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멀리즘
Minimalism 极简主义
미니멀리즘은 단순, 간결, 조화, 통일을 지향하는 현대예술의 사조다. 어휘의 뜻으로만 보면 최소주의 예술이라는 뜻이다. 미니멀리즘의 어원은 라틴어 ‘작은 것, 최소’를 의미하는 minimus와 형용사형 접미사 al이 합성된 것이다. 이때 최소는 크기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 장식을 말하는 것이다. 오히려 미니멀리즘 작품은 큰 것이 많다. 따라서 미니멀리즘은 크기는 상관없이 복잡한 구성과 장식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간결하고 단순하게 표현하는 창작의 원리다. 뉴욕 현대미술관(The Museum of Modern Art)에 의하면 미니멀리즘은 1956년부터 1970년까지 서구 시각예술의 주류를 이루었던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운동이었다. 하지만 독일의 바우하우스 예술운동과 러시아의 구성주의 회화에서 그 시초를 볼 수 있다. 미니멀리즘은 미국에서 시작되어 유럽과 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미니멀리즘은 산업사회와 도시생활에 대한 반동의 성격이 짙다. 근대사회 이후 대다수 인류는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두 번에 걸친 세계대전은 사람들을 불안과 공포에 떨게 했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단순하고 평온한 생활을 추구하는 한편 균형 있고 조화로운 상태를 희망했다. 미술사에서 보면, 미니멀리즘은 추상표현주의의 격정적 표현방식을 비판하고 이성적이고 기하학적인 표현방식을 지향했다. 그래야만 실재(real)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잭슨 폴록(J. Pollock)으로 대표되는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는 작가의 내면세계를 격정적으로 표현한다. 이것을 뜨거운 추상 또는 서정적 추상이라고 한다. 이런 초현실주의적 표현방법과 반대의 창작기법이 표현의 장식적 요소를 최소화하는 미니멀리즘이다. 미니멀리즘은 작가의 감정을 절제하고 주제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차가운 추상이라고 한다.
미니멀리즘의 사조가 회화, 조각, 건축, 복식 등에 수용된 것을 미니멀아트(Minimal Art)라고 하고 그런 경향을 추구하는 예술가를 미니멀리스트(Minimalist)라고 한다. 미니멀리즘은 어휘 그대로 단순성(simplicity)을 절대 원칙으로 삼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만 남겨놓고 다른 것들은 제거한다. 이런 경향은 “더 많은 것은 더 적은 것이다. 더 적은 것은 더 많은 것이다.(More is less. Less is more)”에 잘 담겨있다. 미니멀리즘을 완성한 것은 도날드 주드(Donald Judd)다. 주드는 반복된 모양의 단순한 작품을 주로 창작했다. 아울러 주드는 2차원의 사각 평면을 벗어나서 3차원의 구체적 현실과 생활을 오브제로 표현했다. 그러면서 3차원 현실이 진정한 공간(three dimensions are real space)이라고 단언했다. 이런 생각은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허물고 현실과 예술의 장벽을 제거하겠다는 뜻이다.
많은 것이 표현된 작품은 사람들의 상상력을 제한하고 작가의 의도에 수동적으로 따르도록 강요한다. 반면 적게 표현된 작품은 사람들의 상상력을 제한하지 않고 사람들이 능동적으로 작품을 해석하는 자유를 준다. 미니멀리즘 예술가들은 최소한만 표현함으로써 사람들이 예술을 완성하는 주체의 자리에 놓이도록 한다. 그래서 그들은 열린 텍스트(open text)를 지향한다. 따라서 이들의 최소지향은 표현의 경제적 효율성과 함께 본질과 실재를 추구하는 창작방법으로 보아야 한다. 미니멀리즘에서 작품은 스스로 존재하고 스스로 발언한다. 그러므로 오브제가 작품이고 작품이 오브제(objet)다. 오브제는 그 자체로 본질과 실재다. 미니멀아트는 내포적 의미는 감소하고 외연적 지시는 증가한다. 아울러 예술가의 주체성은 감소하고 감상자의 창의성은 증가한다. 미니멀아트는 정적인 것 같지만 동적이고 통일된 것 같지만 다양하다.
현대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상당수는 미니멀리즘을 토대로 한다. 미니멀리즘 건축은 기하학적 조형, 수학적 질서, 최소한의 색, 반복적 패턴, 점선면의 조화, 부분과 전체의 통일 등이 구현된 건축이다. 도날드 주드와 안도 타다오(Tadao Ando)의 작품이 미니멀리즘 건축을 대표한다. 안도 타다오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과 기하적 조형을 이용하여 간결하고 단아하게 표현한다. 그래서 평론가들은 동양의 선(禪) 사상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한다. 미니멀리즘 건축은 간결함, 평온함, 정적(靜寂), 내면 성찰, 조화와 균형의 미학을 담는다. 미니멀리즘 복식은 간결한 선과 색으로 우아하면서도 선정적인 미감을 표현한다. 원래 미니멀한 디자인은 미니멀리즘의 영향을 받아서 더 상징적이고 추상적인 표현을 하게 되었다. 그 외 무용, 음악, 연극, 문학, 영화에서도 미니멀(minimal)한 표현은 특유의 조류를 형성하고 있다. (김승환) ★
*참고문헌 Ad Reinhardt, “Art as Art”, Art international, VI, no. 10, Lugano, December 1962.
*참조 <감성>, <구체>, <기하학적 추상>, <내포⦁외연>, <리얼리즘[예술]>, <묘사>, <문예사조>, <상상>, <열린 텍스트>, <예술>, <재현>, <초현실주의>, <추상>, <추상표현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표현>, <표현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