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국(朝鮮國:1393-1897) 품계(品階)
정1품(正一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최고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文官)과 서반(西班) 무관(武官)은 모두 같은 품계를 사용하였다. 상계는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하계는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이다. 종친(宗親)의 상계는 현록대부(顯祿大夫), 하계는 흥록대부(興祿大夫)이고, 의빈(儀賓)의 상계는 수록대부(綏祿大夫), 하계는 성록대부(成祿大夫)였다. 1865년 대전회통에서 종친과 의빈의 품계는 동반의 문산계에 합하였다. 내명부(內命婦)에 후궁 빈(嬪), 외명부(外命婦) 종친 처에 부부인(府夫人)·군부인(郡夫人)이 있었고, 문무관 처에 정경부인(貞敬夫人)이 있었다. 정1품(正一品)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군(君)·판종정 경(判宗正 卿), 의정부(議政府)의 영의정(領議政)·좌의정(左議政)·우의정(右議政), 제언사(堤堰司)의 도제조(都提調), 충훈부(忠勳府)의 군(君), 의빈부(儀賓府)의 위(尉), 돈녕부(敦寧府)의 영사(領事), 비변사(備邊司)의 도제조, 중추부(中樞府)의 영사, 선혜청(宣惠廳)의 도제조, 준천사(濬川司)의 도제조, 주교사(舟橋司)의 도제조, 경연청(經筵廳)의 영사, 홍문관(弘文館)의 영사, 예문관(藝文館)의 영사,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사(師)·부(傅), 춘추관(春秋館)의 영사·감사(監事), 승문원(承文院)의 도제조, 봉상시(奉常寺)의 도제조, 종부시(宗簿寺)의 도제조, 사옹원(司饔院)의 도제조, 내의원(內醫院)의 도제조, 군기시(軍器寺)의 도제조, 군자감(軍資監)의 도제조, 관상감(觀象監)의 영사(領事), 사역원(司譯院)의 도제조, 전함사(典艦司)의 도제조, 태묘서(太廟署)의 도제조, 사직서(社稷署)의 도제조, 경모궁(景慕宮)의 도제조, 문소전(文昭殿)의 도제조, 영희전(永禧殿)의 도제조, 장생전(長生殿)의 도제조, 훈련도감(訓鍊都監)의 도제조, 양향청(糧餉廳)의 도제조, 금위영(禁衛營)의 도제조, 어영청(御營廳)의 도제조, 경리청(經理廳)의 도제조, 호위청(扈衛廳)의 대장(大將)이 있었다.
종1품(從一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2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文官)과 서반(西班) 무관(武官)은 모두 같은 품계를 사용하였다. 상계(上階)는 숭록대부(崇祿大夫), 하계(下階)는 숭정대부(崇政大夫)이고, 종친(宗親)의 상계는 처음에 소덕대부(昭德大夫)에서 수덕대부(綏德大夫)로 고치고 다시 의덕대부(宜德大夫)로 고쳤으며, 하계는 가덕대부(嘉德大夫)이고, 의빈(儀賓)의 상계는 광덕대부(光德大夫) 뒤에 정덕대부(靖德大夫)라 하였고, 하계는 처음에 숭덕대부(崇德大夫) 뒤에 명덕대부(明德大夫)라고 하였다. 1865년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 종친과 의빈의 품계는 동반의 문산계에 합하였다. 내명부(內命婦)에 후궁 귀인(貴人), 외명부(外命婦)에 임금의 유모 봉보부인(奉保夫人)과 종친의 처는 군부인(郡夫人), 문무관의 처는 정경부인(貞敬夫人)이 있었다. 종1품(從一品)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군(君)·지종정 경(知宗正 卿), 의정부(議政府)의 좌찬성(左贊成)·우찬성(右贊成), 제언사(堤堰司)의 제조(提調), 충훈부(忠勳府)의 군, 의빈부(儀賓府)의 위(尉), 돈령부(敦寧府)의 판사(判事), 비변사(備邊司)의 제조, 중추부(中樞府)의 판사, 선혜청(宣惠廳)의 제조, 준천사(濬川司)의 제조, 주교사(舟橋司)의 제조, 의금부(義禁府)의 판사, 규장각(奎章閣)의 제거(提學), 교서관(校書館)의 제조,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이사(貳師),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사(師)·부(傅), 승문원(承文院)의 제조, 봉상시(奉常寺)의 제조, 종부시(宗簿寺)의 제조, 사옹원(司饔院)의 제조, 상의원(尙衣院)의 제조, 사복시(司僕寺)의 제조, 군기시(軍器寺)의 제조, 사섬시(司贍寺)의 제조, 군자감(軍資監)의 제조, 장악원(掌樂院)의 제조, 관상감(觀象監)의 제조, 전의감(典醫監)의 제조, 사역원(司譯院)의 제조가 있었다.
정2품(正二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3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文官)과 서반(西班) 무관(武官)은 모두 같은 품계를 사용하였다. 상계(上階)는 정헌대부(正憲大夫), 하계(下階)는 자헌대부(資憲大夫)이고, 종친(宗親)의 상계는 숭헌대부(崇憲大夫), 하계는 승헌대부(承憲大夫)이었고, 의빈(儀賓)의 상계는 봉헌대부(奉憲大夫), 하계는 통헌대부(通憲大夫)였다. 1865년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 종친과 의빈의 품계는 동반의 문산계에 합하였다. 내명부(內命婦)에 후궁 소의(昭儀), 외명부(外命婦)에 군주(郡主), 종친 처에 현부인(縣夫人)이 있었고, 문무관의 처에 정부인(貞夫人)이 있었다. 정2품(正二品)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군(君)·지종정 경(知宗正 卿), 의정부(議政府)의 좌참찬(左參贊)·우참찬(右參贊), 제언사(堤堰司)의 제조(提調), 충훈부(忠勳府)의 군(君), 의빈부(儀賓府)의 위(尉), 돈령부(敦寧府)의 지사(知事), 비변사(備邊司)의 제조, 중추부(中樞府)의 지사, 선혜청(宣惠廳)의 제조, 준천사(濬川司)의 제조, 주교사(舟橋司)의 제조, 의금부(義禁府)의 지사, 이조(吏曹)·호조(戶曹)·예조(禮曹)·병조(兵曹)·형조(刑曹)·공조(工曹)의 판서(判書), 한성부(漢城府)의 판윤(判尹), 수원부(水原府)의 유수(留守), 광주부(廣州府)의 유수, 5위도총부(五衛都總府)의 도총관(都總官), 규장각(奎章閣)의 제거(提學), 교서관(校書館)의 제조, 경연청(經筵廳)의 지사, 홍문관(弘文館)의 대제학(大提學), 예문관(藝文館)의 대제학,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좌빈객(左賓客)·우빈객(右賓客), 성균관(成均館)의 지사, 춘추관(春秋館)의 지사, 승문원(承文院)의 제조, 봉상시(奉常寺)의 제조, 종부시(宗簿寺)의 제조, 사옹원(司饔院)의 제조, 내의원(內醫院)의 제조, 상의원(尙衣院)의 제조, 사복시(司僕寺)의 제조, 군기시(軍器寺)의 제조, 사섬시(司贍寺)의 제조, 군자감(軍資監)의 제조, 장악원(掌樂院)의 제조, 관상감(觀象監)의 제조, 전의감(典醫監)의 제조, 사역원(司譯院)의 제조, 훈련원(訓鍊院)의 지사, 선공감(繕工監)의 제조,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의 제조, 사도시(司䆃寺)의 제조, 사재감(司宰監)의 제조, 전함사(典艦司)의 제조, 전연사(典涓司)의 제조, 소격서(昭格署)의 제조, 태묘서(太廟署)의 제조, 사직서(社稷署)의 제조, 경모궁(景慕宮)의 제조, 제용감(濟用監)의 제조, 평시서(平市署)의 제조, 전생서(典牲署)의 제조, 내자시(內資寺)의 제조, 내섬시(內贍寺)의 제조, 예빈시(禮貧寺)의 제조, 전설사(典設司)의 제조, 장흥고(長興庫)의 제조, 빙고(氷庫)의 제조, 장원서(掌苑署)의 제조, 사포서(司圃署)의 제조, 사축서(司畜署)의 제조, 조지서(造紙署)의 제조, 혜민서(惠民署)의 제조, 도화서(圖畵署)의 제조, 활인서(活人署)의 제조, 와서(瓦署)의 제조, 귀후서(歸厚署)의 제조, 문소전(文昭殿)·연은전(延恩殿)·영희전(永禧殿)·화녕전(華寧殿)·장생전(長生殿)의 제조, 훈련도감(訓鍊都監)·양향청(糧餉廳)·금위영(禁衛營)·어영청(御營廳)의 제조, 용호영(龍虎營)의 별장(別將), 총리영(摠理營)의 사(使), 수어청(守禦廳)의 사가 있었다.
종2품(從二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4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文官)과 서반(西班) 무관(武官)은 모두 같은 품계를 사용하였다. 상계(上階)는 가정대부(嘉靖大夫)에서 후에 가의대부(嘉義大夫)로 고쳤고, 하계(下階)는 가선대부(嘉善大夫)이고, 종친(宗親)의 상계는 중의대부(中議大夫), 하계는 정의대부(正議大夫)에서 후에 소의대부(昭義大夫)로 고쳤다. 의빈(儀賓)의 상계는 자의대부(資義大夫), 하계는 순의대부(順義大夫)이었다. 1865년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 종친과 의빈의 품계는 동반의 문산계에 합하였다. 내명부(內命婦)에 후궁 숙의(淑儀), 세자궁(世子宮)에 양제(良娣)가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 종친 처에 현부인(縣夫人)이 있었고, 문무관 처에 정부인(貞夫人)이 있었다. 종2품(從二品)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군(君)·종정 경(宗正 卿), 제언사(堤堰司)의 제조(提調), 충훈부(忠勳府)의 군(君), 의빈부(儀賓府)의 위(尉), 돈령부(敦寧府)의 동지사(同知事), 비변사(備邊司)의 제조, 중추부(中樞府)의 동지사, 선혜청(宣惠廳)의 제조, 준천사(濬川司)의 제조, 주교사(舟橋司)의 제조, 의금부(義禁府)의 동지사, 이조(吏曹)·호조(戶曹)·예조(禮曹)·병조(兵曹)·형조(刑曹)·공조(工曹)의 참판(參判), 한성부(漢城府)의 좌윤(左尹)·우윤(右尹), 5위도총부(五衛都總府)의 부총관(副總官), 규장각(奎章閣)의 제거(提學)·직제학(直提學), 교서관(校書館)의 제조·부제조(副提調), 사헌부(司憲府)의 대사헌(大司憲), 개성부(開城府)의 유수(留守), 강화부(江華府)의 유수, 경연청(經筵廳)의 동지사, 홍문관(弘文館)의 제학(提學), 예문관(藝文館)의 제학,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좌부빈객(左副賓客)·우부빈객(右副賓客),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좌유선(左諭善)·우유선(右諭善), 성균관(成均館)의 동지사, 춘추관(春秋館)의 동지사, 승문원(承文院)의 제조, 봉상시(奉常寺)의 제조, 종부시(宗簿寺)의 제조, 사옹원(司饔院)의 제조, 상의원(尙衣院)의 제조, 사복시(司僕寺)의 제조, 군기시(軍器寺)의 제조, 사섬시(司贍寺)의 제조, 군자감(軍資監)의 제조, 장악원(掌樂院)의 제조, 관상감(觀象監)의 제조, 전의감(典醫監)의 제조, 사역원(司譯院)의 제조, 5위(五衛)의 장(將), 겸사복(兼司僕)의 장, 내금위(內禁衛)의 장, 우림위(雨林衛)의 장, 사도시(司䆃寺)의 제조, 사재감(司宰監)의 제조, 전함사(典艦司)의 제조, 전연사(典涓司)의 제조, 소격서(昭格署)의 제조, 태묘서(太廟署)의 제조, 사직서(社稷署)의 제조, 경모궁(景慕宮)의 제조, 제용감(濟用監)의 제조, 평시서(平市署)의 제조, 전생서(典牲署)의 제조, 내자시(內資寺)의 제조, 내섬시(內贍寺)의 제조, 예빈시(禮貧寺)의 제조, 전설사(典設司)의 제조, 장흥고(長興庫)의 제조, 빙고(氷庫)의 제조, 장원서(掌苑署)의 제조, 사포서(司圃署)의 제조, 사축서(司畜署)의 제조, 조지서(造紙署)의 제조, 혜민서(惠民署)의 제조, 도화서(圖畵署)의 제조, 활인서(活人署)의 제조, 와서(瓦署)의 제조, 귀후서(歸厚署)의 제조, 문소전(文昭殿)의 제조, 연은전(延恩殿)의 제조, 영희전(永禧殿)의 제조, 화녕전(華寧殿)의 제조, 장생전(長生殿)의 제조, 훈련도감(訓鍊都監)의 대장(大將)·중군(中軍), 금위영(禁衛營)의 대장·중군, 어영청(御營廳)의 대장·중군, 총융청(摠戎廳)의 사(使)·중군, 경리청(經理廳)의 제조, 용호영(龍虎營)의 장, 포도청(捕盜廳)의 좌대장(左大將)·우대장(右大將), 관리영(管理營)의 사, 진무영(鎭撫營)의 사, 내시부(內侍府)의 상선(尙膳)이 있었다. 외직 문관으로 8도(八道)의 관찰사(觀察使), 영흥부(永興府: 후에 함흥(咸興))·평양부(平壤府)·전주부(全州府)·경주부(慶州府)의 부윤(府尹), 외직 무관으로 8도의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와 경기·강원·함경·평안도의 방어사(防禦使), 경기도의 수군통어사(水軍統禦使), 경기·전라·평안도의 수군방어사(水軍防禦使), 경상도의 수군통제사(水軍統制使)·중군이 있었다.
정3품(正三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5위의 품계(品階)이다. 상계를 당상관(堂上官), 하계를 당하관(堂下官)이라 하고 당상관 동반(東班) 문관(文官)의 품계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서반(西班) 무관(武官)의 품계는 절충장군(折衝將軍)이고, 종친(宗親)은 명선대부(明善大夫), 의빈(儀賓)은 봉순대부(奉順大夫)이다. 내명부(內命婦)에 소용(昭容)이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에는 현주(縣主), 종친 처는 신부인(愼夫人), 문무관 처는 숙부인(淑夫人)이 있었다. 당하관(堂下官) 동반은 통훈대부(通訓大夫), 서반은 어모장군(禦侮將軍), 종친은 창선대부(彰善大夫), 의빈은 정순대부(正順大夫)가 있었다. 외명부의 종친 처는 신인(愼人), 문무관 처는 숙인(淑人)이 있었다. 1865년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 종친과 의빈의 품계는 동반의 문산계에 합하였다. 정3품(正三品) 당상관의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도정(都正)·정(正), 의빈부(儀賓府)의 부위(副尉)·첨위(僉尉), 돈녕부(敦寧府)의 도정(都正), 기로소(耆老所)의 기로소 당상(耆老所 堂上), 종친부·충훈부(忠勳府)·비변사(備邊司)의 유사 당상(有司 堂上), 비변사의 구관 당상(句管 堂上)·공시 당상(貢市 堂上), 관상감(觀象監)의 금루 당상(禁漏 堂上), 사역원(司譯院)의 4학 훈도 당상(四學 訓導 堂上), 비변사(備邊司)의 부제조(副提調), 중추부(中樞府)의 첨지사(僉知事), 준천사(濬川司)·주교사(舟橋司)의 도청(都廳), 이조(吏曹)·호조(戶曹)·예조(禮曹)·병조(兵曹)·형조(刑曹)·공조(工曹)의 참의(參議), 병조의 참지(參知), 규장각(奎章閣)의 직제학(直提學), 교서관(校書館)의 부제조, 승정원(承政院)의 도승지(都承旨)·좌승지(左承旨)·우승지(右承旨)·좌부승지(左副承旨)·우부승지(右副承旨)·동부승지(同副承旨), 장예원(掌隷院)의 판결사(判決事), 사간원(司諫院)의 대사간(大司諫), 경연청(經筵廳)의 참찬관(參贊官), 홍문관(弘文館)의 부제학(副提學),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찬선(贊善)·보덕(輔德)·겸보덕(兼輔德),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좌유선(左諭善)·우유선(右諭善), 성균관(成均館)의 대사성(大司成)·좨주(祭酒), 상서원(尙瑞院)의 정(正), 춘추관(春秋館)의 수찬관(修撰官), 승문원(承文院)의 부제조, 사옹원(司饔院)의 부제조, 내의원(內醫院)의 부제조, 상의원(尙衣院)의 부제조, 훈련원(訓鍊院)의 도정,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전옥서(典獄署)의 부제조, 훈련도감(訓鍊都監)의 별장(別將)·국별장(局別將)·천총(千摠), 금위영(禁衛營)의 별장·기사장(騎士將)·천총, 어영청(御營廳)의 별장·별후부천총(別後部千摠)·천총·기사장, 총융청(摠戎廳)의 천총·진영장(鎭營將), 북한산성(北漢山城)의 관성장(管城將), 경리청(經理廳)의 관성장, 호위청(扈衛廳)의 별장, 수어청(守禦廳)의 중군·별장·진영장, 관리영(管理營)의 중군·천총·별장·종사관(從事官), 진무영(鎭撫營)의 중군·종사관·진영장·천총, 내시부(內侍府)의 상온(尙醞)이 있었다. 외직 무관으로 경기·경상·전라·평안도의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평안·경상도의 병마우후(兵馬虞侯), 8도의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전라도의 수군절제사(水軍節制使), 경기도의 수군중군(水軍中軍), 팔도 수군의 순영중군(巡營中軍)·진영장(鎭營將), 함경도의 위장(衛將)이 있었다. 정3품 당하관의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정(正), 의빈부(儀賓府)의 부위(副尉)·첨위(僉尉), 돈녕부(敦寧府)의 정(正), 규장각(奎章閣)의 직각(直閣), 교서관(校書館)의 판교(判校), 홍문관(弘文館)의 직제학(直提學), 예문관(藝文館)의 직제학,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좌유선(左諭善)·우유선(右諭善), 춘추관(春秋館)의 편수관(編修官), 승문원(承文院)의 판교(判校), 통례원(通禮院)의 좌통례(左通禮)·우통례(右通禮), 봉상시(奉常寺)의 정, 종부시(宗簿寺)의 정, 사옹원(司饔院)의 정·제거(提擧), 내의원(內醫院)의 정, 상의원(尙衣院)의 정, 사복시(司僕寺)의 정, 군기시(軍器寺)의 정, 사섬시(司贍寺)의 정, 군자감(軍資監)의 정, 장악원(掌樂院)의 정, 관상감(觀象監)의 정, 전의감(典醫監)의 정, 사역원(司譯院)의 정, 5위(五衛)의 상호군(上護軍), 훈련원(訓鍊院)의 정,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선공감(繕工監)의 정, 사도시(司䆃寺)의 정, 사재감(司宰監)의 정, 제용감(濟用監)의 정, 내자시(內資寺)의 정, 내섬시(內贍寺)의 정, 예빈시(禮貧寺)의 정, 총리영(摠理營)의 별효장(別驍將)·종사관(從事官)·중군(中軍), 내시부(內侍府)의 상다(尙茶)가 있었다. 외직 문관(外職 文官)으로 8도 20목(二十牧: 여주·파주·양주·충주·청주·공주·홍주·상주·진주·성주·나주·제주·광주·능주·황주·해주·원주·길주·안주·정주)의 목사(牧使), 안동(安東)·강릉(江陵)·영변(寧邊)·안변(安邊)의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가 있었다.
종3품(從三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6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의 품계로 상계(上階)는 중직대부(中直大夫), 하계(下階)는 중훈대부(中訓大夫), 서반(西班) 무관의 품계로 상계는 건공장군(建功將軍), 하계는 보공장군(保功將軍), 종친(宗親)의 품계로 상계는 보신대부(保信大夫), 하계는 자신대부(資信大夫), 의빈(儀賓)의 상계는 명신대부(明信大夫), 하계는 돈신대부(敦信大夫)였다. 1865년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 종친과 의빈의 품계는 동반의 문산계에 합하였다. 내명부(內命婦)에 숙용(淑容), 세자궁에 양원(良媛)이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의 종친 처는 신인(愼人), 문무관 처는 숙인(淑人)이 있었다. 종3품(從三品)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부정(副正), 의빈부(儀賓府)의 첨위(僉尉), 돈녕부(敦寧府)의 부정, 규장각(奎章閣)의 직각(直閣), 사헌부(司憲府)의 집의(執義), 사간원(司諫院)의 사간(司諫), 홍문관(弘文館)의 전한(典翰), 성균관(成均館)의 사성(司成), 춘추관(春秋館)의 편수관(編修官), 승문원(承文院)의 참교(參校), 통례원(通禮院)의 상례(相禮)·익례(翊禮), 봉상시(奉常寺)의 부정, 사옹원(司饔院)의 제거(提擧), 사복시(司僕寺)의 부정, 군기시(軍器寺)의 부정, 사섬시(司贍寺)의 부정, 군자감(軍資監)의 부정, 관상감(觀象監)의 부정, 전의감(典醫監)의 부정, 사역원(司譯院)의 부정, 5위(五衛)의 대호군(大護軍), 훈련원(訓鍊院)의 부정,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선공감(繕工監)의 부정, 사도시(司䆃寺)의 부정, 사재감(司宰監)의 부정, 제용감(濟用監)의 부정, 내자시(內資寺)의 부정, 내섬시(內贍寺)의 부정, 예빈시(禮貧寺)의 부정, 관리영(管理營)의 백총(百摠), 내시부(內侍府)의 상약(尙藥)이 있었다. 외직 문관으로 8도(八道)의 도호부사(都護府使), 숭의전(崇義殿)의 사(使), 외직 무관으로 8도의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 충청·경상·전라·황해·함경도의 병마우후(兵馬虞侯), 7도(함경도 제외)의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가 있었다.
정4품(正四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7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의 품계로 상계(上階)는 봉정대부(奉正大夫), 하계(下階)는 봉렬대부(奉烈大夫), 서반(西班) 무관의 품계로 상계는 진위장군(振威將軍), 하계는 소위장군(昭威將軍), 종친(宗親)의 품계로 상계는 선휘대부(宣徽大夫), 하계는 광휘대부(廣徽大夫)가 있었다. 1865년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 종친의 품계는 동반의 문산계에 합하였다. 내명부(內命婦)에 소원(昭媛)이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의 종친 처는 혜인(惠人), 문무관 처는 영인(令人)이 있었다. 정4품(正四品)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수(守)·전첨(典籤), 의정부(議政府)의 사인(舍人), 규장각(奎章閣)의 직각(直閣), 사헌부(司憲府)의 장령(掌令), 경연청(經筵廳)의 시강관(侍講官), 홍문관(弘文館)의 응교(應敎), 예문관(藝文館)의 응교,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진선(進善)·필선(弼善)·겸필선(兼弼善), 성균관(成均館)의 사예(司藝)·사업(司業), 춘추관(春秋館)의 편수관(編修官), 통례원(通禮院)의 봉례(奉禮), 사옹원(司饔院)의 제검(提檢), 5위(五衛)의 호군(護軍),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종학(宗學)의 도선(導善),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의 제검, 풍저창(豊儲倉)의 수(守), 광흥창(廣興倉)의 수, 예빈시(禮貧寺)의 제검, 전설사(典設司)의 수·제검, 내시부(內侍府)의 상전(尙傳)이 있었다. 외직 무관으로 충청·경상·전라·황해도의 수군 우후(水軍 虞侯)가 있었다.
종4품(從四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8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의 품계로 상계(上階)는 조산대부(朝散大夫), 하계(下階)는 조봉대부(朝奉大夫), 서반(西班) 무관의 품계로 상계는 정략장군(定略將軍), 하계는 선략장군(宣略將軍), 종친(宗親)의 품계로 상계는 봉성대부(奉成大夫), 하계는 광성대부(光成大夫)가 있었다. 1865년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 종친의 품계는 동반의 문산계에 합하였다. 내명부(內命婦)에 숙원(淑媛), 세자궁(世子宮)에 승휘(承徽)가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의 종친 처는 혜인(惠人), 문무관 처는 영인(令人)이 있었다. 종4품(從四品)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부수(副守), 충훈부(忠勳府)의 경력(經歷), 의빈부(儀賓府)의 경력, 돈녕부(敦寧府)의 첨정(僉正), 중추부(中樞府)의 경력, 의금부(義禁府)의 경력, 한성부(漢城府)의 서윤(庶尹), 5위도총부(五衛都總府)의 경력, 규장각(奎章閣)의 직각(直閣), 개성부(開城府)의 경력, 강화부(江華府)의 경력, 홍문관(弘文館)의 부응교(副應敎),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좌익선(左翊善)·우익선(右翊善), 춘추관(春秋館)의 편수관(編修官), 승문원(承文院)의 교감(校勘), 봉상시(奉常寺)의 첨정, 종부시(宗簿寺)의 첨정, 사옹원(司饔院)의 제검(提檢)·첨정, 내의원(內醫院)의 첨정, 상의원(尙衣院)의 첨정, 사복시(司僕寺)의 첨정, 군기시(軍器寺)의 첨정, 사섬시(司贍寺)의 첨정, 군자감(軍資監)의 첨정, 장악원(掌樂院)의 첨정, 관상감(觀象監)의 첨정, 전의감(典醫監)의 첨정, 사역원(司譯院)의 첨정, 5위(五衛)의 부호군(副護軍), 훈련원(訓鍊院)의 첨정,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선공감(繕工監)의 첨정, 사도시(司䆃寺)의 첨정, 사재감(司宰監)의 첨정, 전함사(典艦司)의 제검, 전연사(典涓司)의 제검, 제용감(濟用監)의 첨정, 내자시(內資寺)의 첨정, 내섬시(內贍寺)의 첨정, 예빈시(禮貧寺)의 첨정·제검, 전설사(典設司)의 수(守)·제검, 훈련도감(訓鍊都監)의 파총(把摠), 금위영(禁衛營)의 파총·외방겸파총(外方兼把摠), 어영청(御營廳)의 파총·외방겸파총, 총융청(摠戎廳)의 파총, 북한산성(北漢山城)의 파총, 경리청(經理廳)의 파총, 총리영(摠理營)의 파총, 수어청(守禦廳)의 파총, 관리영(管理營)의 파총, 진무영(鎭撫營)의 파총, 내시부(內侍府)의 상책(尙册)이 있었다. 외직 문관으로 8도(八道)의 군수(郡守), 숭의전(崇義殿)의 수(守), 평양부(平壤府)의 서윤, 외직 무관으로 8도의 병마동첨절제사(兵馬同僉節制使), 경기·황해·함경·평안도의 병마만호(兵馬萬戶), 7도(평안도 제외)의 수군동첨절제사(水軍同僉節制使)·수군만호(水軍萬戶)가 있었다.
정5품(正五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9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 상계(上階)는 통덕 낭(通德 郞), 하계(下階)는 통선 낭(通善 郞), 토관(土官)은 통의 낭(通議 郞), 서반(西班) 무관 상계는 과의 교위(果毅 校尉), 하계는 충의 교위(忠毅 校尉), 토관은 건충 대위(建忠 隊尉)가 있었다. 종친(宗親) 상계는 통직 낭(通直 郞), 하계는 병직 낭(秉直 郞)이 있었다. 1865년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 종친의 품계는 동반의 문산계에 합하였다. 내명부(內命婦)에 상궁(尙宮)·상의(尙儀)가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의 종친 처는 온인(溫人), 문무관 처는 공인(恭人)이 있었다. 정5품(正五品)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영(令)·전부(典簿), 의정부(議政府)의 검상(檢詳), 이조(吏曹)·호조(戶曹)·예조(禮曹)·병조(兵曹)·형조(刑曹)·공조(工曹)의 정랑(正郞), 규장각(奎章閣)의 직각(直閣), 사헌부(司憲府)의 지평(持平), 장예원(掌隷院)의 사의(司議), 사간원(司諫院)의 헌납(獻納), 경연청(經筵廳)의 시독관(侍讀官), 홍문관(弘文館)의 교리(校理),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문학(文學)·겸문학(兼文學), 성균관(成均館)의 직강(直講), 춘추관(春秋館)의 기주관(記注官), 통례원(通禮院)의 찬의(贊儀), 상의원(尙衣院)의 별좌(別坐), 군기시(軍器寺)의 별좌, 5위(五衛)의 사직(司直),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종학(宗學)의 전훈(典訓),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의 별좌, 전함사(典艦司)의 별좌, 전연사(典涓司)의 별좌, 내수사(內需司)의 전수(典需)·별좌,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좌익위(左翊衛)·우익위(右翊衛), 예빈시(禮貧寺)의 별좌, 전설사(典設司)의 별좌, 장생전(長生殿)의 낭청(郞廳), 내시부(內侍府)의 상호(尙弧)가 있었다. 동반 토관직으로 함흥부(咸興府)·평양부(平壤府)·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도무(都務), 서반 토관직으로 진북위(鎭北衛)·진서위(鎭西衛)·진변위(鎭邊衛)·진봉위(鎭封衛)의 여직(勵直)이 있었다.
종5품(從五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10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 상계(上階)는 봉직 낭(奉直 郞), 하계(下階)는 봉훈 낭(奉訓 郞), 토관(土官)은 봉의 낭(奉議 郞), 서반(西班) 무관 상계는 현신 교위(顯信 校尉), 하계는 창신 교위(彰信 校尉), 토관은 여충 대위(勵忠 隊尉)가 있었다. 종친(宗親) 상계는 근절 낭(謹節 郞), 하계는 신절 낭(愼節 郞)이 있었다. 1865년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 종친의 품계는 동반의 문산계에 합하였다. 내명부(內命婦)에 상복(尙服)·상식(尙食), 세자궁(世子宮)에 소훈(昭訓)이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의 종친 처는 온인(溫人), 문무관 처는 공인(恭人)이 있었다. 종5품(從五品)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부령(副令), 충훈부(忠勳府)의 도사(都事), 의빈부(儀賓府)의 도사, 돈녕부(敦寧府)의 판관(判官), 중추부(中樞府)의 도사, 한성부(漢城府)의 판관, 수원부(水原府)의 판관, 광주부(廣州府)의 판관, 5위도총부(五衛都總府)의 도사, 규장각(奎章閣)의 직각(直閣), 교서관(校書館)의 교리(校理)·겸교리(兼校理)·별좌(別坐), 개성부(開城府)의 도사, 충익부(忠翊府)의 도사, 홍문관(弘文館)의 부교리(副校理),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좌권독(左勸讀)·우권독(右勸讀), 상서원(尙瑞院)의 판관, 춘추관(春秋館)의 기주관(記注官), 승문원(承文院)의 교리, 봉상시(奉常寺)의 판관, 사옹원(司饔院)의 판관, 내의원(內醫院)의 판관, 상의원(尙衣院)의 별좌·판관, 사복시(司僕寺)의 판관, 군기시(軍器寺)의 별좌·판관, 군자감(軍資監)의 판관, 관상감(觀象監)의 판관, 전의감(典醫監)의 판관, 사역원(司譯院)의 판관, 5위(五衛)의 부사직(副司直), 훈련원(訓鍊院)의 판관,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선공감(繕工監)의 판관,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의 별좌, 광흥창(廣興倉)의 영(令), 전함사(典艦司)의 별좌, 전연사(典涓司)의 별좌, 내수사(內需司)의 별좌,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좌사어(左司禦)·우사어(右司禦), 소격서(昭格署)의 영, 태묘서(太廟署)의 영, 사직서(社稷署)의 영, 경모궁(景慕宮)의 영, 제용감(濟用監)의 판관, 평시서(平市署)의 영, 사온서(司醞署)의 영, 전생서(典牲署)의 판관, 5부(五部)의 영, 내자시(內資寺)의 판관, 내섬시(內贍寺)의 판관, 예빈시(禮貧寺)의 판관·별좌, 전설사(典設司)의 별좌, 의영고(義盈庫)의 영, 장흥고(長興庫)의 영, 빙고(氷庫)의 별좌, 조경묘(肇慶廟)·경기전(慶基殿)·영희전(永禧殿)·장녕전(長寧殿)·화령전(華寧殿)의 영, 장생전(長生殿)의 낭청(郞廳), 건원릉(健元陵)·제릉(齊陵)·정릉(貞陵)·후릉(厚陵)·영릉(英陵)·현릉(顯陵)·장릉(莊陵)·사릉(思陵)·광릉(光陵)·경릉(敬陵)·창릉(昌陵)·공릉(恭陵)·온릉(溫陵)·효릉(孝陵)·강릉(康陵)·장릉(章陵)·장릉(長陵)·휘릉(徽陵)·영릉(寧陵)·숭릉(崇陵)·명릉(明陵)·익릉(翼陵)·의릉(懿陵)·혜릉(惠陵)·홍릉(弘陵)·영릉(永陵)·건릉(健陵)·인릉(仁陵)·수릉(綏陵)·현륭원(顯隆園)·휘경원(徽慶園)의 영(令), 내시부(內侍府)의 상탕(尙帑)이 있었다. 외직 문관으로 8도(八道)의 도사(都事)·판관(判官), 7도(함경도 제외)의 현영(縣令), 숭의전(崇義殿)의 영, 동반 토관직으로 함흥부(咸興府)·평양부(平壤府)·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장부(掌簿), 서반 토관직으로 진북위(鎭北衛)·진서위(鎭西衛)·진변위(鎭邊衛)·진봉위(鎭封衛)의 부여직(副勵直)이 있었다.
정6품(正六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11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 상계(上階)는 승의 낭(承議 郞), 하계(下階)는 승훈 낭(承訓 郞), 잡직(雜職) 상계는 공직 낭(供職 郞), 하계는 여직 낭(勵職 郞), 토관(土官)은 선직 낭(宣職 郞), 서반(西班) 무관 상계는 돈용 교위(敦勇 校尉), 하계는 진용 교위(進勇 校尉), 잡직 상계는 봉임 교위(奉任 校尉), 하계는 수임 교위(修任 校尉), 토관은 건신 대위(健信 隊尉)가 있었다. 종친(宗親) 상계는 집순 낭(執順 郞), 하계는 종순 낭(從順 郞)이 있었다. 1865년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 종친의 품계는 동반의 문산계에 합하였다. 내명부(內命婦)에 상침(尙寢)·상공(尙功)이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의 종친 처는 순인(順人), 문무관 처는 의인(宜人)이 있었다. 정6품(正六品)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감(監), 이조(吏曹)·호조(戶曹)·예조(禮曹)·병조(兵曹)·형조(刑曹)·공조(工曹)의 좌랑(佐郞), 규장각(奎章閣)의 직각(直閣), 교서관(校書館)의 별제(別提), 사헌부(司憲府)의 감찰(監察), 장예원(掌隷院)의 사평(司評), 사간원(司諫院)의 정언(正言), 경연청(經筵廳)의 검토관(檢討官), 홍문관(弘文館)의 수찬(修撰),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사서(司書)·겸사서(兼司書), 성균관(成均館)의 전적(典籍), 춘추관(春秋館)의 기사관(記事官), 승문원(承文院)의 교검(校檢), 상의원(尙衣院)의 별제, 군기시(軍器寺)의 별제, 5위(五衛)의 사과(司果),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종학(宗學)의 사회(司誨),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의 별제, 전함사(典艦司)의 별제, 전연사(典涓司)의 별제, 내수사(內需司)의 별제,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좌익찬(左翊贊)·우익찬(右翊贊), 소격서(昭格署)의 별제, 예빈시(禮貧寺)의 별제, 장원서(掌苑署)의 장원(掌苑), 사포서(司圃署)의 사포(司圃), 장생전(長生殿)의 낭청(郞廳), 총리영(摠理營)의 척후장(斥候將), 내시부(內侍府)의 상세(尙洗)가 있었다. 외직 무관으로 함경·평안도의 병마평사(兵馬評事)와 함경도의 수군평사가 있었다. 동반 잡직으로 액정서(掖庭署)의 사알(司謁)·사약(司鑰), 장악원(掌樂院)의 전악(典樂)이 있었다. 동반 토관직으로 평양부(平壤府)·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교부(校簿), 서반 토관직으로 진북위(鎭北衛)·진서위(鎭西衛)·진변위(鎭邊衛)·진봉위(鎭封衛)·진강위(鎭江衛)·회원위(懷遠衛)·유원위(柔遠衛)·진포위(鎭浦衛)의 여과(勵果)가 있었다.
종6품(從六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12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 상계(上階)는 선교 낭(宣敎 郞), 하계(下階)는 선무 낭(宣務 郞), 잡직(雜職) 상계는 근임 낭(謹任 郞), 하계는 효임 낭(効任 郞), 토관(土官)은 봉직 낭(奉直 郞), 서반(西班) 무관 상계는 여절 교위(勵節 校尉), 하계는 병절 교위(秉節 校尉), 잡직 상계는 현공 교위(顯功 校尉), 하계는 적공 교위(迪功 校尉), 토관은 여신 대위(勵信 隊尉)가 있었다. 내명부(內命婦)에 상정(尙正)·상기(尙記), 세자궁(世子宮)에 수규(守閨)·수칙(守則)이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의 종친 처는 순인(順人), 문무관 처는 의인(宜人)이 있었다. 종6품(從六品)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주부(主簿), 의정부(議政府)의 공사관(公事官), 제언사(堤堰司)의 낭청(郞廳), 돈녕부(敦寧府)의 주부, 비변사(備邊司)의 낭청, 선혜청(宣惠廳)의 낭청, 의금부(義禁府)의 참상 도사(參上 都事), 호조(戶曹)의 산학 교수(算學 敎授)·별제(別提)·겸교수(兼敎授), 형조(刑曹)의 율학 교수(律學 敎授)·별제·겸 교수, 한성부(漢城府)의 주부, 규장각(奎章閣)의 직각(直閣), 개성부(開城府)의 교수(敎授), 홍문관(弘文館)의 부수찬(副修撰),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좌찬독(左贊讀)·우찬독(右贊讀), 춘추관(春秋館)의 기사관(記事官), 통례원(通禮院)의 인의(引儀), 봉상시(奉常寺)의 주부, 종부시(宗簿寺)의 주부, 사옹원(司饔院)의 주부, 내의원(內醫院)의 주부, 상의원(尙衣院)의 별제·주부, 사복시(司僕寺)의 주부, 군기시(軍器寺)의 별제·주부, 사섬시(司贍寺)의 주부, 군자감(軍資監)의 주부, 장악원(掌樂院)의 주부, 관상감(觀象監)의 주부·천문학 교수(天文學 敎授)·지리학 교수(地理學 敎授)·천문학 겸 교수·지리학 겸 교수·명과학 겸 교수, 전의감(典醫監)의 주부·의학 교수(醫學 敎授), 사역원(司譯院)의 주부·한학 교수(漢學 敎授), 5위(五衛)의 부장(部將)·부사과(副司果), 훈련원(訓鍊院)의 주부,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선공감(繕工監)의 주부,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의 별제, 풍저창(豊儲倉)의 주부, 광흥창(廣興倉)의 주부, 사도시(司䆃寺)의 주부, 사재감(司宰監)의 주부, 전함사(典艦司)의 별제, 전연사(典涓司)의 별제, 내수사(內需司)의 부전수(副典需)·별제,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좌위수(左衛率)·우위수(右衛率), 소격서(昭格署)의 별제, 제용감(濟用監)의 주부, 평시서(平市署)의 주부, 사온서(司醞署)의 주부, 전생서(典牲署)의 주부, 내자시(內資寺)의 주부, 내섬시(內贍寺)의 주부, 예빈시(禮貧寺)의 주부, 전설사(典設司)의 별제, 의영고(義盈庫)의 주부, 장흥고(長興庫)의 주부, 빙고(氷庫)의 별제, 장원서(掌苑署)의 별제, 사포서(司圃署)의 별제, 양현고(養賢庫)의 주부, 사축서(司畜署)의 사축(司畜)·별제, 조지서(造紙署)의 사지(司紙)·별제, 혜민서(惠民署)의 주부·의학교수, 도화서(圖畵署)의 별제·겸교수, 전옥서(典獄署)의 주부, 활인서(活人署)의 별제, 와서(瓦署)의 별제, 귀후서(歸厚署)의 별제, 4학(四學)의 교수,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의 좌장사(左長史)·우장사(右長史), 수문장청(守門將廳)의 수문장(守門將), 준원전(濬源殿)의 영(令), 훈련도감(訓鍊都監)의 종사관(從事官), 양향청(糧餉廳)의 종사관, 금위영(禁衛營)의 종사관, 어영청(御營廳)의 종사관, 포도청(捕盜廳)의 좌종사관(左從事官)·우종사관(右從事官), 내시부(內侍府)의 상촉(尙燭)이 있었다. 외직 문관으로 8도(八道)의 찰방(察訪)·현감(縣監)·교수, 숭의전(崇義殿)의 감(監), 숭인전(崇仁殿)·숭령전(崇靈殿)의 영, 외직 무관으로 8도의 병마절제도위(兵馬節制都尉), 충청·경상·황해·함경도의 판관, 7도(강원도 제외)의 수군 감목관(水軍 監牧官)이 있었다. 동반 잡직으로 액정서(掖庭署)의 부사약(副司鑰), 장악원(掌樂院)의 부전악(副典樂), 사복시(司僕寺)의 안기(安驥), 장원서(掌苑署)의 신화(愼花), 도화서(圖畵署)의 선화(善畵), 사옹원(司饔院)의 재부(宰夫)가 있었다. 동반 토관직으로 함흥부(咸興府)·평양부(平壤府)·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의주목(義州牧)·경성(鏡城)·회령(會寧)·경원(慶源)·종성(鍾城)·온성(穏城)·부령(富寧)·경흥(慶興)·강계도호부(江界都護府)의 감부(勘簿), 의주목(義州牧)·회령·경원·종성·온성·부령·경흥·강계도호부의 도할(都轄), 서반 토관직으로 진북위(鎭北衛)·진서위(鎭西衛)·진변위(鎭邊衛)·진봉위(鎭封衛)·진강위(鎭江衛)·회원위(懷遠衛)·유원위(柔遠衛)·진포위(鎭浦衛)의 부여과(副勵果)가 있었다.
정7품(正七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13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은 무공 낭(務功 郞), 잡직(雜職)은 봉무 낭(奉務 郞), 토관(土官)은 희공 낭(熙功 郞), 서반(西班) 무관은 적순 부위(迪順 副尉), 잡직은 등용 부위(騰勇 副尉), 토관은 돈의 도위(敦義 徒尉)가 있었다. 내명부(內命婦)에 전빈(典賓)·전의(典衣)·전선(典膳)이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의 문무관 처는 안인(安人)이 있었다. 정7품(正七品) 관직으로는 준천사(濬川司)의 낭청(郞廳), 한성부(漢城府)의 참군(參軍), 규장각(奎章閣)의 대교(待敎), 교서관(校書館)의 박사(博士), 승정원(承政院)의 주서(注書)·사변가주서(事變假注書), 경연청(經筵廳)의 사경(司經), 홍문관(弘文館)의 박사, 예문관(藝文館)의 봉교(奉敎),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설서(說書)·겸설서(兼說書)·자의(諮議), 성균관(成均館)의 박사, 춘추관(春秋館)의 기사관(記事官), 승문원(承文院)의 박사, 5위(五衛)의 사정(司正), 훈련원(訓鍊院)의 참군,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좌부수(左副率)·우부수(右副率), 경리청(經理廳)의 낭청, 내시부(內侍府)의 상훼(尙烜)가 있었다. 동반 잡직으로 액정서(掖庭署)의 사안(司案), 장악원(掌樂院)의 전율(典律)이 있었다. 동반 토관직으로 함흥부(咸興府)·평양부(平壤府)·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주목(義州牧)·회령(會寧)·경원(慶源)·종성(鍾城)·온성(穏城)·부령(富寧)·경흥(慶興)·강계도호부(江界都護府)의 전사(典事), 서반 토관직으로 진북위(鎭北衛)·진서위(鎭西衛)·진변위(鎭邊衛)·진봉위(鎭封衛)·진강위(鎭江衛)·회원위(懷遠衛)·유원위(柔遠衛)·진포위(鎭浦衛)의 여정(勵正)이 있었다.
종7품(從七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14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은 계공 낭(啓功 郞), 잡직(雜職)은 승무 낭(承務 郞), 토관(土官)은 주공 낭(注功 郞), 서반(西班) 무관은 분순 부위(奮順 副尉), 잡직은 선용 부위(宣勇 副尉), 토관은 수의 도위(守義 徒尉)가 있었다. 내명부(內命婦)에 전설(典設)·전제(典製)·전언(典言), 세자궁(世子宮)에 장찬(掌饌)·장정(掌正)이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의 문무관 처는 안인(安人)이 있었다. 종7품(從七品)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직장(直長), 돈령부(敦寧府)의 직장, 호조(戶曹)의 산사(算士), 형조(刑曹)의 명률(明律), 규장각(奎章閣)의 대교(待敎), 상서원(尙瑞院)의 직장, 춘추관(春秋館)의 기사관(記事官), 봉상시(奉常寺)의 직장, 종부시(宗簿寺)의 직장, 사옹원(司饔院)의 직장, 내의원(內醫院)의 직장, 상의원(尙衣院)의 직장, 군기시(軍器寺)의 직장, 사섬시(司贍寺)의 직장, 군자감(軍資監)의 직장, 장악원(掌樂院)의 직장, 관상감(觀象監)의 직장, 전의감(典醫監)의 직장, 사역원(司譯院)의 직장, 5위(五衛)의 부사정(副司正),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선공감(繕工監)의 직장, 풍저창(豊儲倉)의 직장, 광흥창(廣興倉)의 직장, 사도시(司䆃寺)의 직장, 사재감(司宰監)의 직장, 전연사(典涓司)의 직장, 내수사(內需司)의 전회(典會), 태묘서(太廟署)의 직장, 사직서(社稷署)의 직장, 경모궁(景慕宮)의 직장, 제용감(濟用監)의 직장, 평시서(平市署)의 직장, 사온서(司醞署)의 직장, 전생서(典牲署)의 직장, 내자시(內資寺)의 직장, 내섬시(內贍寺)의 직장, 예빈시(禮貧寺)의 직장, 의영고(義盈庫)의 직장, 장흥고(長興庫)의 직장, 사포서(司圃署)의 직장, 양현고(養賢庫)의 직장, 혜민서(惠民署)의 직장,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의 좌종사(左從史)·우종사(右從史), 덕릉(德陵)·지릉(智陵)·헌릉(獻陵)·선릉(宣陵)·순릉(順陵)·정릉(靖陵)·희릉(禧陵)·경릉(景陵)의 직장, 내시부(內侍府)의 상설(尙設)이 있었다. 동반 잡직으로 액정서(掖庭署)의 부사안(副司案), 장악원(掌樂院)의 부전율(副典律), 사복시(司僕寺)의 조기(調驥)·견마배(牽馬陪), 장원서(掌苑署)의 신과(愼果), 도화서(圖畵署)의 선회(善繪), 사옹원의 선부(膳夫), 군기시의 공제(工製), 상의원(尙衣院)의 공제, 서반 잡직으로 파진군(破陳軍)의 근사(勤事)가 있었다. 동반 토관직으로 함흥부(咸興府)·평양부(平壤府)·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주목(義州牧)·회령(會寧)·경원(慶源)·종성(鍾城)·온성(穏城)·부령(富寧)·경흥(慶興)·강계도호부(江界都護府)의 장사(掌事), 서반 토관직으로 진북위(鎭北衛)·진서위(鎭西衛)·진변위(鎭邊衛)·진봉위(鎭封衛)·진강위(鎭江衛)·회원위(懷遠衛)·유원위(柔遠衛)·진포위(鎭浦衛)의 부여정(副勵正)이 있었다.
정8품(正八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15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은 통사 낭(通仕 郞), 잡직(雜職)은 면공 낭(勉功 郞), 토관(土官)은 공무 낭(供務 郞), 서반(西班) 무관은 승의 부위(承義 副尉), 잡직은 맹건 부위(猛健 副尉), 토관은 분용 도위(奮勇 徒尉)가 있었다. 내명부(內命婦)에 전찬(典贊)·전식(典飾)·전약(典藥)이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의 문무관 처는 단인(端人)이 있었다. 정8품(正八品) 관직으로는 의정부(議政府)의 사록(司錄), 규장각(奎章閣)의 대교(待敎), 교서관(校書館)의 저작(著作), 경연청(經筵廳)의 설경(說經), 홍문관(弘文館)의 저작, 예문관(藝文館)의 대교, 성균관(成均館)의 학정(學正), 상서원(尙瑞院)의 부직장(副直長), 춘추관(春秋館)의 기사관(記事官), 승문원(承文院)의 저작, 5위(五衛)의 사맹(司猛),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좌시직(左侍直)·우시직(右侍直), 사포서(司圃署)의 별검(別檢), 내시부(內侍府)의 상제(尙除)가 있었다. 동반 잡직으로 액정서(掖庭署)의 사포(司鋪), 장악원(掌樂院)의 전음(典音), 장원서(掌苑署)의 신금(愼禽), 서반 잡직으로 각 영 군사(營 軍士)의 기총(旗摠)이 있었다. 동반 토관직으로 함흥부(咸興府)·평양부(平壤府)·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관사(管事), 서반 토관직으로 진북위(鎭北衛)·진서위(鎭西衛)·진변위(鎭邊衛)·진봉위(鎭封衛)·진강위(鎭江衛)·회원위(懷遠衛)·유원위(柔遠衛)·진포위(鎭浦衛)의 여맹(勵猛)이 있었다.
종8품(從八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16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은 승사 낭(承仕 郞), 잡직(雜職)은 부공 낭(赴功 郞), 토관(土官)은 직무 낭(直務 郞), 서반(西班) 무관은 수의 부위(修義 副尉), 잡직은 장건 부위(壯健 副尉), 토관은 효용 도위(効勇 徒尉)가 있었다. 내명부(內命婦)에 전등(典燈)·전채(典彩)·전정(典正), 세자궁(世子宮)에 장서(掌書)·장봉(掌縫)이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의 문무관 처는 단인(端人)이 있었다. 종8품(從八品) 관직으로는 돈녕부(敦寧府)의 봉사(奉事), 의금부(義禁府)의 참외도사(參外都事), 호조(戶曹)의 계사(計士), 형조(刑曹)의 심율(審律), 규장각(奎章閣)의 대교(待敎), 춘추관(春秋館)의 기사관(記事官), 봉상시(奉常寺)의 봉사, 사옹원(司饔院)의 봉사, 내의원(內醫院)의 봉사, 군기시(軍器寺)의 봉사, 군자감(軍資監)의 봉사, 관상감(觀象監)의 봉사, 전의감(典醫監)의 봉사, 사역원(司譯院)의 봉사, 5위(五衛)의 부사맹(副司猛), 훈련원(訓鍊院)의 봉사,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선공감(繕工監)의 봉사, 풍저창(豊儲倉)의 봉사, 광흥창(廣興倉)의 봉사, 사도시(司䆃寺)의 봉사, 사재감(司宰監)의 봉사, 전연사(典涓司)의 봉사, 내수사(內需司)의 전곡(典穀), 태묘서(太廟署)의 봉사, 경모궁(景慕宮)의 봉사, 제용감(濟用監)의 봉사, 평시서(平市署)의 봉사, 사온서(司醞署)의 봉사, 전생서(典牲署)의 봉사, 내자시(內資寺)의 봉사, 내섬시(內贍寺)의 봉사, 예빈시(禮貧寺)의 봉사, 전설사(典設司)의 별검(別檢), 의영고(義盈庫)의 봉사, 장흥고(長興庫)의 봉사, 빙고(氷庫)의 별검, 장원서(掌苑署)의 봉사, 사포서(司圃署)의 별검, 양현고(養賢庫)의 봉사, 혜민서(惠民署)의 봉사, 전옥서(典獄署)의 봉사, 조경묘(肇慶廟)·장녕전(長寧殿)·만녕전(萬寧殿)·목릉(穆陵)·원릉(元陵)의 별검, 숙릉(淑陵)·의릉(義陵)·순릉(純陵)의 봉사, 내시부(內侍府)의 상문(尙門)이 있었다. 동반 잡직으로 액정서(掖庭署)의 부사포(副司鋪), 장악원(掌樂院)의 부전음(副典音), 사복시(司僕寺)의 이기(理驥), 장원서(掌苑署)의 부신금(副愼禽), 도화서(圖畵署)의 화사(畵史), 사옹원의 조부(調夫), 군기시의 공조(工造), 상의원(尙衣院)의 공조, 교서관(校書館)의 사준(司準)·공조, 공조(工曹)의 공조, 선공감(繕工監)의 공조, 소격서(昭格署)의 상도(尙道), 서반 잡직으로 파진군(破陳軍)의 종사(從事), 각 영 군사(營 軍士)의 대장(隊長), 기보병(騎步兵)의 여수(旅帥)가 있었다. 동반 토관직으로 함흥부(咸興府)·평양부(平壤府)·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의주목(義州牧)·경성(鏡城)·회령(會寧)·경원(慶源)·종성(鍾城)·온성(穏城)·부령(富寧)·경흥(慶興)·강계도호부(江界都護府)의 급사(給事), 서반 토관직으로 진북위(鎭北衛)·진서위(鎭西衛)·진변위(鎭邊衛)·진봉위(鎭封衛)·진강위(鎭江衛)·회원위(懷遠衛)·유원위(柔遠衛)·진포위(鎭浦衛)의 부여맹(副勵猛)이 있었다.
정9품(正九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17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은 종사 낭(從仕 郞), 잡직(雜職)은 복근 낭(服勤 郞), 토관(土官)은 계사 낭(啓仕 郞), 서반(西班) 무관은 효력 부위(効力 副尉), 잡직은 치력 부위(致力 副尉), 토관은 여력 도위(勵力徒尉)가 있었다. 내명부(內命婦)에 주궁(奏宮)·주상(奏商)·주각(奏角)이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의 문무관 처는 유인(孺人)이 있었다. 정9품(正九品) 관직으로는 호조(戶曹)의 산학 훈도(算學 訓導), 형조(刑曹)의 율학 훈도(律學 訓導), 규장각(奎章閣)의 대교(待敎), 교서관(校書館)의 정자(正字), 경연청(經筵廳)의 전경(典經), 홍문관(弘文館)의 정자, 예문관(藝文館)의 검열(檢閱), 성균관(成均館)의 학록(學錄), 춘추관(春秋館)의 기사관(記事官), 승문원(承文院)의 정자, 봉상시(奉常寺)의 부봉사(副奉事), 내의원(內醫院)의 부봉사, 군기시(軍器寺)의 부봉사, 군자감(軍資監)의 부봉사, 관상감(觀象監)의 부봉사·천문학 훈도(天文學 訓導)·지리학 훈도(地理學 訓導)·명과학 훈도(命課學 訓導), 전의감(典醫監)의 부봉사·의학훈도(醫學訓導), 사역원(司譯院)의 부봉사·한학 훈도(漢學 訓導)·몽학 훈도(蒙學 訓導)·청학 훈도(淸學 訓導)·왜학 훈도(倭學 訓導), 5위(五衛)의 사용(司勇),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선공감(繕工監)의 부봉사, 풍저창(豊儲倉)의 부봉사, 광흥창(廣興倉)의 부봉사,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좌세마(左洗馬)·우세마(右洗馬), 태묘서(太廟署)의 부봉사, 제용감(濟用監)의 부봉사, 전생서(典牲署)의 부봉사, 혜민서(惠民署)의 의학훈도(醫學訓導), 4학(四學)의 훈도(訓導), 내시부(內侍府)의 상경(尙更), 잡직으로 액정서(掖庭署)의 사소(司掃), 장악원(掌樂院)의 전성(典聲), 장원서(掌苑署)의 신수(愼獸), 사옹원(司饔院)의 임부(飪夫), 동반 토관직으로 평양부(平壤府)의 참사(參事), 서반 토관직으로 진북위(鎭北衛)·진서위(鎭西衛)·진변위(鎭邊衛)·진봉위(鎭封衛)·진강위(鎭江衛)·회원위(懷遠衛)·유원위(柔遠衛)·진포위(鎭浦衛)의 여용(勵勇)이 있었다.
종9품(從九品)은 조선국(朝鮮國:1393-1897) 18위의 품계(品階)이다. 동반(東班) 문관은 장사 낭(將仕 郞), 잡직(雜職)은 전근 낭(展勤 郞), 토관(土官)은 시사 낭(試仕 郞), 서반(西班) 무관은 전력 부위(展力 副尉), 잡직은 근력 부위(勤力 副尉), 토관은 탄력 도위(殫力 徒尉)가 있었다. 내명부(內命婦)에 주변치(奏變徵)·주치(奏徵)·주우(奏羽)·주변궁(奏變宮), 세자궁(世子宮)에 장장(掌藏)·장식(掌食)·장의(掌醫)가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의 문무관 처는 유인(孺人)이 있었다. 종9품(從九品)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참봉(參奉), 돈녕부(敦寧府)의 참봉, 호조(戶曹)의 회사(會士), 형조(刑曹)·수원부(水原府)·광주부(廣州府)의 검률(檢律), 교서관(校書館)의 부정자(副正字), 개성부(開城府)·강화부(江華府)의 분교관(分敎官)·검률, 성균관(成均館)의 학유(學諭), 승문원(承文院)의 부정자, 통례원(通禮院)의 겸인의(兼引儀)·가인의(假引儀), 봉상시(奉常寺)의 참봉, 사옹원(司饔院)의 참봉, 내의원(內醫院)의 참봉, 군기시(軍器寺)의 참봉, 군자감(軍資監)의 참봉, 관상감(觀象監)의 참봉, 전의감(典醫監)의 참봉, 사역원(司譯院)의 참봉, 5위(五衛)의 부사용(副司勇),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선공감(繕工監)의 참봉·감역관(監役官)·가감역관(假監役官), 사재감(司宰監)의 참봉, 전연사(典涓司)의 참봉, 내수사(內需司)의 전화(典貨), 소격서(昭格署)의 참봉, 사직서(社稷署)의 참봉, 제용감(濟用監)의 참봉, 전생서(典牲署)의 참봉, 5부(五部)의 도사(都事)·참봉, 예빈시(禮貧寺)의 참봉, 혜민서(惠民署)의 참봉, 전옥서(典獄署)의 참봉, 활인서(活人署)의 참봉, 수문장청(守門將廳)·조경묘(肇慶廟)·경기전(慶基殿)·준원전(濬源殿)·화령전(華寧殿)의 수문장(守門將), 문소전(文昭殿)·연은전(延恩殿)·경기전·영희전(永禧殿)·만녕전(萬寧殿)·안릉(安陵)·지릉(智陵)·숙릉(淑陵)·의릉(義陵)·순릉(純陵)·정릉(定陵)·화릉(和陵)·건원릉(健元陵)·제릉(齊陵)·정릉(貞陵)·후릉(厚陵)·헌릉(獻陵)·영릉(英陵)·현릉(顯陵)·장릉(莊陵)·사릉(思陵)·광릉(光陵)·경릉(敬陵)·창릉(昌陵)·공릉(恭陵)·선릉(宣陵)·순릉(順陵)·정릉(靖陵)·온릉(溫陵)·희릉(禧陵)·태릉(泰陵)·효릉(孝陵)·강릉(康陵)·목릉(穆陵)·장릉(章陵)·장릉(長陵)·휘릉(徽陵)·영릉(寧陵)·숭릉(崇陵)·명릉(明陵)·익릉(翼陵)·의릉(懿陵)·혜릉(惠陵)·원릉(元陵)·홍릉(弘陵)·영릉(永陵)·건릉(健陵)·인릉(仁陵)·수릉(綏陵)·경릉(景陵)·예릉(睿陵)·현륭원(顯隆園)·휘경원(徽慶園)의 참봉, 순강원(順康園)·소령원(昭寧園)·수길원(綏吉園)의 수봉관(守奉官), 순회묘(順懷墓)·소현묘(昭顯墓)·민회묘(愍懷墓)·의소묘(懿昭墓)·효창묘(孝昌墓)의 수위관(守衛官), 훈련도감(訓鍊都監)·금위영(禁衛營)·어영청(御營廳)·총융청(摠戎廳)·북한산성(北漢山城)·경리청(經理廳)·총리영(摠理營)·수어청(守禦廳)·관리영(管理營)·진무영(鎭撫營)의 초관(哨官), 내시부(內侍府)의 상원(尙苑)이 있었다.
외직 문관으로 8도(八道)의 훈도(訓導)·심약(審藥)·검률(檢律), 경기·경상·전라·황해·강원도의 역승(驛丞), 경기도의 도승(渡丞), 숭의전(崇義殿)·태일전(太一殿)·숭덕전(崇德殿)·숭인전(崇仁殿)·숭령전(崇靈殿)의 참봉, 외직 무관으로 8도의 수군 별장(水軍 別將), 경상·함경·평안도의 수군 권관(水軍 權管)이 있었다.동반 잡직으로 액정서(掖庭署)의 부사소(副司掃), 장악원(掌樂院)의 부전성(副典聲), 사복시(司僕寺)의 보기(保驥), 장원서(掌苑署)의 부신수(副愼獸), 도화서(圖畵署)의 회사(繪史), 사옹원(司饔院)의 팽부(烹夫), 군기시(軍器寺)의 공작(工作), 상의원(尙衣院)의 공작, 교서관(校書館)의 사감(司勘)·공작·창준(唱準), 공조(工曹)의 공작, 선공감(繕工監)의 공작, 소격서(昭格署)의 지도(志道), 서반 잡직으로 파진군(破陳軍)의 추사(趨事), 각 영 군사(營 軍士)의 대부(隊副), 기보병(騎步兵)의 대정(隊正)이 있었다. 동반 토관직으로 함흥부(咸興府)·평양부(平壤府)·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경성(鏡城)·회령(會寧)·경원(慶源)·종성(鍾城)·온성(穏城)·부령(富寧)·경흥(慶興)·강계도호부(江界都護府)의 섭사(攝事), 서반 토관직으로 진북위(鎭北衛)·진서위(鎭西衛)·진변위(鎭邊衛)·진봉위(鎭封衛)·진강위(鎭江衛)·회원위(懷遠衛)·유원위(柔遠衛)·진포위(鎭浦衛)의 부여용(副勵勇)이 있었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sk7613&logNo=220705544095 |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녜예~!!!
회장님~!!!!!!!!!!!!!!!!!!!
오늘 곳곳에 소낙비 내렸지요?
내일 중부 지방 새벽까지, 제주도는 가끔 비가 이어지겠답니다.
내일도 내륙 곳곳에는 대기불안정으로 인한 소나기 예상되고
지금 전국에 구름 많이 지나고 있는 토요일이었지요?
주말 편히 보내시기 바랍니다.
...................
오늘이 있으니 내가 있다는 것에 감사하며
오늘도 주어진 내 삶에
최선과 노력을 다 해야겠습니다.
- 좋은글 中에서 일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