영도
은행낙엽 만추의 모임이-손경석
*특집 韓國의 山書
산행기, 역사, 수필문학
등산정보기술
가이드북, 화보
보고서, 역사편찬서, 회보, 잡지
번역서
산희평 / 박영래
회원의 글
태백산과 단군사적에 관한 단상-김윤우
루이스 힐러리 부인을 기린다-이병태
<산문기행, 조선의 선비 산길을 가다>를 읽고-김준열
‘무레사네’ 명칭에 관한 작은 이야기-김진덕
금강산 연표(속)-이병태
끝나지 않은 백두대간, 그 산릉에 서서-박계수
산정(山情)-한상철
대청봉 케이블카를 반대함-박계수
설악산 케이블카는 우리에게 무엇을 가져다줄까-박그림
남체바잘의 유리구두-원용덕
중국 청도의 노산, 태산, 영원무역-박동욱
신성한 산, 아라라트-김병준
북한산경찰산악구조대 근무를 뒤돌아보면서-김태규
해외원정등반기:에베레스트 남서벽 신루트 개척-강기석
*자료실
2009년 발행 신간 산서-안일수
<산서> 총목차
역대임원명단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원연락처 /한국산서회 회칙 /영문목차
<표지 설명> 조선 숙종(재위ㆍ1674~1720년) 때 승려 설암추붕(雪巖秋鵬ㆍ1651-1706)이 단행본으로 저술한 <묘향산지>(妙香山誌)는 단군 신화와 관련한 묘향산 기록이 나오는 山書(왼쪽 사진)다. 묘향산의 단군유적지를 답사 기록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보면서 기존과 색다른 내용의 단군신화를 소개(오른쪽 사진)하고 있다.
제21호
2010년 12월 29일 발행
책머리에-회장 박계수
특집 여성과 등산
등산이 여성문화에 미치는 영향과 역할 - 박미경
여성과 등산교육 - 박경이
여성등산인을 위한 등산정책 - 이미라
대한민국 여성 등산사 - 이연희
세계의 여성산악인, 8천 위의 여자들 - 배경미
여성 산악계의 미래 - 김점숙
여성이 산악인으로 사는 것 - 남난희
스타 탄생 - 이승형
등산이 나의 인생에 미친 영향 - 송귀화
한국 여성 등산 문학과 그 특징 - 이정희
국내 여성 등산 도서 - 김영미
해외 여성 등산 도서 - 호경필
산희평 - 박영래
회원의 글
메스너에게 비친 오은선, 그의 책을 중심으로 - 김영도
수필 2제: <한국등산사> 출간의 날엔, 한국 산악계의 명예를 위하여 - 손경석
우리들의 알프스 - 김성진
안나푸르나 좀솜, 고라파니 트레킹 - 박동욱
파미르 고원으로 가는 길 - 최중기
수필 2제: 나의 백령도, 저기가 거제도다 - 이병태
일본의 영산, 하쿠산 - 김병준
유감의 남가일몽 - 죽안 박계수
국립공원지킴이 생활 반 년을 돌아보며 - 권병화
학정천리(鶴程千里) - 한상철
천관산과 지제지 - 김윤우
2010 Park's 안나푸르나 남벽 원정대 - 강기석
자료 발굴 2제: 북한산의 몇몇 봉우리 이름에 대하여, 설악산–옛길을 걷다, 새롭게 보다 - 김진덕
바리메에 오르다 - 한경수
<산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읽고서 - 김준열
ID와 호(號) - 이민주
지리산 반야봉과 묘향대 - 염상열
자료실
2010년 발행 신간 산서 - 안일수
역대임원명단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원연락처 /한국산서회 회칙 /영문목차
표지 설명: <대동시선(大東詩選)>은 위암(韋庵) 장지연(張志淵ㆍ1864-1921)이 고조선에서 대한제국 말기까지 2천여 명의 시를 수집하여 1918년에 간행한 시집. 이 책의 제12권에 사임당 신씨(신사임당), 금원 김씨(김금원), 황진이 등 산을 오르고 시를 남긴 여성들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자료제공: 이정희>
제22호
2011년 12월 13일 발행
책머리에-너와 나의 다름을 인정하고 조금 더 배려하자(회장 권병화)
특집 계룡산
(1) 계룡산국립공원 개관-목영규
(2) 계룡산 유기(遊記) 연구-이길구
(3) 유기 2제: 유계룡산기/유마곡사기-이정희
(4) 계룡산 신도안의 역사와 신흥종교-이길구
(5) 계룡산에 전해오는 전설-이영휘
(6) 계룡산의 8경과 9곡-김홍주
(7) 개발로 몸살 앓는 계룡산-우희철
산희평-박영래
회원의 글
2011년 가을-김영도
브레갈리아의 솔리오 산마을-김성진
한국산서회와 노래방/알프스 견문록-박동욱
등산을 학문으로 전공하신 김영도 선생님-최중기
<왕오천축국전>에 관하여/내 인생의 모자 이야기/히말라야 고래희-이병태
신도안과 계룡시-박재곤
지난 여름 그 길고도 짧은 이야기/계룡산에는 내 유년의 아픔이 있다-박계수
강촌 구곡폭포와 문배마을로의 시간 여행-최광현
계룡산 언저리 수통골 산행기-권병화
산가-한상철
보라의 쇼생크 탈출-오영태
관광첩을 통해 본 설악산 이야기-김진덕
김영도 선생의 등산철학과 작품세계-김준열
나는 김영도 회장님과 이렇게 만났다-이민주
도심속의 오아시스, 강남 매봉산-염상열
산이 둘레하고 길이 둘레하고-조철규
특별기고: 카페 고독을 찾아오신 김회장님-오향숙
추모 故강기석
약력
영원한 산악인-조철규
기석아 동민아 박대장 잠 깨워 어서 돌아오라-박계수
사진에 늘 뒷모습만 찍히는 우리들의 리더-박대섭
이제 흘러내리는 눈물을 감추지 않으련다-호경필
안나푸르나와 한국 산악인-김병준
끝없는 눈…, 한 번의 시도로 정상 올라야 한다-이원홍
추모 故김윤우
약력
형님은 그렇게 가셨습니다-김장욱
2011년 발행 산서ㆍ안일수
역대임원명단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원연락처 /한국산서회 회칙 /영문목차
표지설명
오른쪽ㆍ<비난 정감록 진본(批難 鄭鑑錄 眞本)>, 정감록과 관련된 여러 설을 조목조목 반박하기 위해 1923년 현병주(玄丙周)가 간행한 도서. 경상대학교 문천각 소장.
왼쪽ㆍ<정감록(鄭鑑錄)>, 1923년 김용주(金用柱)가 각종 비기(秘記)를 편집 간행한 도서. 경상대학교 문천각 소장.<자료제공ㆍ이정희(경상대학교 문천각)>
제23호
2012년 12월 10일 발행
책머리에-회장 권병화
특집 무등산
1. 무등산 국립공원 개관-이재창
2. 무등산의 역사와 광주-김덕진
3. 무등산의 자연생태계-채정기
4. 무등산 주상절리대의 가치-박승필
5. 무등산 공유화 운동의 전개와 성과-이재창
6. 무등산과 누정문화-김신중
7. 무등산과 가사문학-정구선
8. 고려 후기 光州의 無等山信仰-변동명
9. 무등산과 충장공 김덕령-김세곤
10. 무등산이 배출한 광주의 산악인들-정순택
11. 無等山 遊山記의 검토-김대현
12. 유서석록-박선홍(번역)
13. 그림으로 돌아본 무등산 무돌길-유현아/박종석
14. 무등산관련 산서와 광주ㆍ전남지역에서 발행한 산서-오성개
산희평-박영래
회원의 글
일상성으로부터의 도피-김영도
수필 2제 《등산백과》 출간 50주년에 부쳐, 이 가을 잠꼬대 같은 연륜의 넋두리-손경석
산악도서전시회의 점묘-김성진
백두대간 모니터링-이수용
길 밖의 길을 찾아라! 등정 경쟁에서 ‘登路 경쟁’으로-이용대
한국산서회 제9회 산악도서전시회 참관기-박동욱
끝나지 않은 1961년 한라산 이야기-이병태
히말라야 진출 50주년을 맞아-김병준
대마도와 독도-박재곤
나도 자연산이 좋다-박계수
소리를 들으러 간 길-권병화
김정은 시조묘를 통해서 본 북한의 미래-김태규
산가(山歌, 산 노래) 2-한상철
無等山歌-김장욱
마니산의 나뭇꾼-오영태
뺏지를 통해 본 등산, 그리고 설악산 이야기-김진덕
나의 법조 50년, 등산 반 백년-김준열
해원(解寃)-이민주
융프라우 철도, 그곳에서 보다-김기수
산과 길의 명상-조철규
산서를 만나다-유현아
2012 숭문산악부 지리산 와운골 하계훈련-이정표
수필 2제 나의 山書 수첩, 주문진 막영행사를 다녀와서-안성민
2012년 발행 산서-안일수
서평-이용대
역대임원명단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원연락처 /한국산서회 회칙 /영문목차
<표지설명: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의병장인 고경명(高敬命ㆍ1533-1592)의 시문집 《제봉집(霽峰集)》과 그의 친필. 《제봉집》은 1617년, 고경명의 아들 고용후가 편집·간행하였는데, 이 책에는 고경명이 1574년 초여름에 4박 5일간 친구들과 함께 증심사를 떠나 서석산(무등산)을 돌아보고 쓴 <유서석록>이 수록되어 있다. <유서석록>은 문장의 구성이나 경치의 묘사가 간곡해서 무등산 기행문 중 최고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자료제공ㆍ이정희(국립경상대학교 문천각)>
제24호
2013년 12월 16일 발행
책머리에-山書에 인생의 길이 있습니다-회장 권병화
특집 속리산
1. 속리산국립공원 개관-백상흠
2. 속리산국립공원의 자연생태계-황보연
3. 속리산의 역사문화지리-김윤우
4. 산은 구름을 잡지 못하고-속리산 인근의 지명과 역사적 인물-이은식
5. 속리산의 문화유산-정진해
6. 속리산유기를 통해 본 명산 속리산-김용남
7. 유속리산기-이동항 지음, 이정희 옮김
8. 속리산유기에 나타난 옛 선비들의 산수관-김용남
9. 속리산기행-김장호
10. 등산기념뺏지에 새겨져 있는 속리산 풍경-김진덕
11. 잉걸불로 남아 우리 곁에 머무르다-충북산악계를 일군 산악인들-박상호
12. 충북지역에서 발행된 산서-김영식
추모 특집 故손경석
1. 故손경석 약력-김진덕
2. 손경석 저술 단행본 출판 일람-김기수
3. 《젊은 알피니스트의 마음》 개정판 인사말(遺稿)
4. 손경석의 ‘등산 24시’-김영도
5. 영결식 추도사-권병화
6. 우산又山 손경석 선생을 회상하며-이용대
7. 又山 손경석 선생님을 추모하며-최중기
8. 《등산백과》로 읽는 손경석, 산정의 알펜글로우 같던 그 여운-김진덕
산희평-박영래
회원의 글
90에 다시 만난 중학시절 책-김영도
만약에 어느 날···-김성진
스키 마니아-박동욱
마나슬루의 개-손재식
치과의사 부츠와 선교사 맥뮬린의 백두산 탐사기-이병태•신유석 옮김
고문의 반란-박계수
낙뢰사고와 재난위험의 대책방안에 대한 연구-
①산가山歌 3, ②산악인이 알아야 할 산수山水 용어-한상철
우이성도牛耳成道-오영태
페넌트를 통해 본 등산 이야기-김진덕
나의 애장愛藏 산악 도서-김준열
우복동牛腹洞과 동천주洞天住-염상열
산의 사상과 철학-조철규
①나의 山書 수첩, ②제10회 산악도서전시회 및 산악강연회를 다녀와서-안성민
유산기를 통해 살펴본 설악산 지명고-백담계곡을 중심으로-홍하일
2013년 발행 산서-안일수
역대임원명단 /회무일지 /회원동정 /회원연락처 /한국산서회 회칙 /영문목차
표지설명: <1861년에 제작된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나타난 속리산. 지도 중앙에 위치한 최고봉이 ‘천왕봉天王峯’으로 표기되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소장. 자료제공ㆍ이정희(국립경상대학교 문천각)>
첫댓글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오우! 자료 정비 잘했습니다.
수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