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장
大道廢有仁義, 知慧出有大僞. 六親不和有孝慈, 國家昏亂有忠臣.
(세상에 무위의 수준과 정도가 높고) 큰 도道가 사그라들게 되자, (사람들은 유위한) 인仁·의義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고, (일부러 일삼은) 지혜가 생겨나게 되자, 큰 거짓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육친이 (본래 저절로 그러한 도리와 더불어) 어우러지지 못하게 되자,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부른) 효성과 자애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고, 나라가 어두워지고 어지러워지게 되자,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부른) 충신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統而言之, 則曰道. 分而言之, 則曰仁義. 無二致也.
(사람에게 있어서, 인仁과 의義) 그것을 아울러 말하면, 도(道; 自然·性·德·無爲·命)이다. (도道) 그것을 나누어 말하면, 인仁과 의義이다. (사람에게 있어서, 도道와 인仁·의義) 두 가지는 (서로 다른 것을 뜻하는 바에) 이르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이다. 〔홍석주에 따르면, 사람에게 있어서, 도道와 인仁·의義는 본래 저절로 그러한 성性·명命으로서, 본질적으로 분별되지 않는다〕
老子, 病世之, 沽惠以爲仁, 矜俠以爲義也. 故並與聖人之言仁義也.
노자는 (당시의) 세상이 (일부러 일삼아 불쌍히 여긴 채, 가난한 사람에게) 물건을 파는 은혜로움을 인仁으로 삼고, (일부러 일삼아) 불쌍히 여긴 채, (곤란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의협심을 의義로 삼는 바를 꾸짖었다. 따라서 (노자가 꾸짖은 당시의 인仁·의義가 아니라, 노자가 일컬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성性·명命으로서의 인仁·의義는 우리 유학儒學·性理學의) 성인이 일컬은 인仁의義와 (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지는 바이다. 〔홍석주가 사용한 고沽와 긍矜은 일부러 일삼은 동정同情의 의미를 내포한다〕
而抑之. 其, 意, 則有激云爾. 其言, 則不可以訓矣.
이른바, (노자는 당시의 인仁·의義) 그것을 물리쳤다. (따라서 “대도폐유인의大道廢有仁義”의 인仁·의義) 이것은 (비유컨대 노자의 마음이) 물결이 부딪혀 흐르는 바를 가는 바가 있는 말(云; 유위有爲한 인仁·의義)일 따름이다. (따라서) 그 말(言; 유위有爲한 인仁·위義)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성性·명命을) 뜻하는 바(訓; 무위無爲한 인仁·의義)가 될 수 없다.
知慧, 所以防, 僞也. 知慧出, 而僞, 益滋. 莊子曰, 爲, 之, 符璽斗斛權衡, 則並與符璽斗斛權衡, 而竊之. 盖此, 意也.
(본래 저절로 그러한) 지혜가 막히게 되면, (일부러 일삼아) 속이게 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은) 지혜가 생겨나게 되면, (일부러 일삼아) 속이는 바가 더해지고 더해지게 된다. (따라서 큰 거짓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된다. 따라서) 『장자莊子』는 (「거협胠篋」에세) 일컬었다. “(성인이 천하를 다스리는 바를 거듭하게 되면, 도척盜跖과 같은 도적을 이롭게 하는 바를 거듭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성인은) 백성이 (자신이 정한) 말斗과 섬斛으로써, 곡식의 양量을 재는 바를 일삼는다. (백성이 곡식을 재는 바가 자신이 정한) 말斗이나 섬斛과 (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지게 한다. (그러나) 따라서 (백성이 본래 저절로 그러한 곡식의 양量을 일부러 일삼아) 속이게 된다. (성인은) 백성이 (자신이 정한) 저울추와 저울대로써, 물건의 무게를 재는 바를 일삼는다. (백성이 물건의 무게를 재는 바가 자신이 정한) 저울추나 저울대와 (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지게 한다. (그러나) 따라서 (백성이 본래 저절로 그러한 물건의 무게를 일부러 일삼아) 속이게 된다. (성인은) 백성이 (자신이 정한) 문서와 도장으로써, 신의를 증명하는 바를 일삼는다. (백성이 신의를 증명하는 바가 자신이 정한) 문서나 도장과 (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지게 한다. (그러나) 따라서 (백성이 본래 저절로 그러한 신의를 일부러 일삼아) 속이게 된다. (성인은 백성이 자신이 정한 인仁과 의義로써, 마음과 몸을 바로잡는 바를 일삼는다. 백성이 마음과 몸을 바로잡는 바가 자신이 정한 인仁이나 의義와 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지게 한다. 그러나 따라서 백성이 본래 저절로 그러한 인仁과 의義를 일부러 일삼아 속이게 된다)” 이것이 (“지혜출유대위知慧出有大僞”의) 뜻이다. 〔『장자莊子』가 「거협胠篋」에서 일컬은 “성인”은 세상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성인이라 이름 지어 부르는 사람으로서, 유위有爲를 일삼는 사람일 뿐이다〕
六親, 父子兄弟夫婦也. 天下之爲父者, 無不慈, 天下之爲子者, 無不孝, 則無孝慈之名. 君, 明於上, 民, 順於下, 則無忠臣之名. 黃帝堯湯, 非不能盡倫也. 而舜, 獨有孝之名. 皐卨夷龍, 非不能事君也. 而關龍逄, 獨以忠稱.
육친六親은 부모와 자식, 형과 아우, 지아비와 지어미 (사이의 본래 저절로 그러한 도리)를 말한다. (이른바) 천하의 부모가 된 사람이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자애롭지 못한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되고, 천하의 아들이 된 사람이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효성스럽지 못한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되면, (천하가) 효성스러운 자식과 자애로운 부모라는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임금이 위에서 (본래 저절로 그러한 육친의 도리를) 밝히고, 백성이 아래에서 (본래 저절로 그러한 육친의 도리를) 따르게 되면, (천하가) 충성스러운 신하라는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이른바, 천하의 임금이 된 사람이 본래 저절로 그러한 육친의 도리를 밝게 비추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기 때문에) 황제黃帝, 요堯 임금, 탕湯 임금이 (본래 저절로 그러한 육친의) 도리를 끝점까지 다하기를 잘한 임금이 되지 않을 수 없었다. (천하의 자식된 사람이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효성스러운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기 때문에) 순舜 임금이 홀로 효자라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천하의 신하된 사람이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충성스러운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기 때문에, 순舜 임금 때의) 고요皐陶와 설卨, (은殷나라의) 백이伯夷, (순舜 임금 때의) 용龍이 임금을 섬기기를 잘한 신하가 되지 않을 수 없었다. (하夏나라의) 관용봉關龍逄이 오로지 충성스러운 신하라고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리지 않을 수 없었다.
故有孝子忠臣之名者, 國家之不幸也. 老子, 生於衰季嫉. 夫人之, 尙賢而標名也. 故其, 言如此, 然不能禁六親之不和, 國家之昏亂, 而先惡, 夫孝子忠臣之名. 其, 獘也. 又將不知所底止.
따라서 효자와 충신이라는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는 것은 나라의 불행이다. (이른바) 노자는 (도道가) 사그라들고, 끝점을 다한 채, 미움을 받던 세상에서 살았다. 이른바, (당시의) 세상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아) 뛰어난 바를 높이고,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을 받들었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이와같이. “오호, (세상은) 멈추기를 잘하지 못한다. 육친이 (본래 저절로 그러한 도리와 더불어) 어우러지지 못하는 바를. (따라서) 나라가 어두워지고 어지러워지는 바를. 따라서 (육친이) 미워하기를 앞세우는 바를. (따라서) 효자와 충신이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리는 바를. (세상은 도道) 그것이 (이미) 어그러졌다. 장차 언제 (그것을) 멈추(기를 잘하)게 될지 (나는) 알지 못하겠다.” 〔“오호” 이하는 홍석주의 추측인 듯하다〕
唯所謂知慧出有大僞者, 則格言也. 夫億兆之奸欺, 非一人之所能盡防也. 故聖人之, 居人上也, 推至誠, 而任之, 廓大公, 而御之. 天下, 歸德, 而奸, 自無所容.
이른바, “지혜출유대위(知慧出有大僞; 일부러 일삼은 지혜가 생겨나게 되자, 큰 거짓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사리에 맞고 교훈이 될만한 말이다. 세상 사람들이 속이는 바는 한 사람이 막는 바의 끝점을 다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따라서 성인은 세상 사람들의 위에 머문 채, (본래 저절로 그러한 지혜로) 옮아가게 하고, (그것에) 이르게 하며, (그것을) 참되게 함으로써, 그것을 말미암게 한다. (본래 저절로 그러한 지혜를) 넓히게 하고, (그것을) 키우게 하며, (그것과) 더불어 하게 함으로써, (일부러 일삼은 지혜) 그것을 다스리게 한다. (따라서) 천하가 덕스러움(德; 無爲·命·自然·道·性)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속이는 바가 저절로 그러하게 (천하에게) 품어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彼, 欲以私知小慧, 沾沾以爲察者, 固足以滋僞而已矣.
저 (본래 저절로 그러한) 지혜를 자기 멋대로 일삼고, (본래 저절로 그러한) 지혜를 (일부러 일삼아) 작아지게 하는 바를 일삼고자 하는 사람, (저 일부러 일삼은 지혜를) 더하는 바로써, 살피는 바를 일삼는 사람은 반드시 (본래 저절로 그러한 지혜를) 속이는 바를 더하는 바를 충족하는 사람일 따름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