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에는 많은 양의 피지가 나오고 피지증가로 인해서 세균이 증식 한다
모낭충은 피지를 증가시켜서 피부를 지성피부로 만들고 세균을 증식시켜 과피지에 의한 지루 성피부염 지루성탈모등
을 일으키게 된다.
피부에 피지가 많아지면 각종세균이 증식한다.
여드름 모낭염, 딸기코, 농종 ,낭종 ,홍반성, 낭창, 지루성피부염등 피부에 염증성 질환이 생기게 되며 피부의 멜라닌
색소 분해를 방해하여 피부가 검고 칙칙해지며 기미 주근깨 검버섯 반점 잡티가 늘어나게 된다.
아토피와 여드름의 원인도 알고 보면 모낭충이 원인이다
모낭충 제거 비누를 만들어서 사용하면 모낭충 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가끔 얼굴에 아무 것 도 없는데 무었인가 가 지나가는 느낌이 있다면 모낭충 일 것이다.
그래서 모낭충을 구제하기 위해서 오래전에 제충국(피레스린성분)을 사용하여 모낭충제거비누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
했으며 그 이후에 제충국을 판매하는 업체가 생기고 제충국천연비누들이 많이 생겨났다.
참으로 좋은 일인데 제충국(Phrethrum flower)과 비슷한 들국화같은 모양의 다른종을 수입하거나 추출물을 내기 때문에
모낭충의 제거에 어려움이 많이 따랐다.
모낭충을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해서 멀구슬나무를 소개한다.
식물에서 찾는 자원은 보물들이 많으며 각기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오래전부터 질병이나 상처치료 등에 많
이 활용 해 왔다.
1950년대에 동아프리카 대륙에 발생한 메뚜기떼 피해 때 작물 대부분이 전멸했는데 멀구슬나무 성분이 있던 곳에서는 피
해가 전혀 없었으며 이를 계기로 멀구슬나무 성분의 연구가 세계각국에서 진행됐고 많은 획기적인 결과물들을 가져왔으
며 독백도 이러한 연구 결과에 편승해서 인체에 전혀 피해가 없는 식물성 살충제를 개발하여 가축, 애완견 등의 진드기
박멸제로 볼리비아 브라질 등에 연구 개발 해주고 있다. (아자디락틴과 그외 식물 합성물질)

2014년에 발효된 나고야의정서에 따르면 다른 나라가 소유한 생물자원(유전자원)을 이용할 때는 자원 제공국으로부터 사
전 승인을 받아야 하고 이익을 공유해야 한다 라고 밝히고 있다. 예컨대 우리나라의 생물자원(천연물)으로 신약을
만들 경우 이를 사용하는 국가는 한국에 로열티를 지급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우리나라도 나고야 의정서 이행을 위한 '유전자원의 접근·이용 및 이익 공유에 관한 법률'(유전자원법)을 제정했다. 이 법률은 2018년 8월 17일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다행스럽게 멀구슬나무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에 자생 해 왔다.
옛날에 물고기를 잡을 때 멀구슬나무를 짓이겨서 물에 풀으면 물고기가 잠시 기절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을 자주 사용
했다고 전해진다.
멀구슬나무의 열매에는 아자디라크틴(azadirachtin) 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농촌진흥청에서도 인정한 식물
성 살충제이며, 미세곤충의 신경을 마비 시키거나 폐사시키는 역활은 한다.
멀구슬나무는 남부지방에서 상당히 많이 자생되고 있으며 전북 고창 군청안에 200년이 넘은 멀구슬나무가 천연기념물 50
3호로 지정 되어 자라고 있다.
멀구슬나무 열매는 10월경에 채취해야 살충의 효과가 있고, 메탄올(methanol) 추출법은 인체의 피부 및 동물들에게 유해
하기 때문에 약한불에 달여서 추출하는게 매우 효과적이다. (예전기록 다시 수정함 메탄올추출법이나 끓이면 안됨)
멀구슬나무의 아자디라크틴(azadirachtin)추출방법은 열매의 20배 가량의 주정알콜에 담구어서 한달가량 지나서 정제수
에 약간의 양을 희석하거나 열매를 짓이겨서 정제수에 담가서 냉장보관하여 사용한다.
비누제조물에는 전처리용으로 사용하거나 희석액으로 제조물 총량에 0,5%레시피한다.
머리카락 빠짐이 확연히 줄어들고 가렵고 스물스물 가렵던 피부가 깨끗해진다.
모낭충 100% 박멸의 효과가 있으며 침대 등에 살포하면 매우 좋다
인체나 피부의 피해는 전혀 없기 때문에 만들어서 안심하고 사용해도 됩니다.

가을에 열매를 채취하여 상기의 사진과 같이 그늘에서 건조시킨 후 필요한 만큼 사용하면 됩니다
모낭충비누를 구매하여 사용 할 때는 모낭충을 구제하는 성분이 무엇인지 확인 해야 합니다
그리고 글로만 표기한 것인지 아니면 참으로 구제가 되는지를 모낭충현미경을 구입하여 (약 50,000원) 확실하게
피부트러블이 생기는지 모낭충이 구제되는지를 확인하며 사용해야 피부에 피해가 없습니다.
모낭충비누를 만드시는 분들도 상기와 같은 확인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 첨부
특정인에게 멀구슬나무 잎이나 열매 뿌리 등의 추출물이 특허나 상표등록이 될 수 없도록 명시 합니다
멀구슬나무에서 추출되는 성분은 모든이들이 공유해야 됩니다.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어서 특허가 등록되어도 신문, TV, 잡지, 인터넷 등에 발표된 내용이 우선되기 때문에 취소 됩
니다.
1. 멀구슬나무 잎이나 뿌리, 줄기, 가지, 열매 등에서 1이상 추출되는 추출물 (추출방식은 메탄올추출법, 주정알콜
추출법 및 기타 널리 공지되어 있는 추출법 등)
2. 지방산이나 오일 등으로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으로 비누화 반응시켜서 비누제조물 상기 1 또는 하기 3을 총량대비 1~60% 첨가하여 제조되는 비누제조물
3. 멀구슬나무 잎이나 뿌리, 줄기, 가지, 열매 등 1개 이상의 것을 분말을 내거나 분쇄하여 미분으로 제조하는 과정
4. 상기 1이나 3의 제조물로 비누제조물을 만드는 방법
5. 상기 1이나 3의 방법으로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하여 샴푸나 물비누 등에 첨가하여 제조하는 방법
6. 상기 1이나 3의 방법으로 효소 내지는 식초를 제조하여 세제에 첨가하는 방법
7. 상기 1이나 3의 방법으로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슘을 녹이는 방법
8. 멀구슬천연비누, 멀구슬샴푸, 멀구슬비누 등의 상표등록으로 인한 특정인 소유
2018년 3월 14일
첫댓글 감사합니다. 멀구슬나무 추출물이 나오면 좋겠어요.
만들어서 연락 드리겠습니다^^
때죽나무도 물고기가 마비된다던데 그나무랑은 다른건가요?
때죽나무는 물고기를 잡을 때 사용했지만 피부에 사용되는 비누에는 위험합니다
에고사포닌성분이 매우 위험한 물질입니다^^
@독백 아~ 글쿤요. 감사합니다.
카페에 유용한 정보가 참 많네요~ 새로운걸 보는거 같아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