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수욕장에서...박근혜 대통령의 시들지 않는 몸매...
네이버 지도에서...
<세종시 홈페이지에서...세종시 축제>
용암 강다리기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
강다리에서 강은 줄을 지칭하고 다리는 줄다리를 모습을 이야기하는 것이며 보름날 행해지는 민속놀이이다. 보름은 ...
조치원복숭아축제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100년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조치원복숭아는 과육이 연하고 맛과 향기, 당도가 뛰어나 충남 최초로 Q마크를 획...
세종축제
세종시 호수공원 일원
기존 도원문화제 및 왕의물 축제를 융합 발전시켜 명품도시 세종시에 걸맞는 새로운 글로벌 축제를 준비 중에 ...
세종뷰티 페스티벌(전국 미용...
세종시
문화를 선도하는 미용인과 문화를 즐기는 일반인이 공감대를 형성하는 한자리에 어우러져 축제를 즐기고 뷰티산업과...
영평사 구절초 축제
세종시 장군면 영평사길 124 ...
세종시 장군산(구 공주시에서 편입) 산자락에 위치한 영평사는 가을이면 절 안팎과 산야가 온통하얀 구절초 꽃무리로...
금강대도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금천리
금강대도는 1874년에 창도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비탄에 빠진 사람들에게 민족정신 함양과 독립의 희망을 주창하...
세종시 중앙호수공원
세종시 어진동
국내최대 규모의 세종시 중앙호수공원은 부지면적 61만㎡, 물면적 32만 2,800㎡, 담수량 50만 8천톤으로 ...
김종서 장군묘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산...
조선 단종 때의 충신인 절재(節齋) 김종서(1390~1453)장군의 묘소이다. 김종서 장군은 세종 16년(...
금강자연휴양림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산림박물관...
금강자연휴양림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많이 간직하고 있고 수종은 주로 활엽수이다. 숲에 들어가면 유유히 흐르는 ...
충남산림박물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산림박물관...
충남산림박물관은 산림자료의 영구적인 보존 전시, 산림에 대한 국민계도, 자연학습 교육 등을 목적으로 국립산림박...
영평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산학리 4...
스승이 머물고 있는 도량으로 영원하고 궁극적인 행복을 선사하는 곳이며, 또한 도량에서 추구 해야 할 일이 ...
세종시립민속박물관
전의면 금사길 75
(구)금사초등학교를 개축한 세종시립민속박물관은 민속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연구・ 전시・교육하여 생활 속 우리모습...
베어트리파크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신송로 2...
베어트리파크는 설립자 이재연 회장이 재계에 몸담았던 젊은 시절부터 주말이면 달려가 보살피고 가꿔 온 수목원입...
뒤웅박고을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배일길 9...
찾아오는길 서울방면에서 오시는경우 경부고속도로 이용 : 경부고속도로 천안 -...
비암사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비암사길 ...
경부선 전의역에서 남쪽으로 10km쯤 떨어져 있다. 기록이 없어 정확한 창건 연도는 알 수 없으나, 전하는 바에...
고복저수지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고복리 ,...
연화사를 나와서 연서면 고복리로 가면 1,949㎢ (고복리 1,949,000㎡, 용암리 805,864㎡)의 넓은...
운주산성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미곡리, ...
일명 고산산성으로 백제시대의 유물이다. 전동면 미곡리, 청송리와 전의면 동교리, 신정리 경계 지점에 운주산(45...
금이성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 산...
북쪽과 서쪽으로는 천안시, 남쪽으로는 공주시, 대전시와 맞닿은 고장이세종특별자치시이다. 평야가 넓고 복숭아가 많...
교과서박물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 산...
교과서박물관은 대한교과서(주)가 우리나라 교육 문화 발전사를 한눈에 살펴보고 미래의 한국교육 발전을 책임진다는 ...
감성리 백로서식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감성리 산...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의 백로서식지는 조선 시대부터 형성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것으로 전해진다. 백로는 백...
향토사료관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양대길 3...
향토사료관은 세종특별자치시내 출토유물, 전래유물을 모아 만든 곳으로 세종특별자치시의 역사, 문화를 살펴 볼 수 ...
황룡사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황우재길 ...
한불교 태고종에 속하는 사찰이다. 창건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조선 중기 당쟁(黨爭)을 피해...
연기대첩비공원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
연기대첩을 기념하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1997년 연서면 용암리에 있는 고복저수지의 상류에 높이 10m의 연기...
연화사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연화사길 ...
연화사는 조치원읍에서 서쪽으로 약 2km 지점에 낮은 구릉을 등지고 서향하고 있다. 현 위치는 고대 사원지와는 ...
학림사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룡로 3...
학림사는 정말 아름다운 비구니 스님들의 수행도량이다. 봄철의 학림사는 보기 드물게 아름다운 꽃밭이다. 이 곳 사...
관음암(관음사)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번암공단...
관음암이 위치한 번암사거리 근처에 도착해 골목길을 따라 관음암에 오르다 보면 과연 이런 곳에 전통사찰이 위치하고...
청안사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가느실길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가느실길 128-23에 위치하며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이다. 금성산과 작성산, 국사봉 등이 에...
신광사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토골고개...
신광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토골고개길 24 노적산에 자리한 재단법인 선학원 사찰이며, 비구니 스님들이 계신 ...
단율규방공예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 4...
귀농민이 운영하는 농원으로서 밤나무, 과일나무, 조경수 묘목 등이 있다. 농장 민박을 통해 가족과 함께 토...
정욱이네 농원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 5...
친환경 인증을 받은 콩을 이용한 전통된장, 간장, 청국장, 밤미싯가루, 배즙, 구절초차의 효소, 우렁이쌀 등 농...
나리마을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청라1길 ...
농촌체험소개 과수분양(배나무,매실나무), 텃밭분양(1구좌16㎡) 매실따기체험,고구마캐기체험,감자캐기체험참...
전동면 청솔마을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배일길 1...
농촌체험소개 벼농사체험, 채소심기 / 수확하기, 복숭아농장체험, 전통생활 체험, 인절미만들기, 메주만들기 ...
소정면 고등리 삼기효소 녹색...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매실로 3...
두부 만들기 및 시식 한지공예체험(연필꽂이, 과일쟁반 만들기) 씨뿌리기 및 시설하우스 견학 매실...
전통테마마을 금사가마골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금사길 1...
계절별 다양한 프로그램 봄 : 정월대보름 달집태우기, 감자캐기 여름 : 물고기잡기, 달구지...
세종특별자치시는 백제의 얼이 깃든 유수한 역사를 가진 고장으로 선열들의 숨결을 가는곳 마다 느낄 수 있는 지역으로 가족과 함께, 연인과 함께, 학생들과 함께 같이 여행하면서 선열들의 정신과 우리의 문화유산, 관광을 함께 할 수 있는 환상적인 드라이브 코스로 여러분을 안내하고자 합니다.
봉산향나무
먼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도착하면 작지만 알찬 소도시임을 한눈에 알 수 있게 된다. 조치원읍은 교통의 요충지이며 고려대학교, 홍익대학교가 조치원읍 서창리 , 신안리에 위치하고 있다. 조치원여고 진입로를 따라 봉산리로 넘어가면 작은 마을을 접하게 된다. 봉산리는 조치원읍의 모든 문화재가 모여있는 유서깊은 마을로 천연기념물인 봉산향나무와, 봉산영당, 최회효자문, 전주이씨열녀문이 한동네에 위치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321호인 봉산향나무는 강화최씨 최완이 조선중종때 낙향하여 이마을에 정착한후 그의 아들이 서울에서 여묘를 하러 내려왔다가 향나무를 심었다. 수령은 약 460년 정도로 지상 50cm에서 갈라진 커다란 가지와 원대가 서로 꼬고 꼬이면서 동쪽을 향하여 비스듬히 자라다가 2m 높이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동서11.2m, 남북 11m 우산처럼 펄쳐져 있다. 그 그늘에는 100여명 정도가 앉을 수 있을 정도로 넓다. 밑부분 둘레는 1.73m이고 가지와 더불어 꼬여진 원줄기의 가슴높이 둘레는 2.69m 정도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가지가 얽히고 설키면서 용이 서려있는 듯한 모습이다.
오봉산
오봉산은 조치원의 서남쪽에 위치한 비암산의 내맥이며 조치원의 진산(鎭山)이다. 높이가 262m이며 다섯봉으로 이루어져 오봉(五峰)산이며, 풍수지리상 제1봉은 목형봉(木形峰-정상봉), 제2봉은 화형봉(火形峰-牛角峰 또는 평상봉), 제3봉은 토형봉(土形峰-聖主峰), 제4봉은 금형봉(金形峰-主峰 또는 두루봉), 제5봉은 수형봉(水形峰-平當峰)으로 오행을 갖추었다. 동쪽은 조치원읍 봉산리, 서쪽은 전동면 송정리, 남쪽은 연서면 고복리이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오봉산에 안선사와 흥천사란 절이 있었고, 절터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석불과 유물은 불일선원과 향토사료관에 보관하고 있다.
오봉산 중턱의 약수터에서는 기우제와 산제를 지내어 영험한 산으로 유명하며 산의 모양이 장엄하고 엄숙한 기상(氣象)이 마치 유덕(有德)한 거인(巨人)이 책상다리를 하고 있는 것 같다. 예로부터 많은 시객(詩客)이 오봉산을 칭송했으며 연기팔경(燕岐八景)중의 하나이다. 등산로 입구에는 천연기념물 321호인 봉산향나무가 있다
연화사
4월이면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을 중심으로 연서면일대에 복숭아꽃과 배꽃이 만발하여 장관을 이룬다. 연화사를 가는 길목에는 배나무와 복숭아 과수원이 밀집하여 꽃향기 그윽한 길을 따라 연서면쪽으로 가다보면 신라인의 조각술이 돋보이는 보물을 소장한 전통사찰인 연화사를 만나게 된다. 연서면 월하리에 있는 연화사에는 통일신라시대 작품으로 추정되는 '무인명 석불상부대좌'(보물 649호)와'칠존석불상'(보물 650호)이 있다. 무인명 석불상부대 좌는 좌우 측면을 상하로 나누어 위쪽은 선정인의 불상을 아래족은 조상기를 새기고 있다. 아마도 4면 4방불을 의도한 것으로 추정되며 통일신라초기의 특이한 양식의 연화대좌로 그 조각법이 우아하다. '무인'의 간지는 신라 문무왕 18년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칠존석불상 역시 신라 문무왕 18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비상의 하나로 겹잎 연꽃무늬 기대위에 광배형 비신이 있는 것으로 앞면 전체에 걸쳐 돋을 새김으로 다양한 상을 새겼다. 연줄기 위에 본존좌불이 있고 좌우 연줄기 위에 협시보살이 서 있으며, 협시보살 좌우에 두 제자상과 두 인왕상이 서 있다. 인왕상 발밑에는 각각 사자가 앉아 있고 광배 전면에 걸쳐 불꽃무늬 7화불(현재는 5불)이 새겨져 있다. 가슴의 띠매듭이나 둥근 광배의 연꽃무늬 등은 백제양식이 엿보이는 것으로 보아 백제 유민들이 조성한 것임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고복저수지
연화사를 나와서 연서면 고복리로 가면 1,949㎢(고복리 1,949,000㎡, 용암리 805,864㎡)의 넓은 면적을 가진 고복 저수지를 만나게 된다. 주말이면 전국에서 '붕어 손맛'을 보려는 많은 낚시꾼들이 몰려드는 유명한 낚시터로 자리잡았다. 농업용수를 공급하기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가물치, 붕어, 잉어, 메기등 풍부한 어종을 가지고 있어 전국에서 많은 인파가 몰려들어 과거 연기군에서는 90년 군립공원으로 지정 관리되었다. 저수지 한편에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이화여대 미술대 강태성 교수가 조성한 야외 조각공원이 있어 방문객들에게 또 하나의 볼거리를 제공해 주고 있으며 광장이 조성되어 있어 가족단위의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다. 고복저수지 중간지점에는 '민락정'이 있어 정자에 올라 저수지를 관망하면 그 경치또한 일품이다. 고복저수지 주변에는 한방오리와 메기매운탕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등이 산재해 있어 미식가들의 입맛을 돋구어 준다
연기대첩비
연기대첩비는 고려 충렬왕 14년(1288년) 원제국에서 반란을 일으킨 합단적이 충렬왕 17년 (1291)고려를 침공 두만강에서 금강까지 국토의 3/5이 짓밟히고 임금은 개성왕도를 버리고 강화도로 피난을간 일대 난국때 고려군인 한희유, 인후, 김흔장군이 연서면 정좌산에서 합단적을 섬멸하고 철저히 소탕하여 국난을 극복한 대첩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기념비다. (역사적 문헌 :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여지승람)
- 면적 : 7,417㎡
- 규모 : H 10m(화강석), B 6.5m
- 건립년도 : 97~99년도
향토사료관
저수지를 뒤로하고 연서면 청라리로 올라가면 '향토사료관'을 만나게 된다. '96년 8월 2종 사료관 제85호로 등록된 향토사료관은 세종특별자치시와 관련된 시대별 유물 1천여점이 전시돼 있다. 박물관 입구에 들어연서면서부터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고 고려시대에는 합단적을 물리친 유서깊은 유적지였으며 우수 도자기의 생산지였던 지역 특성을 느낄 수 있다. 민속놀이 기구, 지명유래, 전설, 설화, 민속등을 조사 기록하여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지역의 역사와 조상의 얼을 느끼게 한다. 불상,무기,석탑,토기,청자,분청사기,청동유물,백자,기와,민화,상서문,목판,책,소방기구,가구등 희귀한 유물은 물론 농사와 관련된 각종 기구와 나무로 만든 쥐덫등 생활과 관련된 유물도 볼수 있다. 유치원생과 초,중,고 학생들의 단체관람이 잦으며 매월 첫째·셋째 월요일은 휴관이다.
- 입장료 일반 1,500원, 학생 1,000원, 유치원생 500원
비암사
향토사료관 관람을 마치고 백제의 혼이 서린 전통사찰 비암사로 가는 길은 전의면 다방리쪽으로 개설된 지방도를 따라 고개를 넘어가면 전의면 다방리가 나온다. 조금 지나면 자동차 1대가 겨우 지나다닐 만한 포장된 도로를 10여분 지나면 닿게된다. 비암사는 통일신라말기 도선국사가 창건한 사찰이라고는 하나 정확한 연혁을 아직은 알지 못한다. 또 2000년전 한선재오봉 원년에 창건한 삼한석탑의 형식을 따져보면 고려 중기쯤 창건된 사찰이라는 것. 비암사의 극락보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기와집 형식으로 조선후기 화려하고 장식적인 요소가 가미된 다포계 건축물이다. 극락보전내에는 닫집(당가)이 있고 매우 큰 아미타불좌상이 안치돼 있다. 1960년 극락보전 앞에 있는 3층석탑의 정상부에서 계유명 전씨 아미타불 삼존석상(국보 제 106호), 기축명 아미타여래제불보살석상(보물 제367호), 미륵보살반가석상(보물 제368호)등이 발견되었는데 백제시대 석불로 귀중한 연구자료이다. 이 국보와 보물은 현재 국립청주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극락보전과 삼층석탑은 충청남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79호, 제 119호로 각각 지정 되었다. 비암사 주변은 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여 있고 인적이 드물어 옛 산사의 풍취를 한껏 음미할 수 있다. 또한 800여년이 넘게 도량을 지켜온 커다란 느타나무가 버티고서 있다. ]
놀부 보쌈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866-5382, 868-... 다비다·이바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865-2366 돈가스클럽(양식류)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3-0708 등촌샤브칼국수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6-9955 몽마르뜨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3-3067 미소야(돈까스)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3-8777 미향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6-3173 본가장수촌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8-2979 삼일횟집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5-0745
소도한정식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8-3322 약산쌈밥갈비(한식, 쌈밥류)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7-7181 윤미네식당(한식)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7-6500 장원참숯불갈비(생고기전문점)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2-4020 지호한방삼계탕(삼계탕)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5-1136 천일갈비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5 - 2129 청해일식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4-2323 통영굴밥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8-9005 피자리아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2-7030
하늘과소나무(레스토랑)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6-0242 한우정(한식)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3-0535
경화장여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5-1074 굿모닝모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8-6060 궁전파크여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6-1321 꿈의궁전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6-2202 낙원장여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2-0082 다모아모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8-7778 대호장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2-1755 로얄파크여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5-1566 쉐라톤모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4-4500
워커힐모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8-6400 청자여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5-2918 카라모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5-2141 톰지모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5-5251 한빛파크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2-7470 해동장 여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7-0190 황실파크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044) 868-5941
http://www.sejong.go.kr/jsp/SejongLiving/Medical/PORGeneralHospital.s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