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아래 글 붏은 글씨 내가 추가 함/
아프리카 앙골라의 수도 루안다가 모스크바·도쿄 등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물가가 비싼 도시로 조사됐다고 영국 일간 더타임스가 25일 보도했다.
미국 컨설팅업체 머서(Mercer)는 글로벌 기업은 이 자료로 해외 주재원 경비 상정 함. 23일 세계 214개 도시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3 생활비 순위 보고서’를 발표했다. 머서는 해외 주재원들이 각 도시에서 생활할 때 필요한 주택 구입비·교통비·식비·의류비·여가 생활비 등 200여 가지 항목을 종합하고 미국 뉴욕과 비교해 순위를 매겼다.
루안다가 1위에 오른 것은 최근 ‘오일 붐’으로 외국인 근로자가 급격히 늘고 있지만 이들이 원하는 안전한 집이 부족하고, 생필품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샐러드 한 팩은 52달러(약 5만8000원)에 팔리고 있고, 침실 3개가 있는 주택을 빌리려면 월세 1만5000달러(약 1675만원)를 내야 한다. 또 부패가 심해 상인들이 관료에게 뇌물을 주는 일이 많아 제철 과일이 런던보다 2~3배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이와 비슷한 이유로 차드의 수도 은자메나도 물가 비싼 도시 4위에 이름을 올렸다.
앙골라는 나이지리아에 이어 아프리카 2위의 석유 생산국이다. 현재 하루에 원유 175만배럴을 생산하고 있고 추정 매장량은 약 12억배럴에 이른다.
품목별 물가는 도시마다 큰 차이를 보였다. 모스크바의 커피 한 잔 가격은 8.29달러(약 9200원)이지만 니카라과 마나구아에서는 1.54달러(약 1700원)였다. 햄버거 한 개 가격은 베네수엘라 수도 카라카스에서 13.49달러(약 1만5000원), 인도 콜카타에서는 3.62달러(약 4000원)였다. 서울은 세계에서 13번째로 물가가 높은 도시로 조사됐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현지 내가 느낀 물가는 이보다 더함.
중심가 허름한 집 월세 2만불(2천만원 이해 안 갈걸~~~ 오늘 옥수수 포장 된것 쇼핑 센터 2개 힌국돈 8천500원
먹고 쉽지만 참았다.
여권 비자 관련 뒷돈 주었는데도 아직 인민국에서 도장 안찍어 주어 접수증 받아 생활 함
여권에 도장 하나 찍어주면 되는 일을 6개월 되었는데 워킹비자 안주니 미치겠디
이나라 공무원 끝빨(끝까지 빨아 먹는 식성 감탄)
상상을 초월 함...외국인 비자 공무원 뭐가 조사 할것이 있다고 서류 쳐박아 놓고 돈 더란것 같이 배짱입니다.
앙골라 석유 175만 배널 생산
사우디 1천만 배널 생산
2014년 현재 미국 세일가스1천백만 배널 생산(7년 후 10배 생산 추진 중) 이러면 산유국 돈 벌길 없음.
앙골라 쥐꼬리 만큼 원유 생산하면서(사우디에 비교) 뭔 석유로 큰소리 치는지 답답 합니다.
석유가 이나라 수출의 95% 인데 석유 앵코 되면 망할것이 보이내요....
원유 팔아 제조업 키울 생각은 안하고 현재 외국인 상대로 행폐 부리는것이 여기 체류하는 기업이 바본 줄 아는가봐..
갈치 당한 만큼 기업은 비싸게 받을수 밖에 없는 구조 인데... 기업 생리 몰라도 넘 모른다(원가 개념)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국가..
외굿인에게 불편하게 하여 바가지 쉬우고 불편하게 하면 돈나온다는것만 알고 이것이 기업 원가에 반영 되는것 정말 몰라...
여기 중국 및 외국인 기업하기 땅 집고 헤엄 치기란다..
공무원 좀 주고 10배 받으면 되니간/불법도 돈...정상도 돈=뇌물만 주면 만사 OK
강도.공무원.경찰 외국인에게 너무 갈치 합.
이곳에 머무는 외국인 이러한 조건 속에서 손해 보고 머물지 않고.
영업 계산에 들어 가는것 모르는 이나라 관료가 불상 함.
아라크 체류시(여행 금지국) 내 월 보험료 700만원이었는데 여기는 그곳 보다 더하다고 생각듬,
모든 기업이 손해 보고 여기 있는것이 아니고 그러한 경비 계산이 들어가
자기 내들이 지불하는것 모르고 눈앞의 이익만 생각 하는 나라... 참 웃긴 곳 입니다.
-----------------------------------------------------------------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앙골라의 수도 루안다의 생활비가 전 세계 211개 도시 가운데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서울시는 14위에 올라 물가가 비교적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10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CNN머니는 국제 컨설팅업체 머서(Mercer)가 전 세계 211개 도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4 생활비 조사’(Cost of Living Survey) 결과 루안다가 2년 연속 생활비가 제일 많이 드는 도시로 선정됐다고 전했다.
머서는 다국적 기업 및 정부가 외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적정 급여수준을 산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매년 세계 주요 대도시를 대상으로 주택, 교통, 음식 등 200여개 항목에 대한 물가를 조사해오고 있다. 가격 기준으로 삼는 도시는 미국 뉴욕이다.
그 결과 루안다는 30여년 이어진 내전의 영향으로 수입품목을 중심으로 물가가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꼴지를 기록한 파키스탄 남부도시 카라치와 비교하면 생활비가 3배 이상 높았다.
품목별로는 침실 2개가 딸린 아파트에 대한 월평균 임대비는 6600달러에 달했으며, 청바지 한 벌을 사려면 242.81달러를 줘야했다.
2위는 차드의 수도 은자메나였다.
은자메나에서 클럽 샌드위치에 탄산음료를 곁들여 먹으려면 평균 26달러가 들어, 샌드위치 세트 메뉴가 전 세계에서 제일 비싼 도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국 일간신문을 사보는 데 7.07달러가 드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아프리카 도시들이 나란히 1위와 2위를 차지한 것에 대해 머서는 “수입품에 프리미엄이 붙어 외국인들에겐 생활비가 꽤 비싸다”면서 “안전한 집을 찾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찾더라도) 상당히 비싼 편”이라고 설명했다.
또 아시아 도시들도 외국인들이 거주하기엔 높은 생활비가 부담스러운 곳으로 꼽혔다.
3위에 오른 홍콩을 비롯해 싱가포르(4위), 도쿄(7위), 상하이(10위) 등 총 4곳이 10위권 안에 들어갔다.
우리나라 서울은 14위였다. 베이징(11위)과 선전(17위)도 20위권에 포진했다.
이 가운데 홍콩의 경우, 침실 2개짜리 아파트 임대료가 매달 6960.04달러에 달해, 아파트 임대료가 세계에서 제일 비싼 도시로 꼽혔다. 휘발유도 1리터 당 2.17달러로 제일 비쌌다. 커피 한 잔에도 평균 6.64달러(봉사료 포함)를 내야하는 등 물가가 고루 높았다.
유럽 도시 중에서는 스위스가 10위권 내 3곳이나 진입시켜, 살인적 물가를 입증했다.
5위에 랭크된 취리히는 영화표 한 장에 평균 21.22달러가 드는 등 전반적으로 물가가 비쌌지만, 시민 4명 중 1명이 투자은행에 다닐 정도로 소득수준이 높아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머서는 설명했다.
이어 제네바(6위)와 스위스 수도 베른(8위)이 10위권 안에 들었다.
그밖에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도 9위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 물가상승률이 급격이 오른 모스크바는 우유 가격이 1리터에 6.81달러로 집계돼, 뉴욕(1.19달러)의 6배에 달했다. 집값도 월평균 임대료(침실 2개 아파트)가 4700달러로, 전 세계 도시 중 세 번째로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물가 기준도시였던 뉴욕의 순위는 지난해 조사보다 8계단 올라 16위였다.
미국 도시 중에서는 로스앤젤레스가 62위로 뒤를 이었다. 이어 샌프란시스코(74위), 호놀룰루(97위), 마이애미(98위), 보스턴(109위) 등이었다.
첫댓글 희한한 세상 다 구경하누먼


겁고 건강 하시게




계시는 동안 고생이 많으시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