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컨테이너, 목상자, 나무틀 등
컨테이너에 의한 수송은 화물을 비바람으로부터 지키고, 대량의 화물을 효율 좋게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컨테이너에는 크게 나누어 국내의 철도 수송에 이용하는 컨테이너와 국제 수송에 이용하는 해상 컨테이너, 항공 컨테이너가 있다.
목상자나 나무틀은 중량물이나 이형 화물을 수송하는 때에, 그 화물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거나 외부로부터의 힘에 대하여 내용품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국제 수송에서 이용되는 해상 컨테이너의 크기는 일본 산업규격의 “국제 화물 컨테이너 외의 치수 및 최대 총 질량”에서 정해져 있는 외에, 각종 컨테이너의 사양이 JIS 규격(표)에 의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참고하면 좋다.
한편, 항공 컨테이너는 ULD(Unit Load Device)라고 불리고, 팔레트와 컨테이너로 크게 나뉘어 있는데, 모두 항공기에 의해 크기 등이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목상자나 나무틀을 국제 수송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검역의 배려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생목을 이용한 목상, 나무틀, 또는 컨테이너 내 사용하는 dunnage재 (화물의 깔개용 목재) 등의 목제 곤포(梱包)재는, 유해한 동식물의 침입 경로로 되는 경우가 있고, 국제 식품 방역 조약에 기초하여 “식물 검역 조치에 관한 국제기준 No.15”(ISPM No.15)가 채택되어, 많은 나라에서 적용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하는 목재에 대해서는 정해진 방법으로 열처리(목재의 중심 온도가 56℃에 달할 때가지 30분간 가열)나 브롬화메틸 훈증 처리(온도에 대응하여 48~64g/cm3, 24시간 훈증)을 행하고, 소정의 마크를 표시하는 것이 의무로서 되어 있다.
ISPM No.15의 규제 대상으로 되는 것은 생목 등, 비가공 목재를 이용한 곤포재로, 단판적층재(LVL, Laminated Veneer Lumber)나 합판, particle board 등의 가공 목재는 대상 외이다. 상세는 농림수산성의 식물 검역에 관한 정보 “목재 곤포재에 관한 정보”를 참조한다.
요점 BOX 튼튼한 목상도 검역에서는 식물의 일종 해상 수송은 컨테이너가 주역 내륙운송, 항공수송에도 컨테이너 |
<컨테이너의 일본 산업 규격>
JIS Z 1610 | 국내 화물 컨테이너 외의 치수 및 공통 사양 | 해상 컨테이너(고배 해양 박물관) |
JIS Z 1611 | 국내 보냉 컨테이너 |
JIS Z 1613 | 국제 화물 컨테이너 용어 |
JIS Z 1614 | 국제 화물 컨테이너 외 치수 및 최대 총 질량 |
JIS Z 1615 | 국제 대형 컨테이너의 코드, 식별 및 표시방법 |
JIS Z 1618 | 국제 일반화물 컨테이너 |
JIS Z 1619 | 국제 냉동 컨테이너 |
JIS Z 1621 | 국제 대형 open top 컨테이너 |
JIS Z 1622 | 국제 대형 flat rack 컨테이너 |
JIS Z 1624 | 국제 탱크 컨테이너 |
JIS Z 1625 | 국재 platform 컨테이너 |
JIS Z 1627 | 국내 일반 화물 컨테이너 |
JIS Z 1628 | 국내 화물 컨테이너 코드 및 마크의 표시방법 |
#container #컨테이너너 #pallet #팔레트 #ULD #dunnage #ISPM #훈증처리 #LV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