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불자광장
 
 
카페 게시글
학생들을 위한 붓다담마 스크랩 48) 붓다께서는 마지막으로 우리들에게 무슨 말씀을 하셨습니까?
일 행 추천 0 조회 51 10.12.11 20:24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48) Now in the short time remaining I shall put the final question:

“What were the Buddha’s last instruction to us?”

48) 이제 시간이 얼마 남아 있지 않으므로 마지막 질문을 하겠습니다.

"붓다께서는 마지막으로 우리들에게 무슨 말씀을 하셨습니까?"

 

AS EVERYONE KNOWS, a person who is about to die usually makes out a will, a set of last instructions. When the Buddha was on the point of dying, he said these last words: “All compounded things are subject to decay. Be well equipped with heedfulness!” All things are nothing but a perpetual flowing-on, that is, they are empty (of selfhood). All things are anicca, they change incessantly, they flow on endlessly. That perpetual flux is devoid of any self or of
anything belonging to a self. Be vigilant and well prepared. In other words, don’t be foolish, don’t become infatuated with things, and don’t regard anything as worth grasping at and clinging to. Don’t mindlessly attach to anything. This is what he meant by heedfulness. With such heedfulness we must always be well equipped.

사람이 죽을 때는 보통 마지막 말, 즉 유언을 한다는 것을 모두 잘 압니다. 붓다께서 돌아가실 때에는 마지막으로 다음 말씀을 하셨습니다. "모든 형성된 것들은 사라지게 되어 있다. 주의 깊은 알아차림을 갖추도록 하라."  모든 것은 단지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태, 즉 (자아가) 빈 상태입니다. 모든 것은 아닛짜(anicca)이고, 끊임없이 변하며, 끝없이 흘러 갑니다. 이 끊임없는 흐름에는 어떠한 자아도 없고 자아에 속하는 것도 없습니다. 주의깊게 잘 알아차리십시오. 다른 말로 하면, 어리석지 말고, 만물에 혹하여 빠지지 말고, 어떤 것도 움켜쥐거나 집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기지 마십시오. 어떤 것에 집착하여 부주의하지 마십시오. 이것이 주의 깊은 알아차림의 의미입니다. 이런 주의깊은 알아차림을 항상 잘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Now young people are a problem. Look how completely heedless they are. They regard all sorts of things as thoroughly desirable, as worth grasping at and clinging to. Attaching to things as either desirable or hateful is ultimately a source of distress to oneself and to others. Such people are not carrying out the instructions given in the Buddha’s will. They are wasting the benefit of having been born a human being and of Buddhist parents. They are not carrying out the Buddha’s last wishes.

요즈음 젊은이들은 문제가 있습니다. 젊은이들이 얼마나 완전히 부주의한지 보십시오. 모든 종류의 사물을 전적으로 바람직하고 움켜쥐고 집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깁니다. 마음에 들거나 미워하는 것으로 만물에 집착하는 것은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궁극적으로 괴로움의 원천입니다. 이런 사람은 붓다께서 마지막으로 하신 가르침을 따르지 않습니다. 사람으로 태어나고 불교 가문에 태어난 유익한 상태를 허비하고 있습니다. 붓다의 유언을 실천하지 않습니다.

 

All of us, young and old, are in a position to carry out the Buddha’s last instructions. Let us not be heedless or mindless. Let us not go thoughtlessly regarding things as worth grasping at and clinging to. Let us always view the world as devoid of any self or of anything belonging to a self. Our minds will be free of grasping; lust, hatred, and delusion will not arise in them. Thus we will accomplish the highest thing which is possible for humanity. In other words, all problems will cease, and that’s all there is to it.

나이 어린 사람이든 나이 많은 사람이든 우리 모두는 붓다께서 마지막으로 하신 가르침을 실천해야 합니다. 주의 깊은 알아차림을 유지합시다. 부주의하게 만물을 움켜쥐거나 집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기는 일이 없도록 합시다. 항상 세상을 어떤 자아나 자아에 속하는 것이 비어 있는 것으로 보도록 합시다. 그러면 마음은 집착에서 해방될 것입니다. 갈망, 미워함, 및 미혹이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상태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즉 모든 문제(둑카)가 그칠 것입니다. 이것(둑카가 그침)이 거기에 있는 모두입니다.

 

The Buddha gave another final instruction: “Go forth and preach well the doctrine, splendid in its beginning, middle, and end.” I like to interpret this as enjoining us all to teach non-grasping and non-clinging on an elementary level to children, on an intermediate level to adults, and on the highest, most advanced level to those who are heading for the Supreme State and for whom nothing else matters. The Buddha taught only non-grasping, nothing more. It can be taught on different levels to children, to people of middle age, and to old people. Or it can be taken in another way. Teach Dhamma for the benefit of people living in this world, on a low level; for benefits in other worlds, at an intermediate stage; and then for the sake of the highest benefit, which transcends all worlds.

붓다께서는 다음과 같은 다른 마지막 가르침도 주셨습니다. "가서, 처음도, 중간도, 끝도 훌륭한 담마를 잘 가르쳐라." 이 말씀은, 각 레벨의 사람들에게 그에 맞게 무집착의 가르침을 펴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즉 청소년들에게는 초급수준으로, 성인들에게는 중급수준으로, 더 높은 상태가 없는 최상의 상태를 추구하는 사람들에게는 최고급 수준으로 무집착의 가르침을 펴라는 것입니다. 붓다께서는 다른 것을 가르치신 것이 아니라 오직 무집착을 가르쳤습니다. 이 가르침은 소년, 중년, 및 노년의 사람들에게 각각 다른 수준으로 가르칠 수 있습니다. 또는 이 가르침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가르칠 수 있습니다. 이 세상에 살거나 살 사람들의 이익을 위해 낮은 수준으로, 다른 세상에 살거나 살 자들의 이익을 위해 중간 수준으로, 세상을 초월하고자 하는 자들의 최상의 이익을 위해 최고급 수준으로 담마를 가르칠 수 있습니다.

 

The whole essence of the teaching can be summed up as freedom from suffering through non-attachment. Hence this non-grasping and non-clinging, this absence of any idea of self or of anything belonging to a self, i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So please, every one of you, bear well in mind one word, the one single word that reveals the entire Dhamma, the single syllable waang (empty, void, free), which in Pali is su??at? - the core and essence of Buddhism. People break the moral precepts because they lack cit waang (mind free of the self-idea). People lack concentration because they do not have cit waang. People have no insight because they do not have cit waang. The Buddha had cit waang. Cit waang is just what Buddhahood is. The Dhamma is simply the teaching of cit waang, the practice that leads to cit waang, and the fruit of that practice, which is cit waang and ultimately nibb?na. The Sangha consists of people following the Buddha’s system of practice in order to attain cit waang. Buddha, Dhamma, and Sangha are summed up in the word waang (free, void, empty). One succeeds in keeping the moral precepts through abstaining from grasping and clinging, and through being free of the mental defilements, free of grasping and clinging. When cit waang has been attained, the defilements are absent and concentration is at its best. When one has come to see things (the world) as empty, one doesn’t grasp or cling to any of them and one has full insight. The Path and Fruit of Nibb?na consist in knowing emptiness and in successively gaining the fruits of emptiness right up to the very culmination. Charity, morality, taking refuge (in Buddha, Dhamma, and Sangha), concentration, insight, Path and Fruit, and nibb?na ? all these are summed up in the single word waang (empty).

가르침의 전체 핵심은 무집착을 통해  고(둑카)에서 해방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아나 자아에 속하는 어떠한 것도 없다는 무집착이 가장 중요한 가르침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 모두 이 한 단어를 마음에 잘 새기십시오. 바로 한 음절 '왕(waang, 빔, 공, 해방)', 팔리어로 순냐따(sunnata)가 불교의 핵심이고 본체이며 모든 담마를 나타냅니다. '찌트 왕(cit waang, 자아 관념에서 해방된 마음)이 없으므로 계율을 어깁니다. '찌트 왕'이 없으므로 집중하지 못합니다. '찌트 왕'이 없으므로 통찰력이 없습니다. 붓다께는 찌트 왕이 있습니다. 찌트 왕은 바로 깨달음의 표시입니다. 담마는 바로 '찌트 왕'의 가르침이고, '찌트 왕'으로 이끄는 실천의 가르침이며, 실천의 결실, 즉 찌트 왕과 궁극적 닙바나에 대한 가르침입니다. 상가(sangha, 승가)는 '찌트 왕'을 얻기 위해 '붓다의 실천 체계'를 따르는 사람들의 모임입니다. 붓다, 담마, 및 상가는 '왕(waang)'이란 말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움켜쥠과 집착을 절제하여 계율을 잘 지킬 수 있고, (정신적) 오염원에서 해방되어 움켜쥠과 집착에서 해방될 수 있습니다. 찌트 왕이 있을 때, 오염원이 없으며 집중이 최상의 상태에 있습니다. 사물(세상)을 빈 것으로 볼 때, 세상의 어떤 것도 움켜쥐거나 집착하지 않으며 통찰력으로 차 있습니다. 닙바나(열반)의 길과 결실은 '빔()'을 알고 계속하여 빔의 결실을 얻어 최고조의 상태로 오르는 것입니다. 자비, 덕목, 귀의(붓다, 담마, 및 상가에), 집중, 통찰, 도(길)와 과(결실), 및 닙바나(열반) 등 이 모든 것은 '왕(waang, 빔)'이라는 한 단어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This is why the Buddha said, “Emptiness is what I teach. A teaching that does not treat of emptiness is someone else’s teaching, an unorthodox teaching composed by some later disciple. All discourses which are utterances of the Accomplished One are profound, have deep significance, are the means of transcending the world, and deal primarily with emptiness (su??at?). “This was spoken by the Tath?gata. On the other hand, “A discourse of any kind, though produced by a poet or a learned man, versified, poetical, splendid, melodious in sound and syllable, is not in keeping with the teaching if not connected with su??at?. “There are these two kinds of discourses. Those dealing with su??at? are utterances of the Buddha; those not dealing with su??at? are utterances of later followers.

이것이 붓다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신 이유입니다. "따타가따(붓다)는 빔(공)을 가르친다. 빔(공)을 다루지 않는 가르침은 다른 자의 가르침이고, 후대의 제자들에 의한 비정통의 가르침이다. 따타가따가 말한 모든 법문은 심오하고 깊은 의미가 있으며, 세상을 초월하는 수단이며, 기본적으로 빔(순냐따, sunnata)을 다룬다." 이것은 붓다께서 말씀하신 것입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시인이나 학식있는 사람에 의해, 작시되고, 시적이며, 미려하고, 소리와 음절이 음악적인 어떠한 법문도 '빔(공)'과 관련없다면, 가르침에 부합하지 않는다." 이러한 두 종류의 법문이 있습니다. '순냐따(sunnata, 빔)'를 다루는 법문은 붓다의 말씀이고, 순냐따(sunnata, 빔)를 다루지 않는 것은 후대 제자들의 법문입니다.

 

So the Buddha considered su??at? and discourses dealing with su??at? to be real essence of Buddhism. This is why he said, “When the teaching of su??at? had died out and no-one is interested in it any longer, then the real essence of the Dhamma will have been lost.”

그러므로 붓다께서는 순냐따(빔)를 고려했으며, 그 법문은 불교의 참 핵심인 순냐따(빔)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 '순냐따(빔, sunnata)'의 가르침이 사라지고 아무도 더 그것(순냐따)에 관심이 없다면, 그 때에는 담마의 참 핵심이 없어질 것이다."

 

It is like the drum owned by the Das?raha kings in ancient times, which was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s it became worn out and dilapidated, it was patched and mended time and time again, over a long period, until eventually consisted of nothing but new materials. The real substance of it had completely disappeared.

담마의 참 핵심이 없어지는 것은, 대대로 전수되어 고대에 '다사하라 왕'이 소유하고 있는 북과 같습니다. 그 북은 닳아 헤지고 낡으면 그때마다 다시 깁고 수선하기를 오랜 기간에 걸쳐 하였으므로, 결국 모든 것이 새로운 재질로 바뀌었습니다. 원래의 진짜 재질은 완전히 없어졌습니다.

 

When the time comes that bhikkhus no longer are concerned with studying and listening to topics relating to su??at?, which is the subject that they ought to be studying and practising, at that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original substance of Buddhism has been lost completely and that nothing remains but new material, utterances of later disciples, just as happened with the drum. Think it over! The Buddha urged us to teach the Dhamma, splendid in its beginning, middle, and end, in terms of non-grasping and non-clinging. But what is the condition of Buddhism at the present time? Is it like the original old drum or does it consist of just new material, just patches? We can find this out for ourselves by simply examining it to see whether or not people are interested in su??at? and practise su??at?.

승려가 공부하고 실천해야 할 순냐따(빔)에 관해 공부하지않고 듣지 않는 시대가 오면, 그 때에는 북의 예와 같이 불교의 원재질이 완전히 없어져 새로운 재질, 즉 후대 제자들의 법문만 남아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깊이 생각해 보십시오! 붓다께서는 움켜쥐지 않음과 집착하지 않음을 통해 처음과 중간과 끝이 모두 다 훌륭한 담마를 가르치라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불교의 상황은 어떨까요? 원재가 있는 북과 같을까요? 아니면 기워서 새로운 재질만 있는 북과 같을까요? 사람들이 순냐따(빔)에 관심을 갖고 실천하는지 아닌지만 보고 검토해 보면 우리 스스로 불교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These were the Buddha’s last instructions to his disciples: to practice heedfulness of this teaching, to proclaim this teaching and to restore the decayed material to fresh and good condition by studying su??at?. This is to be done by digging, probing about, studying, and discussing until such time as the understanding of this teaching has been revived and it can be said that the genuine material has been restored to its original condition.

이것이 붓다께서 제자들에게 한 마지막 가르침이었습니다. 즉, 이 가르침을 주의깊게 실천하고, 널리 알리고, 순냐따(빔)를 공부하여 부패한 상태를 신선하고 유익한 상태로 복원하는 것입니다. 이 일은, 이 가르침에 대한 이해가 생겨 가르침이 원상태로 복원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때까지 파고들고 조사하고 공부하고 토의하는 과정을 통해 달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검색
댓글
  • 14.05.04 04:36

    첫댓글 이마음 아픔의 상처또한 집착에서 벗어 나야하겠습니다.나 무 아 미 타 불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