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악 총의치의 주연을 구성하는 해부학적 구조
상악 총의치의 지지와 관련된 해부학적 구조
1) 상악 잔존치조제 Maxillary residual ridge
자연치치아의 상실 후 치근을 수용하고 있던 치조가 새로운 뼈로 채워지면서 치조돌기로부터 사라지고 남은 치조융기를 말한다
상악에 있어서 의치를 장착했을 때 가장 크게 압력을 받는 주압력지지부가 되며, 인상체와 의치에서는 치조제와를 형성한다
2) 상악결절 Maxillary tuberosity
잔존치조제 최후방에 있는 치조돌기 부위
총의치에서는 결절와를 형성하고 이곳에는 인공치를 배열하지 않는다
3) 절치유두 Incisive papilla
양중절치 사이 바로 설측에 위치하며 방추형의 모양이다
압박 시 자극을 피하기 위한 완압부를 만들어야하는 부위
절치유두를 통해 치조골의 흡수 정도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배열 시 전치부의 위치와 수직고경을 결정하는 해부학적인 요소이며 정중선을 설정하는 지침으로 이용된다
4) 정중구개봉선 Median palatine raphe
절치유두로부터 경구개 중앙으로 이어지며 선상으로 융기된 점막부분
총의치가 직접 닿지 않도록 완압부를 형성해야 한다
5) 횡구개주름 Palatine rugae
경구개 전방부위에서 정중구개봉선 좌우측으로 점막이 불규칙하게 돌출된 융선 모양의 부위
6) 대구개공부위
골구개 후방 양 외측부근의 구개골의 수평판과 상악골의 최후방 대구치 설측 치조돌기 사이
무치악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의 이해
하악 총의치의 주연을 구성하는
해부학적 구조
하악 총의치의 지지와 관련된
해부학적 구조
1) 상악 순소대 Maxillary labial frenum
상악 양 중절치 사이의 순측 치은에서 위쪽으로 부채꼴 모양으로 올라간 점막 주름띠
입술을 인위적으로 조작함이 없이 소대가 들어가서 움직임에 방해되지 않도록 충분히 넓고 깊어야 하지만 필요 이상으로 넓게 형성되면 의치의 유지력이 떨어질 수 있다
2) 상악 협소대 Maxillary buccal frenum
소구치의 협측치은 부근에서 윗방향으로 올라간 점막 주름띠
협소대가 움직일 수 있도록 충분히 넓게 형성해야 한다
3) 상악 순측전정 Maxillary labial vestibule
구강전정의 일부로서 순측치은에서 윗방향의 상순으로 이행하는 부위로 정중선 양측으로 순소대와 협소대 사이
4) 상악 협측전정 Maxillary buccal vestibule
구강전정의 일부로서 협측치은에서 윗방향의 뺨으로 이행하는 부위를 말하며 상악 협소대 원심으로부터 상악결절의 외측까지 이르는 부분이다
5) 익돌상악절흔 Hamular notch
접형골의 익상돌기와 상악결절 후방 사이에 형성된 절흔
상악 총의치의 양측방 후연경계가 된다
6) 구개소와 Palatine fovea
구개부 최후방의 정중구개봉선 양측으로 하나씩 점상으로 들어간 조직
모형 상에서 상악의치의 후방경계를 알 수 있는 지침이다
7) 진동선 Vibrating line
환자가 '아' 소리를 낼 때 구개부위가 떨리기 시작하는 부위를 그은 가상선
1) 하악 순소대 Mandibular labial frenum
하악 양 중절치 부위 순측치은에서 하순으로 이어지는 점막의 주름
2) 하악 협소대 Mandibular buccal frenum
하악 순소대의 원심에 있는 구조로서 하악 견치와 제1소구치 부위의 협측 치은에서 뺨으로 연결되는 점막 주름띠
3) 하악 순측전정 Mandibular labial vestibule
구강전정의 일부로서 순측 치은에서 아래 방향의 하순으로 이행하는 부위를 말하며 정중선 양측으로 순소대와 협소대 사이에 있다
4) 하악 협측전정 Mandibular buccal vestibule
협소대와 교근 지역 전방부까지의 협측 치은에서 뺨 사이의 공간
5) 교근지역 Masseter muscle region
하악 의치의 후방 원심 협측 부위의 주연을 결정하는 부위가 되며 교근이 수축할 때 의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의치상의 폭을 줄여주어야 한다.
6) 설소대 Lingual frenum
하악 중절치 설측 치은 부근에서 구강저를 따라 혀 밑으로 이어지는 점막 주름
의치를 탈락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연을 기능적으로 형성하도록 인상 채득 시 주의해야한다
7) 치조설측구 Alveololingual sulcus
혀와 잔존치조제 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설측 소대로부터 후방 후악설골막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의치의 설측변연부가 접촉하는 공간이다
1) 하악 잔존치조제 Mandibular residual ridge
의치의 주지지부
2) 구후융기 Retromolar pad
잔존치조제 최후방에 있는 볼록하게 튀어나온 연조직의 덩어리
교합평면을 설정할 때, 인공구치 배열 시 구치 배열의 후방 경계로 참조
3) 협측붕 Buccal shelf
하악 협소대와 교근 지역의 전방부 사이에 있으며, 내측으로는 잔존치조제정, 외측으로는 외사선, 전방으로는 협소대 그리고 후방으로는 구후융기가 위치한다
4) 외사선 external oblique line
하악 잔존치조제의 구치부 원심협측에 하악지의 전연으로부터 다소 예리하게 연장된 융선
5) 이공부위 Mental foramen region
하악 제1소구치 혹은 제2소구치의 치근단 부위에서 후외상방향으로 개구한 구멍
6) 설결절 Lingual tuberosity
악설골근선의 후단 하악 제3대구치의 설측부위가 골융기상으로 튀어나온 부위
7) 악설골근선 Mylohyoid ridge
기능운동 시 마찰에 의해 동통이 생기지 않도록 이 융선 밑으로 연장되어야 한다
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
댓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