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괴불주머니/자화어정초(紫花鱼灯草)







자주괴불주머니
이명:[자주현호색] [자지괴불주머니]
학명:Corydalis incisa (Thunb.) Pers.
분류군:Fumariaceae(현호색과)
일명:ムラサキケマン(Murasaki-keman)
영명:Incised Corydalis
잎
엽병은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근생엽은 길이 3-8cm로서 전체가 삼각상 난원형이고 3개씩 2회 갈라지며 소엽은 3출엽과 비슷하지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쐐기형이며 길이 1-2cm로서 결각이 있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고 밑으로 처지며 길이 15mm, 나비 3-3.5mm이고 녹색이며 흑색 윤채가 있는 종자가 튀어 나온다.
꽃
꽃은 5월에 피고 길이 4-12cm로서 홍자색이며 원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고 포는 쐐기형 비슷한 긴 타원형으로서 결각이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10-15mm이다. 화관은 길이 12-18mm로서 한쪽이 순형(脣形)으로 넓게 퍼지고 다른 한쪽은 거(距)로 되며 수술은 6개가 양체(兩體로 갈라진다.
줄기
원줄기는 여러대가 한 군데에서 나오며 높이 20-5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가지가 다소 갈라지고 뿌리와 원줄기에 잎이 달린다.
뿌리
뿌리가 긴 타원형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제주도, 전라도 및 함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이년생 초본이다.
크기
높이 20~50cm
생육 환경
산록의 그늘진 곳, 들의 나무 그늘 축축한 땅에 난다.
이용방안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지상부만을 잘라내어 잘게 썰어 끓여서 염액을 내었다. 매염제를 쓰지 않고도 짙은색이 나왔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은 그다지 좋지 않아서 다양한 색을 얻기는 힘들다.
▶전초(全草) 또는 근(根)을 자화어정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5-6월경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생것으로도 쓴다.
②성분 : 전초에는 protopine, sanguinarine, coptisine, corysamine, corynoloxine,
corynoline, isocorynoline, acetylcorynoline, acetylisocoryoline, corycavine,
l-tetrahydrocorysamine, (+)-14-epicorynoline, corycalin산(酸) methl ester,
corydamine, n-formylcorydarine, l-cheilanthifoline, l-scoulerine, coreximine,
d-reticuline, sinoacutine, pallidine, adlumidine, l-corypalmine 등 다종의 alkaloid가 함
유되어 있고 또 nonacosane-10-ol, hentriacontan-1-ol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살충, 해독의 효능이 있다. 疥癩(개라), 癬瘡(선창), 惡毒蟲瘡(악독충창), 刀傷(도상), 유치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짓찧어 바른다.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유사종
▶산괴불주머니(Corydalis speciosa Max.) : 이른 봄 줄기 끝에서 노란색 꽃이 피었다가 여름이면 시든다. 어린 싹은 겨울에도 시들지 않고 지면에 바짝 붙어 지내는 강인한 식물이다.
학명 Corydalis incisa (Thunb.) Pers.
Syn. Pl. (Persoon) 2 : 269 (1806)
1. Fumaria incisa Thunb.
Nov. Acta Petrop. 12: 104 (1801)
1) Papaveraceae. in Die naturlichen Pflanzenfamilien. Engler, A. and Prantle K. (eds), 17b. Leizig. Pp. 5-145 (Fedde, 1936)
국명 자주괴불주머니
1)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1. 자주현호색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자지괴불주머니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영문명 : Incised Corydalis
일본명 : ムラサキキケマン
북한명 : 자주괴불주머니
Corydalis incisa Pers.
Syn. Pl. (Persoon) 2(1): 269. 1806 [Nov 1806]
2(1): 269 1806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각엽자근(刻叶紫堇)
Corydalis incisa (Thunb.) Pers.
이명(异名)
Corydalis incisa var. pseudomakinoana Fedde
Corydalis incisa var. tschejiangensis Fedde
Corydalis japonica Sieber ex Miq.
Fumaria incisa Thunb.
Corydalis incisa f. pallescens Makino
Corydalis incisa var. koreana Fedde
Corydalis incisa f. liuchiuensis Nakai
Capnoides incisa Kuntze
Corydalis incisa f. bicolor Hayashi
Corydalis incisa f. candida Hiyama
Corydalis incisa var. alba S.Y.Wang
Corydalis incisa var. tschekiangensis Fedde
块茎狭椭圆形,长约1厘米,粗约5毫米,密生须根。茎高15-45厘米。叶基生并茎生;叶片轮廓三角形,长达6.5厘米,二或三回羽状全裂,一回裂片2-3对,具细柄,二或三回裂片缺刻状分裂。总状花序长3-10厘米;苞片轮廓菱形或楔形,一或二回羽状深裂,小裂片狭披针形或钻形,锐尖;萼片小;花瓣紫色,上面花瓣长1.6-2厘米,距长0.7-1. 1厘米,末端钝,下面花瓣基部稍呈囊状。蒴果椭圆状条形,长约1.5厘米,宽约2毫米;种子黑色,光滑。
分布在台湾、福建、浙江、江西、江苏、安徽、河南西南部、陕西南部、山西东南部和河北西南部;日本也有。生丘陵林下、沟边或多石处。全草入药,能杀虫,治疮癣,有毒,不宜内服。
^^^^^^^^^^^^^^^^^^^^^^^^^^^^^^^^^^^^^^^^^^^^^^^^^^^^^^^^^^^^^^^^^^^^^^^^^^^^^^^^^^^
자화어정초(紫花鱼灯草)
Corydalis incisa (Thunb.) Pers.
【出处】出自《浙江天目山药植志》
영문명(英文名)
Incised Corydalis Herb
별명(別名)
天奎草、千年老鼠矢、爆竹花、断肠草、羊不吃、野芹菜、烫伤草。
약재기원(藥材基源)
为罂粟科植物刻叶紫堇的全草及根。
채수화저장(采收和貯藏)
全草花期采,根于夏季枯萎后采挖,除去泥土杂质,鲜用或晒干。
식물형태(植物形态)
刻叶紫堇 二年生或多年生草本,高20-60cm,具特殊臭气,全体疏生白色短毛。主根有时短缩成直径约5mm的圆块。茎直立,具给棱。叶互生;具长柄;叶片轮廓三角形,长3-8cm,二至三回羽状全裂,一回裂片3-7枚,具短柄,末回裂片卵形,多缺刻,上面几无毛,下面疏生白毛。总状花序顶生,长3-10cm,疏生花10余朵;位于下部的苞片菱形,一至二回羽状分裂,小裂片狭披针形,位于上部的苞片不裂,狭披针形;萼片小,花冠紫红色,长为12-18mm,距长占外轮上瓣全长的2/3,尚平直;子房条形,柱头2裂。蒴果椭圆状条形,长约15mm,宽约2mm,略弯成弧状。种子多数,近圆形,黑色,有光泽。花期4-5月,果期5-6月。
생태배경(生态环境)
生于山坡沟边、林下草丛中或宅旁墙根下等多石外。
약화학성분(藥化學成分)
全草含多种生物碱:原阿片碱(protopine),山缘草定碱(adlumidine),左旋紫堇杷明碱(corypalmine),血根碱(sanguinarine),刻叶紫堇明碱(corysamine),黄连碱(coptisine),清风藤碱(sinoacutine),深山黄堇碱(pallidine),紫堇醇灵碱(corynoline),乙酰紫堇醇灵碱(acetylcorynoline),紫堇洛星碱(corynoloxine),紫堇文碱(corycavine),异紫堇醇灵碱(isocorynoline),乙酰异紫堇醇灵碱(acetylisocorynoline),左旋四氢刻叶紫堇明碱(tetrahydrocorysamine),紫堇酸(corydalic acid),紫颧酸甲酯(corydalic acid methyl ester),刻叶紫堇胺(corydamine),12-羟基紫堇醇灵碱(12-hydroxycorynoline),11-表紫堇醇灵碱(11-epicorynoline),6--氧紫堇醇灵碱(6-oxocorynoline),左旋碎叶紫堇碱(cheilanthifoline),左旋期氏紫堇碱(scoulerine),异种荷包牡丹碱(coreximine),右旋网叶番荔枝碱(reticuline),紫堇螺酮(corydalispirone),紫堇属醇(corydalisol),6-羟甲基紫堇醇灵碱(corynolamine),右旋紫堇醇灵碱-11-O-硫酸酯(corynoline 11-O-sulfate),刻叶紫堇胺盐酸盐(coydamine-HCL)。
약리작용(藥理作用)
深山黄堇碱在体外,低浓度对革兰氏阳性及阴性细菌即有抑菌作用;体内试验,其抗感染作用且优于磺胺类药物。血液及组织中的药物浓度维持较久,从尿、粪中排泄的速度不快。对小鼠的半数致死量为:口服大于16,皮下注射大于8g/kg。
성미(性味)
苦;辛;寒;有毒
귀경(归经)
肺;胃经
공능(功能)
해독(解毒);살충(殺蟲)。
주치(主治)
창양종독(瘡瘍腫毒);개라완선(疥癞顽癣);습진(濕疹);독사교상(毒蛇咬傷)
용법용량(用法用量)
외용:适量,捣烂敷;或煎水外洗;亦可用酒或醋磨汁外搽。
용약금기(用藥禁忌)
1.《民间常用草药汇编》:内服慎用,宜久煎,用开红花者,黄、白花忌服。
2.《四川中药志》:不宜内服。
선방(选方)
①治各种顽癣及牛皮癣: 断肠草头(块根),磨酒醋,外搽。
②治癣症:新鲜断肠草捣绒包,俟皮肤灼热冒气时,又换新药,连续敷三、四次。
③治一般疮毒: 断肠草熬水洗多次,有止痒拔毒之效。
④治痒子: 断肠草块根、铁篱笆叶、白地黄瓜。捣绒外敷。(①方以下出《四川中药志》)
⑤治脱肛: 紫花鱼灯草花及叶煎汁罨包。(《浙江天目山药植志》)
⑥治发痧头痛,腹痛,小便刺痛: 紫花鱼灯草全草一两,加仙鹤草、大叶乌梢(豆科翅茎胡枝子)、坚漆(金缕梅科JI木)各四至五钱,车前子三至四钱。水煎,早晚饭前各服一次。(《浙江天目山药植志》)
각가론술(各家論術)
1.《草木便方》:治疥癞,恶毒虫疮,蛊毒,刀伤,脚膝痹痛,乳ZHI。
2.《四川中药志》:杀虫,洗疮毒,搽癞子,治毒蛇咬伤。
출처
《중화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