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근경찰관들의 직무태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업무수행을 통한 만족, 임금이외의 혜택, 작업환경 등에서 직무만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직과 동일시, 장기근무의 가치, 여가시간에도 업무생각 등에서 조직몰입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자아의 존재에서 직무의 중요성, 인생에서 일의 중요성, 직무에 개인적인 많은 연관 등에서 직무관여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근경찰관에 대한 작업환경의 개선과 복지후생의 지원 그리고 임금에 대한 부분을 심도 있게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김정원, 외근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2004, p. 90).
인권친화적인 제도를 갖춘다고 인권친화적인 경찰이 되는 것이 아니라 국민들이 수준 높은 치안서비스를 원한다면 그에 상응한 투자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자신의 인권을 소중하게 대접받는 경험을 해보지 못한 경찰관들은 국민의 인권을 소중하게 대접하는 데 서툴 수밖에 없다”는 주장에도 귀기울여야 할 것이다.
경찰관의 특수한 스트레스 영향요인으로 긴밀한 친밀도와 존중 속에서 유지되어야 할 지역주민의 경찰관에 대한 낮은 평가와 냉담함, 무관심등이 경찰들에게 스트레스를 지각하게 한다고 한다(김정헌, 이상원, 송건섭, 2000, p. 2).
지역주민의 부정적 이미지의 평가가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이 되는 이유는 공직이라는 직업은 경제적이고 타산적 동기에 유인되기보다는 사회적인 사명감과 직업에 대한 명예 등에 선택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경찰에 대한 사회적 평가가 낮으면 지치고, 좌절감에 빠지며, 일할 의욕이 사라지게 된다는 설명이다(김병섭, 1994, p. 133; Brown & Campbell, 1994, p. 24; 김정헌 등, 2000, p. 5; 김보환, 2001, pp. 52-53; 박성수, 2002, pp. 111-112).
첫댓글 축하 드리고 기대하여 봅니다. 저는 제일중요한것은 경찰관의 근무환경입니다 열약한 근무환경 50여명이 생활하고 있는 지구대 개인 사물함 최소한의 휴식공간이 없는 사무실 타 직종의 공무원 검찰 법원 동사무소와 같은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이유가 뭔지요 국가예산이 없어서 일까요 아님 수뇌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 아님 무능력? 근무환경 개선 일한만큼의 대우등에 대하여 결사적인 쟁취 당부 드립니다.
유평공님의 글 너무나 감사합니다. 그 동안 직협에 관한 집약된 논리가 없었는데...유평공님의 글은 어떤 글보다 훌륭합니다. 감사합니다...앞으로 첨부자료로 사용하겠습니다.
차근차근 하나하나 전개해야 할 것입니다. 억압하는자들에게 구실과 빌미를 제공하여 핍박의 도구로 협박의 도구로 사용토록 해서는 안될것입니다. 조금만 눈을 돌리면 우리는 해야 할 일들이 너무 많습니다.저들의 해괴밍측하지만 논리적인 대응에 우리도 정확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우리 회원들만이라도 모두 힘을 합쳐서 이루어 가야하며 집행부에서 정확한 방향을 설정하여 이끌어가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