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公公理法不增剛
올바른 법률 더 확립치 않으면 1)
逆者危亡順者安
거역은 망하고 순종자 안전하네. 2)
王莽曹操遺臭後
왕망과 조조 악취 뒤에 남겼고 3)
殷湯周發燦人間
탕왕 무왕은 온 세상에 빛나네. 4)
持情深似千尋水
깊은 속마음 천길 물속과 같고 5)
立志期成九仞山
세운 뜻은 높은 목표 기약하네. 6)
萬死無功君莫恨
만사에 공로 없다고 한탄 마오.
靑天何媿衆民顔
민중 대하기 얼마나 부끄러우랴. 7)
_____
1) 공공이법(公公理法): 공적인 규칙(the public laws).
2) 역자위망(逆者危亡): (하늘의 이치를) 거스르는 자는 위태하게 되어 망한다는 뜻. 이는 명심보감(明心寶鑑) 첫머리의 말이기도 하며 또 그것은 맹자(孟子 離婁)에서 나왔다. “하늘의 이치를 순응하는 자는 반드시 오래 보존하고 거역하여 위반하는 자는 멸망을 당한다(順天者存,逆天者亡).”
3) 왕망조조(王莽曹操): 왕망(王莽/ 45 BC-AD 25)은 전한(前漢)의 권력을 찬탈하여 황제가 되어 한(漢)나라를 신(新/ AD 8-23)나라로 했으나 곧 멸망했다. 조조(曹操/ 155-220)는 후한(後漢) 말 군사 정치가로 위(魏)나라 초대황제가 된 그의 아들 조비(曹丕)의 기틀을 사실상 만들었다. 초세지걸(超世之傑)이라는 칭찬도 있지만 간웅(奸雄)이라는 후대의 평가가 많다.
4) 은탕주발(殷湯周發): 은탕은 상탕(商湯)이라고도 하는 은(殷)나라 탕임금(湯王), 어진 정치와 덕(德)으로 세상을 교화했다고 하여 위대한 왕의 표상으로 전해온다. 고대에 하(夏)나라가 망하고 상(商) 땅에서 일어난 나라를 상(商)나라라고 하고 탕왕이 상나라를 개국했다. 상나라가 상(商) 땅에서 은(殷) 땅으로 천도를 해서 은나라고도 했으니 은(殷)과 상(商)은 시간차로 같은 나라의 연속이다. 주발은 주(周)나라 무왕(武王)의 이름으로 역시 훌륭한 정치의 표상으로 묘사되어왔다.
5) 천심(千尋): 매우 높거나 깊음을 말함.
6) 기성구인(期成九仞): 기성은 어떤 일을 꼭 이루려고 목적함이고, 구인은 아홉 길의 높이를 말하나 대개 아주 높은 것을 표현한다.
7) 청천하괴(靑天何媿): 푸른[넓은] 하늘을 향하고 (대중의 얼굴을 대할 때) 얼마나 부끄럽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