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대기오염의 영향
① 오존층 파괴
오존층은 고도 20~30km의 대기층에 있으며 태양광선 중 생물체에 해로운 자외선 흡수하여 지구의 인간과 동식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 배기가스, 프레온가스 등에 의해 오존층이 파괴되면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이 증가하여 지구의 기온을 상승시키게 된다.
인간에게 피부염 및 피부암, 백내장, 면역기능 약화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생태계 및 농어업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② 지구온난화
대기 중에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등)가 너무 많이 방출되어 지표면의 열기가 빠져나가지 못해 기온이 높아지는 현상.
빙하감소, 해수면 상승, 생태계 변화, 홍수 또는 가뭄 등의 현상이 야기된다.
③ 열섬현상
배기가스와 미세먼지, 고층건물의 밀집, 인구과밀 등의 영향으로 도심의 온도가 변두리
온도보다 약 5℃ 정도 높아지는 현상이다.
여름보다 겨울이 더 뚜렷하다.
④ 산성비
- 자동차 배기가스나 화석연료(석탄, 석유, 천연가스)의 연소 시 발생하는 아황산가스(SO₂ 이산화황)로 인해 pH 5.6 이하의 비가 내리는 것을 산성비라고 한다.
문화재 등의 건축물 부식, 산림이나 농작물에 피해, 수질 생태계 교란, 가시거리 좁아짐, 호흡기질환을 유발한다.
⑤ 엘리뇨와 라니냐 현상
엘리뇨 : 약한 무역풍의 영향으로 동태평양 바닷물의 온도가 평년보다 0.5℃ 이상 상승하여 몇 달씩 지속하는 상태로 동태평양
일대에는 폭우나 홍수가 발생하고 서태평양 부근은 가뭄이 발생한다.
라니냐 : 강한 무역풍의 영향으로 동태평양 바닷물의 온도가 평년보다 0.5℃ 이상 낮은 상태가 몇 달간 지속하는 상태로 동태평양
일대에는 한파와 가뭄이, 서태평양 부근에는 태풍과 폭우가 발생한다.
(4) 대기오염의 관리대책
① 오염물질 배출시설의 대체 또는 폐쇄
② 배출원의 설치 지역 규제
③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공정개선
④ 오염물질 방지시설의 설치
⑤ 공공기관의 책임 : 대기오염의 실태조사와 대책 수립, 법적 규제 및 집행, 주민에 대한 교육과 계몽 등
3) 환경관련 제도 및 부담금
(1) 환경영향평가 제도 : 대상 사업의 시행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조사, 예측, 평가하여 환경에 피해를 덜 줄 방안을 강구 하는 절차
(2) 환경오염 관련 부담금
① 탄소세 : 이산화탄소 저감 대책의 하나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각종 화석연료(석유, 석탄 등)를 사용하는 경우 연료에 함유된 탄소 함유량에 비례하여 부과하는 세금
② 환경개선부담금 : 경유 자동차 소유자에게 부과하는 비용
③ 안전관리예치금 : 부도 등으로 공사현장이 방치될 경우 미관이 훼손되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연면적 1,000㎡ 이상 건축물에 대해 공사비의 1% 범위에서 착공 시 예치 하도록 하는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