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벨벳밸리투명상어 : Etmopterus spinax Linnaeus
► 외국명 : (영) Velvet belly lanternshark, (일) Kuroharakarasuzame (クロハラカラスザメ)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60㎝, 체중 850g까지 자리지만 대개는 전장 45㎝ 정도이며, 가장 작은 상어류 중의 하나이다.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몸은 폭이 넓고 평평하며, 중간 정도로 긴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입에는 얇고 매끄러운 입술이 있다. 상악치(위턱의 이빨)는 작고 가늘며 뾰족한 첨두와 3쌍 이하의 소첨두를 갖는다. 아래턱 치아는 크고 강하게 기울어져 있으며, 칼날 모양의 첨두이고 좌우 치아와 결합한 기부를 갖는다. 새열(아가미)은 5쌍으로 작으며, 분수공과 비슷한 크기이다. 2기의 등지느러미 앞부분에는 단단하고 홈이 있는 가시를 가진다. 제2등지느러미는 제1등지느러미의 2배 정도의 크기이고, 가시도 제1등지느러미보다 길고 굽어 있다. 제1등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제2등지느러미는 배지느러미 직후부터 시작한다. 가슴지느러미는 짧고 둥글다. 뒷지느러미는 없다. 꼬리자루는 가늘고, 꼬리지느러미는 길다. 꼬리지느러미 하엽은 작고, 상엽은 낮고 끝에 명료한 결각이 있다. 피치(皮歯, 껍질의 이빨)는 얇고 끝은 갈고리모양이며, 간격을 벌려 불규칙하게 늘어서 있다. 등쪽은 갈색이며, 배쪽을 향해 서서히 검어진다. 옅은 검은 무늬가 배지느러미의 윗부분과 뒷부분, 꼬리지느러미를 따라 존재한다. 청록색으로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기를 가지며, 3~4m 앞에서 시인할 수 있다. 발광기는 체측, 배쪽의 9개소에 걸쳐 흩어져 있어 본종 특유의 패턴을 구성하고 있다. 이들은 측선을 따라 존재하는 것, 입을 제외한 머리의 아래쪽으로 흩어지는 것, 복면에 균일하게 존재하는 것, 가슴지느러미의 주변, 꼬리자루의 아래에 고정된 것 등이 있다.
► 설 명 : 서식 수심 범위는 70~2,490m이지만 대개는 수심 200~500m의 바닥에 서식한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심해에 서식하는 소형 어류와 갑각류 및 두족류를 잡아먹으며, 때때로 어둡고 깊은 심해에서 무리를 이뤄 사냥을 하기도 한다. 빛으로 먹이를 유인하며, 어두운 물속에서 동족끼리 모이는데도 빛이 이용된다.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몸의 일부를 투명하게 만드는데 투명상어는 몸의 발광기를 이용하여 빛을 왜곡시켜 스스로 몸이 보이지 않게 만든다. 천적이 아래에서 투명상어를 바라볼 경우 투명상어는 아예 보이지 않으며, 투명상어의 발광기는 몸 가운데와 측면, 지느러미, 꼬리, 생식기 등 9군데에 있다.
난태생으로 배아는 자궁 내에서 부화해 난황으로 성장한다. 번식 주기는 2~3년이고, 배란은 초가을에 일어난다. 수정은 여름이라고 생각되지만 암컷이 정자를 저장할 수 있다면 겨울에 일어날 수도 있다. 출산은 늦겨울부터 초봄에 이뤄진다. 임신 기간은 1년 이하이며, 산자수는 6~20마리로 암컷의 크기에 따라 증가한다. 출생 시의 크기는 12~14cm이다. 발광기 형성 전부터 태아의 난황낭이 형광을 내뿜기 때문에 모체에서 형광물질이 태아로 이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최초 발광 조직은 55mm 크기의 태아에서 출현하기 시작해 95mm로 완전한 발광기 배열이 완성된다. 출생 시에는 복면의 80%에서 카운터 일루미네이션을 실시할 수 있다. 성장은 느리지만 다른 심해상어보다는 빠르다. 수컷은 28~33cm, 암컷은 34~36cm로 성성숙한다. 이 크기가 되기까지 평균으로 수컷은 4.0년, 암컷은 4.7년이 걸리지만 암수 모두 4세에 성숙한 개체나 8세에도 미성숙한 암컷 개체가 확인되고 있다. 수명은 수컷이 18년, 암컷은 22년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분포 지역 전역에서는 새우나 랍스터를 잡는 저인망이나 다른 어류를 잡는 연승에 상당한 양이 혼획되고 있다. 드물게 염장품이나 건제품으로 가공되거나 어분으로 가공되는 경우는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상업 가치는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버려진다. 이 과정에서의 사망률은 지극히 높다. 개체수가 분포지역의 대부분에서 안정되어 있고, 2005년에 지중해에서는 수심 1,000m 이상의 저인망이 금지됨으로써 어느 정도 보호가 이루어지고 있다. IUCN은 전체적인 보전 상황을 경도 우려로 하고 있다. 하지만 북동 대서양에서는, 1970년부터 1998-2004년 사이에 개체수가 20%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준멸종 위기라고 여겨지고 있다.
► 분 포 :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지중해 서부에서 모로코, 세네갈, 시에라리온, 코트디부아르에서 나이지리아, 카메룬에서 가봉, 아조레스, 케이프 베르데,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주 등 동부대서양에 널리 분포한다.
► 비 고 : 가시줄상어류는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의 모든 대양에서 서식하며, 주로 열대 및 아열대 해역의 심해에 서식한다. 일반적으로 바다 밑의 바닥인 해저에서 서식하는 어종이며, 수심 150~1,250m의 수심에서 많이 서식한다. Etmopterus속에는 현재 39종의 어류가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난쟁이투명상어(Etmopterus perryi)는 현존하는 상어 중 가장 작은 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