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양모빌리티 특구’ 지정…첨단 조선기자재 육성
탄력중기부 ‘글로벌 혁신 특구’ 뽑혀
- 기술 신속한 사업화 원스톱 지원
- 딥테크 유니콘기업 등 육성 목표
- 시 “친환경·스마트선박 선제 대응”
부산시가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로 지정돼 관련 산업 육성이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28일 중소벤처기업부는 비수도권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글로벌 혁신 특구’ 지정 공모에서 부산을 포함한 4개 시·도(강원 충북 전남)가 지정됐다고 밝혔다. ‘글로벌 혁신 특구’는 첨단 분야의 신제품 개발과 해외 진출을 위한 규제 완화, 실증, 인증, 허가, 보험 등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는 제도가 적용되는 한국형 혁신 클러스터다. 현 정부의 공약이자 국정 과제로서 기존 규제 특례를 포지티브 방식에서 관련 법령의 금지·제한을 제외한 모든 것을 허용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부여하는 등 새로운 규제 혁신과 지원 체계가 적용된다.
시는 이번 글로벌 혁신 특구 지정에 따라 ▷전면적 네거티브 규제 시행 ▷국경과 공간을 초월하는 실증·인증 지원 ▷글로벌 진출 및 스케일업 패키지 지원 ▷기반구축·실증·인증·사업화 원스톱 지원체계 구축 등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실증이 인증과 허가까지 연계되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고, 전 주기 종합지원을 통한 첨단기술의 신속한 사업화를 이끈다는 구상이다. 특구 지정을 통한 목표로는 ▷딥테크 유니콘기업(심도 있는 기술을 가진 유니콘 기업) 1개 이상 육성 ▷신기술 기자재 인증 20건 ▷딥테크 기업 육성 40개 ▷매출 증가 3조 원 ▷고용 창출 1만7000명 등으로 설정했다.
전면적 네거티브 규제가 적용되는 만큼 부산에 최첨단 기술력을 가진 국내 유수 조선기자재 업체가 유입되는 나비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2021년 기준 부산의 조선기자재업체는 531곳으로 전체 1744개 업체 가운데 30.45%를 차지한다. 종사자 수는 전국 9만1927명 중 부산이 2만3114명(25.14%)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특구 지정으로 선박의 친환경·스마트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제적 기준의 자유시장 경제모델을 구축하는 ‘부산 글로벌허브도시’ 조성에 큰 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친환경(LNG과 전기하이브리드선 한정) 시장 규모는 2020년 21조7000억 원에서 2030년 348조 원을, 자율운항선박 시장 규모는 2022년 5조 원에서 2030년 10조6000억 원으로 전망된다. 각각 연평균 32%, 10%씩 성장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