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진의 읍 면별 문화유적
1. 당진읍
1) 아후산성(衙後山城)
당진읍 읍내리 당진군청 뒤 야산, 구 경찰서 뒷산, 북문밖까지 연결된 1500여년 전 백제시대 산성 산줄기가 당진읍성과 연결되는 가까운 지역에 있고 높지는 않지만 당진현 중요 지역이 한눈에 조망되는 가성산성일것이다
2) 읍내리 고인돌(지석묘)
당진읍 읍내리 야산 군청 뒷산에 있는 청동기시대(서기전 10세기경~서기전 400년경)족장의 무덤, 북방식, 남방식 아닌 지석(굄돌)이 없는 변형식 고인돌(1979. 3. 31. 충남대 박물관장 윤무병 박사 현장 조사 고증)
3) 당진읍성
당진읍 읍내리 산 21-1 임야외 25필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성곽 항목에 조선 세종22년(1440년)에 축조한 행정적 기능과 군사적 기능을 겸비한 읍성으로 둘레 914.5m, 높이 2.4m, 성문 3개소, 옹성 시설, 여장(女墻) 468개, 우물 2개소, 성내는 동문리, 서문리, 남문리, 북문리 등의 행정리가 있고 주민들이 성안에 거주했었다.
4) 태성(台城 : 우두산성)
당진읍 우두리 태성마을 거북산 919-2 임야외 6필지 정상부에 있는 백제시대 토성으로 추정되며 둘레 약 320m, 높이(밖)약 7m,
5) 가성(加城)산성
당진읍 우두리 가성산 135-2 임야외 9필지에 있는 가성산(82m)정상을 둘러싼 테뫼식산성으로 토성이다. 둘레 438m, 높이 약 1.5m~8m, 성벽 상부 폭 약 1.5m.
6) 태성(泰城)산성
당진읍 행정리 태성산 산 102 임야외 6필지에 있는 태성산(92m) 정상을 둘러싼 둘레 327m의 토성이다. 테뫼식 토축
7) 당진현 객사(客舍)
당진읍 읍내리 현 천주교 교회자리, 이미「망신관(望宸館)」 현판이 전 경로당에 보존돼 있었음.
8) 사근사터
당진읍 구룡리 산 98 임야외 6필, 사근절마을 입구로 부터 약 700여m 지점 북쪽 사면에 있다.
9) 사기소리 요지(窯址)
당진읍 사기소리 254 답외 7필. 조선시대 가마있던 터.
10) 성당사터
당진읍 사기소리 산 191-1 임야 외 3필. 이배산 성당마을에 있는데 조선시대에 창설됐다가 폐사된 것으로 본다.
11) 사기소리 고분군(古墳群)
당진읍 사기소리 안사기소 산 32-2. 임야외 26필.
고려사대 조성된 석축묘로 추정.
12) 수청리 고분군
당진읍 수청리 산 60-1 임야외 12필.
장방형 석축분으로 시대는 미상이다.
13) 용연리 고분군
당진읍 용연리 2리 320-6 임야외 13필.
용연리 저수지 옆 동쪽 250m북쪽 소규모 골짜기 소
14) 입한재(立限齋)
당진읍 원당리 144 대(垈)외 7필. 조선 중기의 대학자. 시인. 문장가인 구봉 송익필(1534~1599)선생의 사당으로 이 입한재 위에 묘소와 묘비(우암 송시열 지음)가 있다.
15) 탑동 석탑. 석등. 불상 부재물(附材物)
당진읍 채운리(탑동) 466-3 전(田)외 10필
16) 당진 북창터
당진읍 우두리 태성마을에 있다.
17) 채운포 석교명(石橋銘)
당진읍 채운2리 512 탑동 1688년(조선 숙종 14) 또는 1689년 세운 채운교 석교(돌다리)시설하고 그 내용을 적은 기념비로 전해오나 비문의 마멸이 심하여 불분명하다.
18)우두산성
우두동 태성마을의 야산(40m) 정상을 둘러싼 둘레 320m의 테뫼식 토축 우두산성(또는 태성)이 있다
2. 합덕읍
1) 합덕제(合德堤)
합덕읍 성동리 532 답 외 98필. 합덕방죽, 합덕지, 연호, 연제, 연지, 합덕제언 등으로 부름. 축조시기- 백제 후기 위덕왕 또는 무왕 재임시 축조한 것으로 추정. 필자가 이미 1995년에 조속히 이 연호의 복원을 주장했는데 이제서야 복원계획으로 추진한다 함.
2) 덕산창
합덕읍 합덕리 구합덕 창말에 있었던 조창터. 옛날 덕산현 관할지역이라 덕산창으로 호칭되며 합덕리 276번지에 위치한 것으로 건물터 추정지 발견.
3) 동구재(東丘城)
합덕읍 합덕리(구합덕)창말 뒷산 즉 꽃동산에 있는 성터로 동굿재, 등굿재로 불려온 토성이다. 본래 구합덕 천주교 성당 소유였으나 그후 1950년대에 서야중고 유재하 이사장의 소유라 함.
4) 성동리산성(테뫼산성)
합덕읍 성동리 테미산에 있는데 성재산 정상부에 테뫼식으로 축조한 백제시대 산성, 둘레 473m, 높이 2~5m내외.
5) 성동산성
합덕읍 도곡리와 소소리 경계 둔군봉에 있는 토성 후백제 견훤의 축조설과 조선 후기 축조설 있다.
1892년 홍주목사 표봉석과 동학혁명 당시 5위장군 표구석이 증축하여 동학군을 방어했다는 설이 있다.
둘레 500m 현존한다 하나 불분명하다.(한국문화유적 총람)
6) 테미산성(당산성 : 소소리 산성)
합덕읍 소소리 회티북산 76 임야외 7필지(순성면 본리 경계의 테미산(테뫼산) 또는 당산 정상부) 산정식 산성으로 둘레 493m, 폭 약 2m(추정), 높이 9.5m(외벽)~약1m(내벽),
외견상 토성이나 석성이다.
7) 독포(獨浦 : 독개)나루
합덕읍 신흥리 352-206 천(川)외 3필지 삽교천~아산 궁평장 왕래 나루터.
8) 신리 공소
합덕읍 신리 63-4 답 외 3 신리공소건물은 병인박해(1866) 당시 조선교구 제5대 교구장 다블뤼 안 주교가 살았던 주교관(공소) 건물로 지난 2008년 7월 14일 충청남도 문화재로 지정됨. 공소 앞에는 순교복자기념비가 있다.
9) 구합덕성당
합덕읍 합덕리 275. 1890년 퀴를리에 신부가 양촌으로 파견돼 사목활동중 1899년 현위치에 성당 신축 준공하여 성당을 이전함. 1906년 크램프 주임신부 부임해 1907년 매괴학교 설립. 1908년 6월 개교식 거행. 현존건물은 1929년 10월 폐랭신부에 의해 지은 것. 1960년 합덕본당 분할.
10) 합덕리 지석묘(고인돌)
합덕읍 합덕리(서야중고교 북쪽 구릉) 산 14임야 외 14필지 소재. 총 3기의 남방식 지석묘이다. 충남역사문화원 연구원에 의해 2003년경 발견
3. 고대면
1) 막무덤
고대면 대촌리 소재. 백제 부흥(독립)운동 당시인 663년 8월 27일(음)~9월 1일(음) 아산만의 백강(백촌강)해전에서 당 수군 180척 7000군사와 일본 수군의 1000척 27000군사중 400척 소실되고 1만여명 전사하여 장항만 대촌리해변에 떠밀린 시체를 매장한 무덤. 당의 유인궤 사령관의 명령으로 해변에 떠밀린 시체 거두어 조제(弔祭 : 위령제)지내고 매장했음
2) 당진포 해창터(海倉址)
고대면 당진포리 해운창(海運倉)이 있었던 지점으로 현재 당진포2리 305번지 이재득씨댁(남. 69세) 소유 밭이라 하나 300평도 안되어 믿기 어렵고 현지 답사한 필자의 판단으로는 이재득씨 소유 밭과 강래현씨 집터 전체로 판단된다.
「호서읍지」에 동고(東庫)6간, 집물고(什物庫) 5간으로 나와 있다.
3) 용샘(곰쇠샘)
고대면 당진포3리 559-2 전(田)외 2필. 조선시대 이문경(李聞慶 : 성은 이씨 문경은 경상도 지명으로 문경현감을 역임했다 함)집 하인이었다 하는데 물길을 잘 아는 지혜가 있어 그가 판 우물로 7년대한에도 물이 용출했다 함.
4) 온동저수지
고대면 당진포3리 892에 있는데 1920년대 후반 일본인 스스끼(鈴木善八)가 용샘에서 용출하는 다량의 물을 보고 저수하여 간척사업을 함. 그후 1931년 유래목의 바다 막아 50여㏊의 간척지 조성 논을 만듦. 토지는 일본인 다나까(田中壽次郞)가 관리하고, 1979년 삽교천 방조제 준공 후 삽교호 관개에 의해 2개의 방죽 중 큰 방죽만 남아있다.
5) 영랑사
고대면 진관리 259. 대웅전과 부도가 있다. .
6) 성당사
고대면 진관리 1275.
7) 원진관 회화나무 1
진관리 239-1. 진관1리 새마을회관 뒷편 소재. 수령 300년. 높이 20m, 둘레 5.2m. 밑둥둘레-7.8m.
8) 원진관 회화나무 2
진관리 240 즉 진관1리 새마을회관 뒤 나이 300년. 높이 20m. 둘레 4.5m. 밑둥둘레 7.8m.
9) 항곡리 모감주나무
항곡리 504 문기용씨 집 앞 소재. 수령 500년. 둘레 1.5m. 높이 13m
10) 성산리 산성
고대면 성산리와 석문면 통정리 경계 테미산(높이 79m) 정상부 소재 토성 177-3외 63필지 임야. 둘레 약 210m. 높이(외벽) 약 5m. 백제시대 테뫼식 산성.
11) 당진포진성(鎭城)
고대면 당진포리 산 64-3 포곡식 토석(土石) 혼축성, 1415년(중종9) 축조. 둘레 420m. 성벽높이 2.7m. 수군만호 주둔의 진성, 필자와 손인권씨 등의 주선으로 대호지면 적서리~석문면 삼봉리 도로공사 진성 파괴 예방, 해창터널 공사 권고
12) 고산사터
고대면 당진포리 산 184(절안마을-고산봉 남서기슭)소재 조선 초기~말기 존속 절터로 사역(寺域)은 거의 밭으로 경작되고 민가와 민묘(民墓)가 있다. 고산사 부도는 보존·관리가 관심사이다.
13) 속사리 토성
고대면 성산1리 속사리에 있는 평지성 마한시대나 백제 초기 토성으로 추정. 그곳 거주하는 이병직 교감이 발견했으나 아직 전문가의 고증 못 받음.
14) 국사봉산성
정미면 봉생리와 고대면 항곡리 경계 국사봉에 있는 둘레 약 90m.
15) 옥현리성
고대면 옥현리와 정미면 천의리 경계 「성고개」에 있다. 길이 약 50m
16) 고대면 대촌리에 고산봉수(高山烽燧),
4. 석문면
1) 난지도수(難知島戍)터
석문면 난지도리(대난지도) 말막금 135 전(田)외 10필지. 전해오는 말에 객사가 있었다 하나 난지도수가 있었던 터로 추정. 「대동지지」에 당진포만호의 병사를 나누어 파견·방어한 기록있다. 난지분교터에서 하마비(下馬碑)가 발견 석문중학교에 보존돼 있어 상관 관계로 추정.
2) 소난지도 의병총
3) 장고항석성
석문면 장고항리 산 101-16 임야 외 14필지(영방죽 남쪽 낮은 야산에 위치) 둘레 270여m. 성벽 약 2m, 3m 협축 석성 추정·석문방조제 공사로 성 전부 파괴
4) 초락도 해운암터
석문면 초락도리(7종외 16필지) 절께에 있다. 200~300평 규모 불당이 있었으나 현재는 훼손됐고 느티나무 2주가 있고 초락도 기도원이 세워져 있다.
5) 보덕사
석문면 삼화리 226-27
6) 초락도리 구석기유물 산포지(散布地)
석문면 초락도리 산 72-1 임야의 8필지가 구석기시대 유물조사에서 뗀석기(타제석기)를 확인했다 함. 한남대 충청문화연구소 알림(1997년)
7) 웅포성(곰개성) 석문면 삼봉리 차돌백이 마을 산 55 임야외 41필지(성넘어마을까지 연결된 일직선형 토성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것은 목장성으로서 그 기능을 했으리라 본다.
문헌에 「맹곶목장」이 보이므로 이 이 일직선형 성터는 목장에서 말키우기 위한 맹곶목장 목장성으로 추정
5) 자모산성
산성리 자모산 113 임야. 둘레-약250m, 높이-5m(밖)~1m(안), 두께-2m
6) 안국사지·안국사지 석불·석탑 수당리 소재산 102-1
7) 안국산 봉수
수당리 안국산에 안국 봉수대 유적있음. 필자 현장 답사, 봉화산 봉수대와 안국산 봉수대문제 의문 미해결.
8) 천의 똑대기터(뱃터)
천의 2리 133-6 답 외 15필지.
9) 천의리 요지(가마터)
천의 2리 151-1 대지 외 3필지
10) 대호지 4·4독립운동기념탑
천의리 243-2 대지(垈地) .
5. 대호지면
1) 충장사
대호지면 도이 1리 273 충장사 아래 남주현씨 주택 원채 기와집은 군내 제2 고 건축물이므로 보존이 잘 되어야 함
2) 두산리 야철지
두산리 쇠정골 산 36-1 임야 외 1필 두산리 하두마을 → 약 800m → 쇠정골 → 예전 무쇠점이 있었다 함.
3) 이시경 충신 정려 (약산사) 송전리 창말 369-1,
사당 외 2필지
4) 이양원 묘소
송전리 61-23. 임진왜란 당시 영의정 이양원 묘소
5) 장정리 요지(窯址)
장정리 332 대지 외 3필 장정리 진마루에서 조금리와 두산리 분기점 도로 북쪽에 위치 민가 뒤편 밭으로 개간되어 경작 되는 주변 100평의 야산 하단에 위치.
6) 문원사
적서리 대촌 410 차천로 선생 사우
7) 창의사
조금리 169 대호지 4·4독립운동 참가자 570여명의 위패 봉안 사우
8) 만리성
마중리 대조리~정미면 승산리~천의리까지 연장된 일직선형 토성
6. 정미면
1) 대운산리 유적
대운산리 96-17 임야 외 10필지. 2002년 (재)충청문화재 연구원에서 서산~당진간 도로 확·포장 공사 구간에서 확인된 유적 백제시대 횡구식 석곽묘 7기
2) 이안눌 신도비
사관리 비석말 산 24-3 임야
3) 이안눌 묘소와 묘비
4) 하성리성(성산성)
하상리 군댕이 마을 중심 평지성으로 동·서·남·북의 성문터 흔적 있음.
5) 자모산성
산성리 자모산 113 임야. 둘레-약250m, 높이 -5m(밖)~ 1m(안), 두께-2m,
6) 안국사지·안국사지 석불·석탑 수당리 소재(산 102-1)
7) 안국산 봉수
수당리 안국산에 안국 봉수대 유적있음. 봉화산 봉수대와 안국산 봉수대
8) 천의 똑대기터(뱃터)
천의 2리 133-6 답 외 15필지.
9) 천의리 요지(가마터)
천의 2리 151-1 대지 외 3필지
10) 대호지 4·4독립운동기념탑
천의리 243-2 대지(垈地)
7. 면천면
1) 민백준 현감 청덕휼민선정비
사기소리 승전목(45-3답 소재, 면천에서 구룡리, 서산 방면으로 가는 70호선에서 지방도로 따라 약 4.5㎞가면 우측에 마애비가 있다.) 비석은 전면에 「縣監閔侯百準淸德恤民善政碑」라 씌여있음.
2) 성산리 산성
면천면 성산리 88 외 6필지. 면천나무고개 북측에 있다. 몽산성이 있는 산정식 토축(土築)산성이다.
성의 규모는 둘레 약 400m, 높이(외벽)약 5m, 내벽높이 약 1m, 성벽 폭 1.5m정도
3) 성상리 고분군
성상리 산 48 임야 외 20필. 면천향교에서 몽산성 방향으로 약 400m가면 남향사면 중단부 구릉상 벌채한 곳에 있다. 10여기가 있으나 도굴된 것으로 추정.
4) 몽산성(蒙山城 : 피성 避城)
면천면 성상리 몽산(295m)등 5개 봉우리와 능선을 에워싼 포곡식(包谷式) 토석혼축(土石混築)산성. 둘레 약 5㎞, 높이 1~2m, 문터 폭 3~7m, 백제부흥(독립)운동 당시인 서기 662년 12월 풍왕과 복신은 왕성(王城)을 주류성에서 피성(몽산성)으로 옮겼다가 다음해 2월 신라가 백제의 사평성(신평면 운정리 신평현성)등 4개성을 공략하고 2000여명 죽이자 다시 주류성(홍성군 장곡면 소재)으로 귀환함(일본서기).
지난 1995~97년 상명여대 박물관팀 학술조사 결과 백제시대 성곽으로 판명
5) 면천읍성
성상리 821-6 외 9필지. 평지성으로서 석성이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성곽둘레가 3,235척으로 되어 있고 세종 21년(1439년) 10월에 완료
6) 면천향교
건립시기는 1413년(태종13) 전후로 추정되며 변화 알수 있는 최초의 기록은 1716년(숙종42) 「학교등록(謄錄)」3월 7일자 기사(대성전 서벽과 신문수리사실 예조에 보고한 사실)이다.
7) 면천여단
면천면 성상리 산 156 임야 외 6필지. 「충청도읍지」 「면천군조에는 군의 북쪽 3리」로 기록돼 있다.
표지석을 세워야 한다.
8) 풍락루(豊樂樓)와 조종관(朝宗館)현판
많은 사람들이 「풍악루」라고 잘못쓰고 있는데 「풍락루」로 바로 써야 한다.
모두 면천초등학교에 보존중이며 조종관은 면천초등학교가 이전되면 원위치에 복원(건립)해야 할 것이다.
9) 군자정(君子亭)
「군자정기(君子亭記)」
10) 성상리 비석군(碑石群)
모두 8기의 선정비(善政碑)로서 1기는 관찰사 심의신 영세불망비이고 그외 7기는 면천군수의 선정비이다.
풍화작용으로 마멸이 심하다
11) 면천사직단
성상리 서문밖 1011 전(田)외 8필지 「충청도읍지」면천군편에 면천군 서쪽 2리에 있다고 기록돼 있어 면천중학교 부근으로 추정
12) 성상리 은행나무(2주)
충남도지정 기념물 제82호(1990. 5. 24지정) 고려 개국공신 복지겸장군의 딸이 심었다고 전해온다.
수령 1000년, 높이 27m, 둘레 6m,
13) 성상리 회화나무
성상리 771-1 소재. 수령 250년, 수고 20m, 둘레 4.3m
14) 안샘(화정 花井)
성상리 780 답 외 3필 고려개국공신 복지겸 장군 두견주와 관련 전설있음.
15) 영탑사
성하리 560 소재, 고려시대 사찰. 경내의 대웅보전, 약사여래불, 7층석탑, 영탑사 금동삼존불(보물 제409호-1964.9.5 지정)등이 있다.
16) 영탑사 의두암(依斗岩)
영탑사 7층석탑에서 300m거리 연화봉 소재. 전면에 依斗岩. 전면 좌측에 人道 正一××이라 음각함. 음각한 자는 김윤식(金允植 : 1835~1922)으로 그는 병조판서·외무대신·중주원의장 등을 역임했으나 1887년(고종 24) 명성황후의 친러정책에 반대 대원군 집권모의하다 미움사서 양유리 앵두샘마을과 영탑사에 유배되어 5년반동안 살았는데 영탑사 아랫마을 절골(현 최정환씨 가옥)에 집을 짓고 귀양살이할 때 음각한 것으로 依(의)는 북두칠성, 북은 임금을 상징한다고 한다.
17) 밀양박씨 묘역
송학1리 황새울 산 9-1 임야의 2필 효자 박효건, 박희전, 박희란 등 6기
18) 송학리 냉정골 고분군(古墳群)
백제시대 고분무리
19) 율사리 밤절 절터
율사리 698-1 전(田)외 5필. 조선시대 오봉산 남동쪽
20) 자개리 고분군
자개리 산 33-2 임야외 34필. 시대 불분명한 고분무리로 남산봉 남향 경사진 곳. 구릉의 중단·하단부에 있다.
대부분 석실분(石室墳)으로 추정함.
21) 자개리 유적 1
자개리 514-5 임야외 17필. 청동기시대(B.C 10세기~B.C 4세기) 선사유적.
2003년(재)충청문화재연구원에서 당진~대전간 고속도로 건설공사 구간 발굴 확인, 청동기 시대 주거지 41기, 동시대소형 수혈유구(움집 남은 유적) 2기, 석곽묘 2기, 시대 미상 구상 유적(溝狀 遺蹟: 도랑모양 자취) 1기 확인. 주거지(집자리)는 수혈식(움집형태) 주거지로 장방형, 방형(4각형), 원형(둥근모양)등이다. .
22) 자개리 유적 2
자개리 457-17 임야외 11필. 위와같이 역시 2003년 당진 ~ 대전간 고속도로 건설공사 구간 발굴로 확인.
청동기시대 주거지 22기, 원형·방형 수혈유구 4기, 석곽묘 10기, 조선시대 수혈유구 2기, 구상유구 2기 등 40여기 유구 확인.
23) 삼웅리 유적
삼웅리 유적은 2003년 (재)충청문화재연구원의 당진 ~ 대전간 고속도로 건설공사 구간 발굴시 확인. 석곽묘 6기 발견. 통일신라시대의 고분이다.
필자 3차 현장 답사.
24) 김응근(金應根)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
죽동 1리 댓골 603 전(田) 마을회관 앞 길 건너편 소재. 1860년(철종 11)에 세운 선정비 김응근(1793 ~ 1863)호 의석, 시호 청헌, 본관 안동. 영의정 흥근의 형. 좌의정 홍근의 아우.
1857년(철종8). 충청도 관찰사 역임후 공조 ·형조판서 역임.
25) 이×애민선정비( 李×愛民善政碑)
죽동1리 댓골 303 전(田). 1706년(숙종32)에 세움. 당진 ~ 면천 방면 좌측 언덕위에 있는데 김인섭(전 면천면장)씨의 제보로 필자가 확인하였고 최영근 사진작가가 엎어진 것 바로 세웠으며 「당진의 금석문」에 수록했다. .
8. 순성면
1) 광천리 유물산포지(散布地) 1·2
광천리 349-1 임야외 66필 및 859전(田)외 139필 원삼국시대 연질(軟質)토기조각이 다수 확인되고 있으며(859 전 田외)에서는 원삼국시대 타날문 토기조각과 연질토기조각이 다수 확인되고 있다.
2) 백석리 유물 산포지
백석리 산 93 임야외 115필로 청동기시대 밭지역에서 방추차와 연질(軟質)토기조각, 경질(硬質)토기조각 등이 다량 출토되었다.
3) 백석리 요지(窯址 - 가마터)
원백석 마을 동쪽 약 600m정도 소재 조선시대 요지로(사기장골·점촌)백자 가마터 추정, 출토 유물은 백자조각이다.
4) 봉소리 선돌(立石)
봉소리 1109 전(田)외 3필, 봉소2리 마을 입구 소재, 청동기시대(약 3000년전~약2400년전) 선돌로 높이 130㎝, 두께 45㎝, 둘레 136㎝ 규모이다. 선돌은 오늘날의 기념비와 같은 것이다.
5) 봉소리 석기 출토지
봉소리 296-4 외 96필, 표고 50m, 능선 평탄한 구릉지 소재 청동기시대 돌칼(石劍)조각과 돌화살촉, 유구석부(홈이 있는 돌도끼)등이 출토되었다.
6) 홍주 북창터
중방리(북창마을) 112외 북창초등학교~신평간 도로 북창교 직전 우측 주변으로 추정함.
7) 시인 윤곤강 묘소
갈산리에 묘소가 있는데 공은 순성면 갈산리와 당진읍 읍내리에서 거주한 기록
7)무공사(武恭祠)
순성면 양유리에 면천복씨의 시조 복지겸(卜智謙)장군의 묘와 사당
9. 우강면
1) 관음사 돌미륵
송산리 은골 산 70-2 임야소재. 순성면 중방리와 송산리 경계에 있는 수부산(77.8m) 당산암 건물안에 모셔져 있는데 민간기복 신앙형태인 바위돌을 미륵으로 모신 형태.
2) 송산리 유물 산포지(散布地)3
솔뫼성지(김대건 신부 탄생지) 북동쪽 낮은 구릉소재. 청동기시대(약3000년전~약2400년전) 무문토기조각의 출토가 확인되었는데 취락 형성에 적합한 입지이다.
이밖에도 송산리 유물산포지 1 <508-20 전(田)외 145필 원삼국시대 연질토기조각 출토지>, 동 유물산포지 2 <163-39 전(田)외 107필 백제시대 백제토기조각 출토지>, 동 유물산포지4<솔뫼성지 북동쪽 감리교회 주위 구릉지에 연질토기조각 출토지 등이 있다.>
3) 강문 부리포(富里浦)
신증동국여지승람 조창조(漕倉條)에 보이는 범근내포(氾斤乃浦)로 지칭하는 문헌도 있으나 필자가 누차 비교 답사 결과 이 포구는 일제강점기 정기여객선 또는 소들강문평야(예당평야)에서 착취한 벼를 일제가 강제반출해 가던 항구였다.
어쨌던 1910년대 부터 1960년대 까지 인천항을 왕래하던 정기여객선이 매일 운항하던 항구.
4) 원치리 토성
원치리 412 전(田)외 51필(성재 또는 성밀으로 부름) 원재마을 동쪽 구릉소재, 본래 해안성으로서 거의 일직선형 상곽이며 성의 길이 약 1000m이며 성안·성벽 주변에서 토기조각, 어골문 기와조각, 청자조각 등이 출토.
5) 창리 토성
창리 창말(114대 垈 외 65필) 소재. 우강면 사무소에서 강문리 부리포행 도로 창리 끝부분 우측 소재. 현재 동북쪽 성벽 약 2m 폭 언덕이 30여m 보이나 파괴돼 있다. 조선시대 축조한 성으로 추정
6) 유치흥(兪致興) 불망비(不忘碑)등5기
우강면 창리 1구 원동에는 유치흥 시혜(施惠)불망비, 영세(永世)불망비 각 1기, 유진태(兪鎭泰) 송덕비 1기, 유한팔(兪漢八) 유허비(遺墟碑)1기 등이 있다
10. 신평면
1) 한원사(韓原祠)와 이만유장군유품 거산1리 도암 510소재. 1899년(광무3) 건립한 이만유장군 사당이며 유품은 지방문화재 제84호로 지정 보존 유의.
2) 문정사(文定祠)
도성리 관절 소재. 홍문관 부재학 이성언(1380~?)의 사우로 필자 2회 현지 답사.
3) 도성리 패총 1, 2
도성리 266-2 전(田)외 4필, 도성리 290대 垈외 7필에 있었던 조개더미 유적.
4) 오봉제
상오리 청금마을 492-11 임야
소재, 1933년 상오리와 송악면 봉교리, 청금리, 신평면 상오리 소재 오봉제 저수지 준공 오봉제수리조합건설기념비로 나옴. 비문은 탁본과 동시 안내문도 세울 것.
5) 신당리 유물상포지 1,2
신당리 산 93-1 임야외 68필. 신당리 개언덕마을에 청동기시대 유물 무문토기편, 연질토기편 등이 출토된 곳.
6) 신평현성(운정리 산성)
운정리 산 79-3 임야외 2필 삽교호 옆 백제토성으로 추정되는 산성. 둘레 550m , 성벽 높이 7m(밖), 2m(안), 성벽 폭 상단부 3m, 기저부 5m, 기와조각(선조문·격자문)과 토기조각(무문·격자문·승석문)등이 출토됨. 성안 남서쪽에 사공바위(남근석 모양)가 있고 10여년전 성안 서남쪽에서 「함통(咸通) 11년 강×대사(康×大寺)」양각 명문 기와 출토로 이미 신라 경문왕 10년(서기 870년)에 「강○대사」란 사찰이 있었음이 확인되었고, 「일본서기」에 이 신평현성 기록이 있다.
즉 백제부흥(독립)운동 당시인 서기 662년 2월 2일(음)신라인이 백제의 남부 4주(사평·거열·거홀·덕안 등 4성)에 방화하고 수천명의 백제인들을 살해한 것으로 이 성이 본래 사평성(沙平城 - 신평의 옛이름이 사평)이라고 주장.
7) 운정리 돌미륵
운정리 탑재 미륵댕이 마을소재. 남근석 형태로 높이 217㎝, 두께 70㎝, 얼굴크기 92㎝, 상호(相好)와 의습(衣襲)의 윤곽은 불확실함.
옆의 돌에는 「선덕 삼년 무신 이월일 석×(宣德 三年 二月 日 石×)」란 명문이 음각돼 있어 조선 세종 10년 즉 서기 1428년 (명 선종 3년)에 세운것으로 보며 채웅석 교수(가톨릭대)와 오윤희 교수(한서대)는 이것은 「돌미륵」이 아니고 「매향비(埋香碑)」로 보고 있다.
11. 송악면
1) 의병장 정주원 장군 묘역
가학리 (당재)에 정장군의 묘소가 있다. 정주원(鄭周源:1868~1925)은 본관이 연일, 호는 송운 고대면 용두리 출생으로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체결되자 1907년 8월 경기도 안성시 이죽면 죽산리에 있다가 30여명의 지방의병을 이끌고 양지·양성 2개군을 순회하며 동지 150여명을 규합하여 의병대장이 되어 의병을 지휘 1907. 8. 25 안성 의병회의에는 의병장 7명, 의병 1만명이 집결했었다.
의병회의 끝난 8월 29일에는 그들 의병규모는 무려 900여명에 도달했는데 정장군은 그들을 3개부대로 나눠 그중 1개부대는 정장군이 직접 지휘하고 경기도 수원군 수하방면에 출동, 그해 11월에는 충청도 당진, 면천, 서산군, 경기도 부천군 등 2개도 각 군에서 활약하다가 1908년 7월 19일 대호지면 적서리에서 일본군에게 체포되어 그해 9월 29일 교수형 선고, 그뒤 종신형 감형, 3년 징역형으로 감형되어 옥고치루고 석방, 귀향함. 그후 1925. 1. 22(음) 평택군 오성면 숙성리에서 작고 장례후 현 가학리로 이장함. 필자에 의해 묘소 정화공사와 숭의비 건립 제막식 거행, 건국포장과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됐다.
2) 신암사
가교리 550소재. 1200년대 창건된 사찰로 신암사금동불좌상은 보물 987호로 지정돼 있다.
3) 구문로 신도비
가교2리 작은절골 소재. 1926년 건립, 흑면장군으로 익찬공신.
4) 구예신도비
가교1리 절골 소재. 1926년 건립. 중대광판전의사 일원 정승. 묘비는 기대승이 지었다. 신도비는 20세손 연창이 짓고 글씨는 권중하가 썼다.
5) 능성구씨 송덕비각
가교1리 삽다리 소재, 구한서송덕비, 구익서 기념비, 구연창 자선비 등이 있다.
6) 광명리 유물산포지(散布地)
광명리 산 76-2 임야외 110필 가운데말 동쪽 구릉소재. 무문토기조각이 출토되었는데 시기는 청동기시대이다.
7) 안민학신도비
고대 2리 방터 산 33-1 임야외 2필. 호 풍애인데 이이, 정철, 이지함, 성혼, 고경명 등과 교유함. 사헌부 감찰 지방 각 현감 역임후 임진란에 소모사되어 군량의 수송 맡았으나 질병으로 못 나가고 군량과 병력을 유성룡에게 돌리게 하여 사도시첨정 임명했으나 사퇴함. 비서원승, 장예원장 안종화가 비문을 짓고 글씨는 구양순의 집서이다.
8) 한음 영당(漢陰影堂)
금곡지 원저울 산 50 소재. 한음 이덕형(1561~1613) 영의정의 영정을 모신 사당
9) 안섬 당집
송악면 내도리 155-5 임야 60. 안섬풍어제를 지내는 당산. 정상에 있는데 풍어제는 약 400년전부터 내도리 주민들이 거행하는 최대 행사이다.
10) 본당리 미륵당
본당리 360-2 전(田)외 7필, 1945년경부터 있었던 당집으로 마을주민들이 치성드린다.
11) 봉교리 유물산포지(散布地)
봉교리 산 25 임야외 72필. 방아머리마을 800m거리 구릉 소재, 백제시대 연질·경질 토기조각, 무문토기조각 등이 출토됨.
12) 필경사
부곡리 2구 251-12 소재. 시인·소설가·극작가인 심훈(1901~1936)선생이 설계하여 짓고, 거주하면서 농촌계몽소설 ‘상록수’를 집필한 곳으로 도지정 기념물 제107호(1997. 12. 23)이다.
13) 오사(梧寺)터
오곡리 355 전田외 2필. 고려시대 절터로 약 400~500평 논밭에 기와조각·자기조각이 출토되고 있음.
14) 월곡리 은행나무
월곡리 91번지 김관영씨 가보(家寶)로 매년 정초에 제사 지냄. 수령 500여년, 높이 25m, 둘레 6m의 도나무이다.
15) 전대리 유물산포지
전대저수지 북동쪽 붓골마을 뒷산 즉 전대리 643-12 임야외 120필 소재. 청동기시대 무문토기조각이 출토된 곳.
16) 중흥리 절터
중흥리 송악산 동남쪽 342-1 전田외 7필 소재. 절터는 400~500여평으로 고려시대~조선시대까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건물터는 100여평 내외로 기와·토기·자기조각 등이 다수 출토된 곳.
17) 송악산성
중흥리 송악산 정상부에 남북으로 장타원형의 산정식 석조 성곽으로 둘레 약 270m, 높이 2.5m, 문터는 길이 5.5m, 폭 3.2m, 높이 1.5m 정도. 황해가 한눈에 들어와 당진군과 경기도 해안선, 황해의 수평선이 멋지게 보이는 산성으로 현재도 일부가 파괴되어 있다.
18) 당성(唐城)
정곡리 배울마을에 있는 석성(石城)으로 축성년대는 불분명하나 백제부흥(독립)운동이 실패하자 서기 663년 9월 25일(음) 백제 유민과 일본군(백제지원군) 5500명이 일본군선을 이 성앞 배울에서 출항했는데 이 성곽을 「데레성」이라 했다
19) 석포리성
석포리에 있는 토성으로서 그 규모는 미상이며 「일본서기」에 나오는 「무테」지점이 이곳이라 역시 고 박성흥 학설이다.
12. 송산면
1) 성구미 풍어제
가곡리 성구미 포구 마을 큰 당산과 작은 당산에서는 풍어제를 지냈다
2) 성구미 포구
가곡리 성구미(226-6 대垈외 5필) 포구로서 어선의 기항지
3) 가곡리 유물 산포지
가곡리 성구미 마을(26-16 답 외 49필) 소재 청동기시대 무문토기·출토
4) 당산리 절터
당산리 175-4 대垈외 11필. 조선시대의 절터로서 사역寺域은 약 400~500평으로 추정되며 기와·토기조각이 출토되었다.
5) 오도항
1960년대 초까지도 인천항과의 정기여객선이 왕래했던 당진의 외항이었다. 당산 3리 큰 오도(오섬)에 부두 즉 선착장이 있었다. 인천항과의 정기 여객선이 매일 왕래했고 당진군에서는 1932~34년까지 당진항 부두(계선장)공사가 준공되어 1935년 이른바 「당진축항築港준공기념비」가 세워졌다.
현재 기념비는 오도마을회관 앞에 세워져 있다.
6) 창택산성
도문리 창택산 즉 옥녀봉, 봉화산으로 불려지며 해발 약 60m의 낮은산에 있고 토성으로 둘레 90여m, 높이 1.8m, 하단 폭 6m, 상단폭 2m정도이다. 또한 창택산에는 면천군 창택산 봉수가 있어 서쪽의 「고산봉수」와 아산만 건너 경기도 양성의 「괴대길곶 봉수
첫댓글 당진의 역사와 유적을 잘 정리해 놓으셔서 많은 정보를 얻어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