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 대웅전은 금년6월 까지는 보물 55호 였는데 09년 6. 30일 문화재청의 심의에 의해 국보 제311호로 승격되었다.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지난달 30일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경북도 안동시 봉정사에 있는 보물 제55호 봉정사대웅전을
국보 제311호로 승격 지정했다.
'안동 봉정사대웅전(安東 鳳停寺大雄殿)'은 건축양식에서 힘 있고 가식 없는 공포(?包) 수법과 고식(古式)의 가구(架構, 나무로
짜여진 구조)형식으로 전형적인 초기 다포(多包, 기둥머리 위와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에 짜 올린 공포)양식의 특징들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단청에서도 고려 시대의 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다.
그동안 확실한 건립연대가 밝혀지지 않았으나 근래에 실시된 대웅전 해체수리 시에 건립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4종의 묵서(墨書)가
새로 발견됐다. 이 묵서 중에서 종보(맨 위쪽에 있는 보) 보아지(보강재) 상부에 쓰여진「법당중창기」에 ‘조선 세종17년(1435)에
이르러 법당을 중창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대웅전이 1435년에 중창되었고, 그 전부터 존재했던 건물임이 밝혀졌다.
또한, 목재연륜연대 측정 결과에서도 1400년대 이전에 벌채된 부재임이 확인되고 있어 대웅전을 건립한 시기가 1435년 이전이라는
사실에 신빙성을 더하고 있다.
봉정사 대웅전은 중창연대가 조선초기로 밝혀져 다포건물로서는 가장 이른 시기에 건립됐고, 건물과 단청의 보존상태 또한 양호한
점이 역사적.예술적.학술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국보로 승격, 지정하게 됐다.
봉정사 우측에 있는 출입구, 진여문
무량해회
정면 4칸, 측면 3칸의 겹처마 집에 전면과 남쪽에 마루를 놓고 양쪽의 중앙에 칸벽을 설치하여 몇 개의 방으로 나누어진 요사이다. 남쪽 면에는
축단 밖 단하로 튀어나온 열주(烈柱)로 받쳐진 누와 후면 내정 쪽에 쪽마루가 연결되어 통로는 3면에 이어졌다. 해회당 몸체에서 약 2미터 가량
띄어 'e'자를 뒤집은 형태로 요사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트인 ㅁ자형' 평면을 이룬다.
안마당을 둘러 싼 북쪽의 방사 모서리에 '염화실'이라 한 작은 편액이 붙어 있다. 2칸 방과 작은 대청 그리고 단칸방 둘이 꺾여 북동쪽을 막아
섰고 4칸의 넓은 부엌은 동남 모서리에 돌출된 남쪽으로 3칸통의 큰 방을 만들어 시중과 대중방으로 활용하고 있다. 중정에 면한 본채는 겹처마와
익공이 가구된 비교적 높고 당당한 건물이나 ㄷ자의 후원 요사 부분은 홑집으로 상대적으로 빈약해 보인다. 안마당을 향한 본채 뒷면 각방에는
띠살문 옆에 살대를 꽂은 광창이 설치되어 내정의 분위기를 아담하게 꾸며준다. 요사란 절에서 스님들이나 신도들이 거처하는 집을 말한다.
불사를 관리하고 강당, 선당에서 수행하는 모든 수행자들의 의식주를 뒷받침해 주는 생활공간이며 휴식공간이다.
극락전
극락전은 현존하는 우리 나라의 목조건축 중 가장 오래된 최고(最古)의 건물이다. 가공석 및 자연석으로 쌓은 기단 위에 정면 3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과 주심포(柱心包)건물로 고려시대의 건물이지만 통일신라시대의 건축양식을 내포하고 있다.
극락전 해체 보수공사 때에 1625년(인조3)에 작성한 상량문을 발견하였다. 이 상량문은 '천계 5년 3월'에 중수하면서 작성한 공사 기록인데,
'前中創至正 二十三年 癸卯 三月日'이라는 구절이 있다. 중창은 중창(重創)을 의미하며 지정 23년은 고려 공민왕 12년(1363)이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께서 개창하였다고 상량문의 신라 때에 창건은 이를 가리킨다. 공민왕 12년에 중수
하였다는 기록은 이보다 오래 전에 이미 건물이 조영되어 있었음을 의미한다.
3단의 장대석 기단 위에 갑석을 올리고 크기가 다른 자연석 주춧돌을 사용하였으며 정면 3칸, 측면 4칸의 구조이다. 이 건물은 감실형으로
주벽이 토벽으로 밀폐되고 따로 낸 문얼굴에 널빤지 2장을 사용한 문짝을 달았고 좌우 협칸에는 살이 각 11개가 달린 광창이 있다. 공포는
외 1출목 주심포의 양식을 갖추고 있으며 처마는 겹처마이다. 가구는 9량가인데 그 구성이 매우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고주 2본이 뒤쪽에 있다. 그러나 평주상의 대량과 퇴량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높이로 만들어진 특색을 보인다. 다른 법당에서는 보기 드문
구조이다. 대량은 단면이 청자매병의 윤곽을 연상시킨다. 굵지않은 목재를 홍량으로 다듬어 걸었는데 이로 인하여 중첩하는 부재가 거듭됨
에도 불구하고 무거운 맛을 덜고 간결하게 처리하였다.
건물의 내부는 바닥에 방전을 깔고 뒤쪽에만 2개의 고주를 세워 그 사이에 이동식 불단을 설치하였다. 불단 위에는 불상과 불화를 봉안하였는데,
그 주위에 4개의 기둥을 세우고 기둥 윗몸을 짜맞춘 뒤 다포식 구성을 지닌 지붕을 씌워 집을 마련하였다.
극락전이 지닌 몇 가지 특징은 통일신라시대 이후 고려까지 계승된 이른바 고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즉 기둥머리와 소로의 굽이 곡면으로 내반
되어 있는 점, 대들보 위에 산 모양에 가까운 복화반대공을 배열하고 있는 점, 첨자 끝에 쇠서를 두지 않은 점 등으로 미루어 부석사 무량수전
보다 양식적으로 선행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봉정사 극락전의 경우에는 아미타불을 전각의 가운데에 이동식 불단을 설치하여 그 위에 봉안하고
있고 좌우 협시보살은 모셔져 있지 않다. 단지 불단에는 높이 100cm정도의 아미타불만 모시고 있지만 불단의 뒤에 있는 후불탱화는 본존불인
아미타불과 좌우 협시보살인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그린 삼존도형식을 취하고 있다.
고종(高宗)37년인 1900년에 그린 후불탱화는 가로 195cm, 세로176cm의 크기로 비단 바탕에 5cm폭의 흰 테두리를 두르고 중앙에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 아난존자와 가섭존자를 그려 전체적으로는 아미타불의 관배를 감싸듯이 배치된 구도를
가지고 있다. 탱화의 표현 기법은 본존불의 경우 결가부좌의 자세를 취하고 있고 상체보다 두부(頭部)를 상대적으로 크게 표현하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 앞까지 들어올려 엄지와 검지를 맞대었고 무릎 위에 올려놓은 왼손은 엄지와 약지를 맞대고 있는데 손가락 끝이 뾰족하지만
우아한 곡선미를 간직하고 있다. 광배는 원형으로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을 그렸다.
좌협시보살인 관세음보살은 본존불을 향하여 약간 틀어 앉은 자세를 취하고 머리에는 화불(化佛)이 그려진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고 왼손은
연꽃 줄기를 잡고 있다. 우협시보살인 대세지보살은 관세음보살과 대칭되는 자세를 취하고 보관(寶冠)에 보병(寶甁)을 표시하고 경책을 받쳐
들고 있다. 본존불의 두광 좌우에 합장한 아난과 가섭존자가 상반신만 표현되어 있고, 그 위로 화면의 여백없이 구름을 화려하게 그렸으며
구름 사이로 보이는 하늘에는 광선을 그려넣었다. 탱화하단 중앙에도 한덩이 구름을 그려서 아미타여래가 극락세계에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3층석탑
극락전의 정면에 있는 고려시대 중엽에 조성된 탑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중 기단의 방형 석탑으로서 기단부에
비해 탑신부의 폭이 좁으며 각층 높이의 체감이 적당한 반면 폭이 좁아 처마의 반전이 약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약간 둔한 느낌을 준다.
상륜부는 노반 복발 앙화 부분은 있고 나머지는 없어졌다. 탑의 총 높이는 318cm이다.
2층 기단(基壇)을 쌓아 탑의 토대를 마련하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과 머리장식을 얹은 일반적인 모습이다. 아래·위층 기단의 각 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새겼다. 기단에 비해 폭이 좁아진 탑신부는 각 층의 몸돌 크기가 위로 갈수록 적당하게 줄어들면서도, 폭의 변화는
적다. 지붕돌도 높이에 비해 폭이 좁고 두툼하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의 일부만 남아있다.
위사진 좌측의 건물이 고금당인데
보물 제449호로 지정되어 있는 고금당은 극락전 앞 서쪽에 세워져 있다. 이 건물은 동쪽에 있는 화엄강당과 같은 시기에 같은 목수에 의하여
건축되어 조선시대 중기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화엄강당과는 달리 기둥과 기둥의 간격이 좁고 기둥의 키가
높은 구조를 하고 있어서 대조를 이루고 있다. 자연적으로 쌓은 축대 위에 장대석으로 낮은 기단을 만들고 주춧돌을 놓았다. 평면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이다. 공포는 익공에 가까운 주심포계이며 가구는 고주가 없는 7량가이다. 정면 3칸에는 칸마다 2짝으로 된 띠살문을 달았다.
어간 문의 크기는 중앙으로 출입하게 되어 있어 좌우의 띠살문보다 높이가 조금 더 크다. 측면과 뒷면은 모두 벽으로 막았고 뒷면의 좌우 협칸에
외문의 띠살문을 달았다.
공포의 구성은 기둥 위에만 포작을 짜올린 주심포계 구조를 택하고 있으며 주두 밑에 헛첨차를 끼우고 그 위에 주두 위에서 나온 살미첨차를
포개 놓았다. 이 위에 도리 방향으로 일출목의 행공첨차를 얹어 외목도리를 받치고 있는 관계로 익공계로 이해되기도 한다. 측면의 가구는 벽
중앙에 귀기둥보다 약간 긴 원형의 고주를 놓아 대들보를 받치고, 대들보 위에 짧은 동자기둥을 세워 종보를 받쳤으며, 이 위에 다시 짧은 기둥을
세워서 마루도리를 떠받치고 있다. 도리와 장여를 길게 밖으로 빼내어서 측면 지붕에 깊이감을 주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화엄강당에는 대들보와
마루보 사이에 조그만 살창을 두고 있지만 고금당에는 없다.
이것은 화엄강당이 판고 등으로 쓰이던 건물이어서 측벽에 살대를 꽃은 통풍창이 있는데 반하여 고금당은 선원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살창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다. 좌측면에는 아궁이를 내어 난방을 할 수 있도록 꾸몄다. 내부는 3칸 통으로 공간 활용을 넓게 하였다.
소각로도 운치있다.
범종각
종을 걸어두는 누각으로 종루(鐘樓)라고도 불리 우며, 사찰의 의식도구인 사물(四物 : 범종, 법고, 목어, 운판)을 걸어놓고 각종 불교의식의
시작과 끝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사용하는데 봉정사는 만세루에 사물을 놓아두고 종각에는 범종만 달아놓음
안정사 석조여래좌상
삼성각
산신(山神) 칠성(七聖) 독성(獨聖)을 함께 봉안하고 있는 당우(堂宇)이다. 삼성은 각각 재물과 수명과 복을 관장하는 존재로서 전통신앙인
삼신신앙과의 습합현상을 살펴볼 수 있다.
산신은 원래 불교와 관계가 없는 토착신이나 불교가 전래된 후 일반 대중에게 포교하기 위한 방편으로 재래신앙에 대한 수용력에 의하여
먼저 호법신중이 되었다가 후대에 원래의 성격을 불교 안에서 되찾게 된 것이다. 산신은 가람수호신으로서의 기증과 함께 산속생활의 평온을
비는 외호신으로 받들어지며 자식과 재물을 관장하는 신이다.
칠성은 북두칠성을 가리키는데 별나라의 주군으로 인간의 복과 수명을 관장하는 신이다.
독성은 나반존자(那般尊者)라고도 불리며 십이인연(十二因緣)의 이치를 홀로 깨달아서 성인의 위치에 올라 말세 중생에게 복을 내린다고 한다.
삼성은 모두 불교 밖에서 유입된 신들로서 일반 중생들을 위해서 우리의 토착신앙인 삼신신앙을 불교와 습합함으로서 중생 구도의 목적을 띠고
있다. 따라서 건물의 이름을 전(殿)이라 하지 않고 한 단계 격을 낮추어 각(閣)이라 일컫는다.
화엄강당
이 건물은 스님들이 교학을 공부하는 장소인 봉정사의 화엄강당으로 온돌방 구조를 갖추고 있다. 극락전과 대웅전이 17세기에 중수되었는데
스님들의 강학공간인 화엄강당도 함께 중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건물 내부는 남쪽 2칸이 부엌, 북쪽 4칸이 온돌방으로 되어있으나 원래는 정면 4칸, 측면 4칸으로 현재의 온돌방 뒤쪽
으로 4칸의 마루가 깔려 있으며 부엌이 지금보다 넓게 자리잡고 있었다. 평면 구성이 언제 오늘날처럼 바뀌었는지는 정확하게 알기 어려우며
1930년대 이후로만 짐작될 뿐이다.
대웅전 앞 경내에 들어서면 왼쪽에 화엄강당이 동향으로 세워졌으며 그 후면은 극락전의 앞쪽이 된다. 장대석 댓돌 위에 두꺼운 널판을 쪽마루와
같이 깔았는데 사분합의 띠살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서면 중앙칸과 북쪽칸은 하나로 통해서 넓은 온돌방이다. 나머지 남쪽칸은 부엌으로 만들었으나
그 박공쪽 벽을 헐어서 내부를 확장하였으므로 건물 원래의 모습이 약간 상하게 되었다. 강당으로 사용한 건물이므로 대웅전 등의 불당에 비교하여
매우 낮은 기둥을 사용하였는데 그 대신 공포의 치수를 보통 이상으로 크게 잡아 건물의 균형을 어색하게 만들었다. 측면에는 중앙에 네모기둥 1개를
세워서 대들보를 받치도록 하였으며 이 대량과 그 위의 동량과의 사이에는 살창을 하나 만들었다. 정량위의 마루대공 좌우에는 소슬창이 보인다.
박공머리에 나와있는 도리 밑을 받친 첨차들은 그 전부가 다포집 계통의 첨차들이다.
공덕당
절에서 공양을 만들고 먹는 곳으로 사용하고 있음.
다시한번 정리하면 대웅전이 극락보전보다 더 이른시기에 축조되었지만 정확한 기록이 없어 공인을 받지 못하고 있으니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은 아직가지는 봉정사 극락보전이다.
다만 대웅전은 다포계의 양식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이라 할수 있겠고, 봉정사에서도 이렇게 정리를 한것 같다.
|
첫댓글 ㅎㅎ 봉정사가 인기가 참 많은 것 같아요^^ 저도... 포스팅을 해야하는데ㅠㅠ
소각로..뭔가 하고 한참을 궁금해 했는데 쓰레기 태우는 곳이라는 말에 한참 미소를 지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