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소송인단 한영수 대표와 아고라 논객 미션 등은 중앙선관위를 방문해
선관위의 대선 개표조작 문제로 선관위 직원 8명과 한판 공개 토론을 벌여 화제가 되었다.
미션은 경기 남양주와 경북 경산시의 18대 대선 1분 단위 데이터와 개표상황표가 어긋나는
자료를 제시하며 해명해 보라고 다그쳤다.
하지만 중앙선관위 직원들은 개표상황표에 적힌 위원장 공표시각 보다
1분 단위 데이터가 앞서 보고된 이유를 속시원히 설명하지 못하고 쩔쩔맸다.
미션은 출동한 경찰들까지 지켜보는 자리에서
중앙선관위 직원들이 제대로 해명도 못하고 꿀먹은 벙어리마냥 변변한 변명조차 못하자
마침내 대선 개표조작의 명백한 증거를 잡았다며 한껏 승리감에 도취된 것으로 보인다.
그가 아고라와 유튜브 등에 올린 당시의 녹음파일은 현재 여러 사람에 의해
널리 퍼지고 있다.
경기 남양주시, 경북 경산시의 1분 단위 데이터와 개표상황표를 직접 면밀히 검토해보았다.
미션과 그와 함께하는 '국민조사단A팀'이 만든 자료는 작업을 끝낸 뒤에 차이가 있는 지
비교하는 데 참고했다.
유감스럽게도 소송인단 한영수 대표나 미션은 해당 지역선관위에
직접 연락해 관련 사항에 대해 해명 요청을 하지 않았다.
중앙선관위 정보센터가 공개한 1분 단위 데이터,
정보공개로 받은 개표상황표 그리고 중앙선관위가 대선 이후에
공개한 각 투표구 후보자별 득표현황 자료 등 세 가지 자료를 취합해 만든
개표조작 증거 자료만을 들고 중앙선관위를 찾아가 해명을 요구했을 뿐이다.
미션의 주장 요지는
중앙선관위 정보센터가 지역선관위의 보고와 별 상관없이
이미 만들어 놓은 조작 데이터를 언론사에 제공했다는 것이다.
남양주와 경산시에서 위원장이 공표도 하기 전에 1분 단위 데이터가 중앙서버에
보고된 것이 그 증거라고 말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는 사실과 다르다.
중앙선관위 정보센터가 공개한 1분 단위 데이터 중 상당수가 남양주와 경산의 개표상황표에 적힌
위원장 공표 시각보다 1-5분 가량 앞서 가는 건 맞다.
물론 일부 데이터는 25분, 22분, 16분 가량 앞서 보고되기도 했다.
남양주의 상황표를 살펴보면 알 수 있듯
두 개의 투표구는 개표기 종료시간보다 위원장 공표가 앞서 가기도 한다.
그러나 1분 단위 데이터 및 상황표를 검토한 뒤 남양주와 경산선관위에 연락해
몇 차례 확인을 거친 결과 중앙선관위 정보센터가 데이터를 조작한 건 아니었다.
두 선관위 모두 위원장 공표를 마이크로 하지 않았다.
상황표 사본을 지정 장소에 게시하는 것으로 위원장 공표를 갈음했다.
개표관리매뉴얼상 이는 가능하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보고 담당 선관위 직원이
실제 위원장 공표시각과 보고시각의 착오를 일으켰다.
상황표에 적힌 위원장 공표시각 뒤에
중앙서버에 보고해야 함에도 위원장 공표가 게시로 갈음하다보니
그 시각보다 앞서 보고 버튼을 누르는 실수를 연발했다.
이 같은 현상은 순천선관위도 동일하게 나타났다(자세히 알고 싶거든 오마이뉴스 기사를 참고하기 바란다).
모두가 상황표 사본을 게시하는 것으로 위원장 공표를 대신한 선관위에서
나타난 현상이다.
매뉴얼상 위원장 공표보다 중앙서버에 보고가 먼저 돼선 안 된다.
직원의 실수라 해도 그건 잘못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경산시와 남양주의 자료를 근거로
중앙선관위가 개표조작을 했다고 주장하다가는
나중에 한방에 훅 갈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나 또한 '개표조작'의 명백한 증거를 찾고 있다.
경산시와 남양주의 자료가 그 확실한 증거였다면 얼마나 좋았겠는가.
그러나 사실이 아닌데도 그 자료를 들고 계속 개표조작 운운하다가는
그동안 온갖 고생 다하며 개표부정 제기해온 우리 모든 노력이
한 순간에 수포로 돌아갈 수 있다.
첫째도, 둘째도 사실 확인이 먼저여야 한다.
신중한 사실 확인 없이
미약한 근거로 섣불리 개표조작을 말하다가는
머지않아 우리가 부메랑을 맞을 수 있다.
* 남양주 개표상황표에 있지만 1 분단위 데이터에는 없는
두 개 투표구의 투표자수 데이터가 발견됐다. 역으로 1 분 단위 데이터에는 있지만
개표상황표에는 없는 두 개의 데이터도 있다. 그들을 합하면 같은 값이 나오지만
개별 데이터 자체는 서로 전혀 다르다.
남양주선관위는 있는 그대로 보고 했다고 하니 내일 중앙선관위 정보센터에
확인을 해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