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 about the different kinds of treatments and services that are effective in helping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치료나 서비스의 다른 종류에 대해 배워보자.
Mental disorders are generally characterized by changes in mood, thought, and/or behavior.
정신질환은 일반적으로 기분, 생각, 그리고 행동의 변화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They can make daily activities difficult and impair a person’s ability to work, interact with family, and fulfill other major life functions.
정신질환은 일을 하는 능력이 손상시키고, 중요한 혹은 삶의 기능을 충족시키거나 가족과 상호작용하는 일상 활동이 어렵게 만든다.
A SAMHSA report,State Estimates of Adult Mental Illness from the 2011 and 2012 National Surveys on Drug Use and Health – 2014 shows that 42.5 million adults ages 18 and older have experienced some form of mental illness in the past year, or about 18% of the adult population.
2014년에 발표된 2011년과 2012년 사이의 건강 그리고 약물 사용의 성인 정신 질환의 국가적 조사의 주별 추정치는 18세 이상의 성인들 중 4천2백5십만명의 성인인구의 18%정도의 사람들이 작년에 정신 질환의 일정 유형을 경험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SAMHSA’s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Block Grant (MHBG) provides funds and technical assistance for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to adults with serious mental illnesses and to children with serious emotional disturbances.
SAMHSA의 커뮤니티 정신 건강 서비스 블록 수여는 심각학 정서적 폐해를 가진 아이들과 심각한 정신질환을 가진 성인들을 커뮤니티에 기반한 정신 건강 서비스를 위한 기금과 기술적 조언을 제공한다.
SAMHSA also funds a number of other grant programs to help individuals with or at risk of developing mental disorders.
SAMHSA는 또한 정신질환이 진행중인 위험을 가지고 있거나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개개인들을 돕는데 다른 많은 수여 프로그램을 위해 펀딩을 한다.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se programs, read about SAMHSA’sgrant opportunities and the grant application, review, and management process.
Treatment for Anxiety Disorders
Anxiety disorders range from specific phobias, such as the fear of flying, to more generalized feelings of worry and tension.
불안 장애는 비행공포증과 같은 특정 공포증으로부터 더욱 일반화된 걱정과 긴장의 느낌까지 범위지워진다.
This group of disorders includes panic disorder, separation anxiety disorder, social phobia,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이 그룹의 장애들은 공포장애, 분리 불안 장애, 사회 공포증 그리고 일반화된 불안 장애를 포함한다.
The use of medication to treat anxiety disorders may be recommended, and while medication alone does not address the underlying reasons that a person develops an anxiety disorder, the use of medication can help keep symptoms under control while other forms of treatment are implemented.
불안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약물의 사용이 권장되어 지는데, 약물 치료는 사람이 불안 장애를 발달시키는 근본적인 이유를 홀로 다루지는 않지만, 약물 치료는 다른 치료의 유형이 실행되는 동안 증상의 통제를 도와준다.
Examples of medication that may be used as part of a treatment approach to anxiety disorders includes anti-anxiety drugs (benzodiazepines) such as clonazepam, lorazepam, and alprazolam.
약물 치료의 예는 아마도 클로나제팜, 로라제팜, 그리고 알프라졸람과 같은 벤도지아제핀계의 (향불안증약?) 을 포함하는 불안장애를 다루는 치료의 부분으로써 사용되어진다.
Anti-depressants such as fluoxetine, sertraline, and venlafaxine may be used.
항우울증약인 플루옥제틴, 서트랄린 그리고 벤라팍신도 사용되어 질 수 있다.
In some circumstances beta-blockers can also be prescribed to reduce physical symptoms such as sweating.
몇몇 상황에서 베타 블록커들은 또한 발한과 같은 신체적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처방될 수 있다.
Importantly, medications work differently in different people and need to be prescribed and monitored by appropriate medical personnel.
중요한 것은, 약물치료는 개개인마다 다르게 작용한다는 것이고 적절한 의학적 전문의에 의해 처방되고 관찰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Effective treatments for anxiety disorders also include various forms of counseling, including:
불안장애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는 또한 카운셀링의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다 :
-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that help people address their fears by modifying the way they think and respond to stressful events
- 인지 행동 요법은 스트레스 이벤트에서 그들이 생각하고 반응하는 방법을 교정시켜줌으로써 그들의 공포를 다루는 것을 도와준다.
- Mindfulness therapy that helps patients stay focused in the present and to stop struggling to control distressing thoughts and feelings resulting in greater self-acceptance
- 환자들이 더 많은 자아 수용을 초래하는 감정과 괴로움울 주는 생각들을 통제하는데 고군분투하는 것을 막고 현재에 집중하는데 마음요법?이 도와준다.
- Exposure therapies that use a method of gradual exposure to fearful situations that leads to decreased anxiety
Exercise and relaxation techniques such as meditation can be useful for people with this disorder because they help to lower stress and to manage severe worry. Positive support from family, friends, and other peers also helps to reinforce anxiety disorder treatment.
명상과 같은 운동과 안정 테크닉들은 이러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유용한데 왜냐하면 그들이 격심한 걱정을 관리할 수 있고 스트레스를 덜받게 도와주기 때문이다. 가족, 친구 그리고 다른 동료들로부터의 긍정적인 지지도 또한 불안 장애 치료를 강화시킨다.
Treatment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a 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excessive hyperactivity, impulsivity, or inattention.
ADHD는 부주의, 충동성, 과도한 과잉행동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정신질환이다.
While ADHD is typically diagnosed in childhood, symptoms may persist into adulthood.
ADHD는 전형적으로 어린시절에 진단되지만, 증상은 성인시절까지 지속될지도 모른다.
ADHD is most effectively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medication and counseling.
ADHD는 약물과 카운셀링의 조합으로 가장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Prescription stimulants are the most widely used medications to treat ADHD.
촉진제 처방은 ADHD를 치료하는데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된다.
Seventy to 80% of children with ADHD show improved attention span, reduced impulsivity, and improved on-task behavior while taking stimulant medications.
ADHD를 앓고 있는 거의 80% 그 이상의 아이들이 촉진제 처방을 하는 동안 향상된 업무 수행능력과 감소된 충동성 그리고 향상된 인지 범위를 보여주었다.
Different types of counseling and behavioral therapies are used to treat ADHD.
카운셀링과 행동요법의 다른 유형도 ADHD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Providing practical assistance, such as helping a child organize tasks or complete schoolwork teaches a child how to monitor his or her own behavior.
업무를 조직화하거나 혹은 학업을 완료시키는 것과 같은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아이에게 어떻게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는지 가르친다.
Helping a child control anger or think before acting is another goal of counseling for ADHD.
행동 하기 전에 생각하거나 아이의 분노를 통제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은 ADHD 카운셀링의 다른 목표이다.
Laying out clear rules, chore lists, and other structured routines helps a child control his or her behavior.
명확한 규칙, 허드렛 일 그리고 다른 구조화된 일상을 제시하는 것은 아이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는데 도움을 준다.
Counseling can also be used to help adults by educating them about ADHD, helping develop skills such as organization and planning, and applying these skills in daily life.
카운셀링은 또한 일상에서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고 계획하거나 조직과 같은 기술을 발달시키는 것을 돕거나 ADHD에 대하 교육함으로써 어른이 도울 수 있도록 한다.
ADHD coaching is an emerging treatment option that may help adults with the disorder.
ADHD 코칭은 장애를 가진 성인들을 도와줄 수 있는 떠오르는 치료 옵션이다.
ADHD coaches work with individuals on improving their skills on scheduling, goal setting, confidence building, organization, and persisting at life tasks.
ADHD 코칭은 개개인들이 계획하고 목표를 수립하고 신뢰를 쌓고 조직화 하고 일상의 업무를 지속하는 그들의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작용을 한다.
Treatment for Depressive Disorders
Depressive disorders are characterized by a pervading sense of sadness and/or loss of interest or pleasure in most activities, and include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 (dysthymia).
우울증은 슬픈 감정의 만연함 그리고 대부분 활동에서의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 그리고 주요 우울증이나 지속된 우울중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Like most mental illness, depressive disorders are best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medication and counseling.
대부분의 정신질환과 같이 우울증은 약물치료와 카운셀링의 조합에 의해 가장 잘 치료가 된다.
Many medications exist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ve disorders.
우울증 치료에 많은 약물들이 있다.
These medications, known as antidepressants, work by affecting neurotransmitters, especially serotonin and norepinephrine.
특히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작용하는 항우울증약으로써 이러한 약물들이 알려져 있다.
These medications fall into a number of classes including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serotonin and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SNRIs), tricyclic antidepressants, and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MAOIs).
이러한 약물들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삼환계 항우울제, 그리고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와 같이 나뉜다.
There are numerous forms of medication across these classes and each has different side effects. People sometimes need to try different medications to find a medication that relieves their depression and has tolerable side effects.
이러한 분류에 의해 수많은 약물들이 있고 각각은 부작용이 다르다. 사람들은 가끔 그들의 우울증 증상을 감소시키거나 부작용이 참을만 하는 약을 찾는데 다른 약물둘울 시도해볼 필요가 있다.
People with a depressive disorder often benefit from seeing a psychiatrist, psychologist, or other mental health counselor.
우울증을 가진 환우들은 종종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심리학자 그리고 다른 정신건강 카운셀러를 찾음으로 부터 이익을 얻는다.
If medication is needed, the person must see a psychiatrist or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 with prescribing privileges.
만일 약물치료가 필요하면, 그들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나 사적으로 처방해줄 수 있는 다른 건강케어 전문가들을 찾아야만 한다.
Interpersonal therapy, a form of behavioral therapy, is a short-term treatment option that aims to help people work through troubled relationships that may be affecting their condition.
행동 요법의 일종인 대인관계 요법은 그들의 조건에 영향을 미칠지도 모르는 곤란한 관계에 놓여 있는 사람들을 도와주는데 목표를 하는 단기간의 치료옵션이다.
It is important that those with major depression who experience suicidal thinking, a common symptom of major depression, and who are treated with antidepressants, have ongoing close psychiatric follow-up because energy levels may improve before mood symptoms and suicidal thinking resolve thereby potentially increasing the risk of suicide early in the course of treatment.
여기 잃다가 멘붕왔어요 ㅠ.ㅠ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tailored to address the thoughts and behaviors that can accompany depressive disorders are another treatment option.
우울증을 수반할 수 있는 생각과 행동들을 다루는데 맞추어진 인지 행동 요법은 또다른 치료 옵션이다.
Treatment for Bipolar Disorder
Bipolar disorder causes highs (mania) and lows (depression) in mood.
조울증은 조증과 우울증을 유발한다.
Symptoms of bipolar disorder are severe and can result in damaged relationships, poor job or school performance, and even suicide.
조울증 증상은 격심하고 그리고 손상된 인간관계, 직업, 학업 능력 심지어 자살까지 초래할 수 있다.
A combination of medication and counseling is recommended to treat bipolar disorder.
양극성 장애를 치료하는데 약물치료와 카운셀링의 혼합이 권고된다.
Bipolar disorder can be treated with a range of medications depending on the specific symptoms an individual with bipolar disorder experiences.
조울증은 양극성 장애 경험이 있는 개개인의 특정 증상에 의존하여 약물로 치료된다.
These medications include mood stabilizers, antipsychotics, and antidepressants.
이러한 약물 요법은 기분안정제, 향정신병약, 향우울증약을 포함한다.
Because some of these medications have serious side effects, especially mood stabilizers and antipsychotics, it is important for people with bipolar disorder to closely monitor side effects and have close support from their psychiatrist to properly manage their medication.
이러한 약물치료의 몇몇은 심각한 부작용을 수반하기 때문에, 특히 기분안정제나 향정신병약에서, 양극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부작용을 면밀히 관찰하거나 적절히 그들의 약물치료는 관리하기 위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으로 부터의 면밀한 지지가 필요하다.
A number of psychotherapies can help with the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including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o identify negative patterns and behaviors, interpersonal and family therapies that help people with bipolar disorder improve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s, and psychoeducation, which can educate people with bipolar disorder and their family members about the illness and help them to identify the signs of mood swings before they happen.
음성 패턴과 행동을 확인시키는 인지행동 요법을 포함한 양극성 장애의 치료, 양극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대인관계나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울 주는 대인관계적 그리고 가족 요법, 그들이 발병하기 전에 기분의 변화의 증후를 확인시켜줌으로써 그들을 돕거나 병에 대해 가족과 양극성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교육 시키는 심리교육과 같은 많은 심리치료가 도움울 줄 수 있다. 하하하하하하
Treatment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rauma is a widespread, harmful and costly public health concern.
트라우마는 널리 퍼진 해롭고 비용이 많이드는 공공 정신 조건이다.
It may occur as a result of violence, abuse, neglect, loss, disaster, war, and other emotionally harmful experiences.
트라우마는 폭력, 학대, 무시, 상실, 재앙, 전쟁 그리고 다른 정서적 해로운 경험들의 결과를 통해 발생한다.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s a reaction to traumatic stress, and people with PTSD may feel stressed or frightened even when they are no longer in danger following a traumatic event.
PTSD는 트라우마적 스트레스의 반응이고 PTSD를 앓고 있는 사람들은 아마도 트라우마적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위험이 더이상 없는 상황에서도 두려움이나 스트레스를 느낀다.
PTSD can affect different people, from survivors of sexual or physical assault or natural disasters to military service men and women.
PTSD는 다른 사람들 자연 재해나 성적 신체적 학대의 생존자로부터 군인들까지 영향을 미친다.
Not everyone who experiences trauma develops PTSD. However, about 10% of women and 5% of men are diagnosed with PTSD in their lifetime. Learn more about trauma and violence.
PTSD로 발달되는 트라우마를 겪은 모든 사람들한테 발병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10%의 여성과 5%의 남성은 그들의 일생동안 PTSD로 진단받는다.
Treatment strategies work best when they are customized to meet a person with PTSD’s individual needs.
치료 전략들은 PTSD를 앓고 있는 개개인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맞춤화되었을때 최고로 작동한다.
The selection of treatment and services should also reflect an individual’s stage of recovery.
치료와 서비스의 선택은 또한 개개인의 회복 단계를 반영한다.
Some of the most common forms of treatment for PTSD include:
PTSD를 치료하는 공통된 몇몇 유형은 다음과 같다 :
- Exposure therapy helps people face and control their fear by exposing them to the trauma they experienced in a safe way.
- 노출 요법은 안전한 방법으로 그들이 경험하는 트라우마를 노출시킴으로써 그들의 공포를 통제하고 마주칠 수 있게 도와준다.
- It uses mental imagery, writing, or visits to the place where the event happened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coping strategies.
- 이것은 정신적 상상, 작성, 그리고 협력적인 전략들의 발달을 가져오는 것을 유발하는 이벤트가있는 장소에 방문 하는 것을 사용한다.
- Cognitive restructuring helps people make sense of bad memories and address negative thinking.
- 인지 리스트럭쳐링은 사람들의 부정적 생각을 다루고 나쁜 기억의 감각을 만드는 것을 도와준다.
- Psychological therapies teach people helpful ways to react to frightening events that trigger their PTSD symptoms.
- 심리 요법은 사람들이 PTSD증상을 유발하는 두려운 이벤트들에 반응하는 도움적인 방법들을 가르친다.
Medications are often prescribed with behavioral therapy to treat the common co-occurrence of depression, related anxiety disorders, aggression, or impulsivity.
약물 요법은 종종 총동적, 공격적, 연관된 불안장애, 우울증의 공통된 동시발생을 치료하는 행동치료와 함께 처방된다.
Emerg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reatments such as meditation, acupuncture, and relaxation therapy may help people with PTSD.
발현하는 무료 그리고 대안요법들 명상, 침, 그리고 완화요법은 PTSD를 앓는 사람에게 도움울 줄 수 있다.
Research on therapy dogs for PTSD has been called for because anecdotal reports are promising, but controlled studies have not yet been completed.
마지막은 PASS~ ㅋㅋ
첫댓글 허걱! 또~~ 밤동님 엄청 에너지가 많으셔서... 마음에 드네요. / 저는 밤동님이 아까 번역해서 올린 자료를 교정보고 있는데요... 제 교정속도가 밤동님 번역속도를 못따라 갈 듯하네요. 교정 마치는 대로 올릴게요. / 고맙습니다. / 저도 오늘은 일단 자고... 내일...
방금 NAMI 사이트 들어가 보니 엄청 잘 되어 있네요. 제 생각에 마중물 + NAMI + SAMHSA + 사라의 열쇠 자체자료 해서 집대성한 홈페이지 개설하는 것도 나름 의미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그냥 해봤어요 ㅇ.ㅇ;
학원 선생님 말로는 4개월 뒤면 그럴듯한 홈페이지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하는데 그때 포트폴리오로 한번 도전해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밤동님 대단하시다. 그새 NAMI를 다녀 오다니... / 둘러봐야 할 데가 또 한 군데 더 있어요. NIMH(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 미국정신건강연구원)에도 좋은 자료들이 엄청 많을 거예요. / 지금부터 시작해서 한 군데씩 털어볼까요? 개미떼처럼 우~~ 달려들면 몇 달이면 싹 털텐데... 아직은 개미 숫자가 많지 않아서... 아무튼 밤동님 의견처럼 <집대성한 홈페이지> 필요하지요. / 밤동님이 도전해 본다면... 대박이죠.
NAMI와 비슷한 프레임을 갖추기 위해선 검증된 자료를 얻어야 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전문가에 의한 감수받은 자료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그래야 타 전문가들이 함부로 할 수 없으니... 일단 이거 초벌 끝내놓고 이번에는 NAMI 페이지 특히 조현병 부분 번역해볼까 생각해봅니다
전문가 감수... 맞는 얘기예요. 그리고 NAMI 페이지 번역 꼭 필요하지요.
방동님의 능력이 부럽네요. 그래도 무리하지 말고 즐거운 일이 됐으면 하는 바램이 ...
그냥 집 주변 컴퓨터 학원 다니는 학생인데요.. ㅠㅡ 제가 무슨 능력이 있겠어요 -0-;;
기억이 날지 모르겠네요.. 지난번 모임에서 "밤동님처럼 경영학과에 다니는 딸이 있다."라고 말한적이 있는데요..열정도 대단하시네요...
어르신한테 술한잔 따라드렸어야 했던 건데..
따님 ㄱㄱ대학교 경영학과 다니신다고 말씀해주셨잖아요 ㅎㅎㅎ
따님이 저보다 월등하실껄요 ㅎㅎㅎ ㅠ.ㅠ
밤동님 수고스럽겠지만, 본인이 번역한 이 번역물을 한 두번쯤 본인이 자체 교정봐 주시기를 부탁드릴게요. 자체 교정 봤다고 댓글 달아주시면... 그 다음에 제가 교정보도록 할게요. (그냥 교정보려니까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고 제가 너무 힘들어서요... 조금 더 깔끔하게 다듬어 주시면 제가 교정보기가 훨씬 수월할 듯해서예요.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