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 SYNCHRONIC LINKS TO THE CHRONOLOGY OF EGYPT
C. 이집트 연대기와의 동시대적 연결
An excellent proof of the correctness of a chronology is when it is in agreement with the chronologies of other contemporary nations, provided that these other chronologies are independently established and there are synchronisms, that is, dated connecting links that serve to join the two or more chronologies together at one or more points. 연대기 정확성의 탁월한 증거는 다른 연대기들이 독립적으로 확립되어 있으면서, 하나 이상의 시점에서 서로 관련된 고리들이 있다는 전제 하에, 국가들끼리 연대가 시대적으로 일치할 때이다. The reason why it is important that they be independently established is to rule out any attempt to discredit their worth by claiming that the chronology of a certain period in one nation has been established simply by the aid of the chronology of the contemporary period in another nation. 이 연대기들이 독자적으로 설립되어 있어야 하는 중요한 이유는 한 국가의 특정 기간의 연대기가 다른 나라의 연대기에 단순히 종속적으로 의존되어 설정되었다고 주장함으로써 그 정확성의 정도를 떨어뜨리려는 시도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기 위해서이다. During the Neo-Babylonian period there are at least four such synchronisms between Egypt and the kingdoms of Judah and Babylon. Three of these are given in the Bible, in 2 Kings 23:29 (where Egyptian pharaoh Necho and Judean king Josiah appear), Jeremiah 46:2 (Necho, Nebuchadnezzar and Jehoiakim all appearing), and Jeremiah 44:30 (pharaoh Hophra, kings Zedekiah and Nebuchadnezzar listed). 신 바빌로니아 시대에는 이집트와 유다와 바빌로니아 왕국 사이에 그러한 연대 배열이 적어도 4개가 있다. 이 중 세 가지는 성경에 나와 있다. 왕하 23: 29(이집트의 바로 느고와 유대 왕 요시아가 등장), 렘 46: 2(느고, 느부갓네살 그리고 여호야김이 모두 등장), 렘 44: 30(이집트의 바로 호브라, 시드기아 왕 그리고 느부갓네살이 나열됨)이다. The fourth is given in a cuneiform text, B.M. 33041, which refers to a campaign against Amasis, king of Egypt, in Nebuchadnezzar’s thirty-seventh regnal year.100 The meaning of these synchronisms will be unravelled further on. 네 번째는 설형문자 점토판, B.M. 33041로, 느부갓네살 37년에 이집트의 왕 아마시스를 대항하는 한 캠페인을 언급한다.100 이 연대 배열의 의미는 앞으로 계속 더 확실히 밝혀질 것이다. |
C-1: The chronology of the Saite period
C-1: 사이스(이집트 나일강 북부의 도시) 시대의 연대기
The kings reigning in Egypt during the Neo-Babylonian period belonged to the Twenty-Sixth Dynasty (664–525 B.C.E.). The period of this dynasty is also referred to as the Saite period, as the pharaohs of this dynasty took the city of Sais in the Delta as their capital. 신바빌로니아 시대 동안 이집트에서 통치한 왕들은 26대 왕조(기원전 664-525)에 속했다. 이 왕조의 시기는 또한 사이스 시대라고도 불리는데, 이 왕조의 파라오가 델타 지방의 사이스를 그들의 수도로 삼았기 때문이다. If the four synchronisms mentioned above are to be of any definitive help to our study, it first needs to be shown that the chronology of that twenty-sixth dynasty of Egypt is fixed independently from the contemporary Neo-Babylonian chronology, and can thus stand on its own, as it were. 위에서 언급한 4개의 연대배열이 우리의 연구에 결정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이집트 26대 왕조의 연대기가 동시대의 신 바빌로니아 연대기와는 별도로 설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자체로 연대 배열이 다른 나라의 연대기와 일치한다는 것을 먼저 보여줄 필요가 있다. This can be determined in a quite unusual way, of which Dr. F. K. Kienitz writes: 이는 매우 이례적인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F. K. 카이니츠 박사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The chronology of the kings of the 26th dynasty, from Psammetichus I onwards, is completely established through a series of death stelae and stelae of holy Apis bulls, which list the birth date in ‘Day x, Month y, Year z, of King A’ and the death date in ‘Day x, Month y, Year z, of King B’ , and also the length of life of the [bull or person] in question in years, months, and days?101 프사메티쿠스 1세 이후인 26대 왕조의 왕들의 연대기는 일련의 성스러운 아피스 황소들의 사망 묘비와 비석을 통해 어떤 [소나 사람]의 생년월일을 'A왕, x년 y월 z일로, 또 그의 사망일을 'B왕의, x년 y월 z일로 세밀하게 기록하였다. 따라서 이로부터 또한 [사람 또는 소]의 수명의 길이를 년월일로 계산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101 This means that, if a death stele says that a sacred Apis bull or a person was born in the tenth year of King A and died at the age of twenty-five in the twentieth year of King B, we know that King A ruled for fifteen years. 즉, 성스러운 아피스 황소나 사람이 A왕 10년에 태어나서 B왕 20년에 25세에 죽었다는 묘비라면 A왕이 15년 동안 통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역자 보충 설명)) 이 소의 수명이 25년인데 B왕 20년까지 살았으므로 A왕의 통치기간에는 산 기간은 5년이다. 그런데 A왕 10년에 출생했으므로 5년을 더하면 15년만큼 A왕이 통치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앞으로 나올 이집트 26대 왕조의 왕들의 통치기간을 이런 방식으로 구할 수 있다. 각 왕의 통치기간을 수명, 출생, 사망 시기를 근거로 독자들이 구해보기 바란다. |
Grave stele of the 1st Apis of the 26th dynasty The inscription shows that the first Apis of the 26th dynasty was born in the 26th year of Taharqah and died in the 20th year of Psammetichus I at an age of 21 years, which shows that Taharqah ruled for 26 years. This is also confirmed by other inscriptions. — From Aug. Mariette, Le Sérapeum de Memphis (Paris: Gide, Libraire-Éditeur, 1857) 제26왕조 제1아피스 묘비 제26왕조 최초의 아피스(Memphis에서 숭배된 성우(聖牛)는 타하르카 26년에 태어나 프삼메티쿠스 1세 20년에 2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는 기록에서 타하르카가 26년간 통치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다른 비문에서도 확인된다. — 8월, 마리엣, 르 세라핌 드 멤피스로부터 (파리: 기드, 리브라에르-에디퇴르, 1857년,) |
This is the kind of contemporary evidence to which Dr. Kienitz refers. A translation of Kienitz’ survey of this material is given here.102 이것은 키에니츠 박사가 언급한 당대의 증거이다. 이 자료에 대한 키에니츠의 연구조사의 번역이 여기에 제시되어 있다.102 1. GRAVE STELE OF THE 3RD APIS OF THE 26TH DYNASTY 1. 제26왕조 제3아피스 묘비 Date of Birth: Year 53 of Psammetichus I, Month 6, Day 19 생년월일: 프사메티쿠스 I세 53년 6월 19일 Installation: Year 54 of Psammetichus I, Month 3, Day 12 설치: 프사메티쿠스 1세 54년, 3월, 12일 Date of Death: Year 16 of Necho II, Month 2, Day 6 사망일: 네초(= 성서에 언급되는 애굽의 바로, 느고) 2세 16년, 2월, 6일 Date of Burial: Year 16 of Necho II, Month 4, Day 16 매장 날짜: 네초 2년, 4월, 16일 Length of Life: 16 years, 7 months, 17 days 수명: 16년 7월 17일 Result: Length of reign of Psammetichus = 54 years. 결과: Psammetichus의 통치 기간 = 54년 2. GRAVE STELE OF THE 4TH APIS OF THE 26TH DYNASTY 2. 제26왕조 제4아피스 묘비 Date of Birth: Year 16 of Necho II, Month 2, Day 7 생년월일: 네초 2년, 2월, 7일 Installation: Year 1 of Psammetichus II, Month 11, Day 9 설치: 프사메티쿠스 2세 1년, 11월 9일 Date of Death: Year 12 of Apries, Month 8, Day 12 사망 날짜: 아프리즈12년, 8월, 12일 Date of Burial: Year 12 of Apries, Month 10, Day 21 매장 날짜: 아프리즈 12년, 10월, 21일 Length of Life: 17 years, 6 months, 5 days 수명: 17년 6개월 5일 Result: As the date of Psammetichus II’s death is elsewhere attested as Year 7, Month 1, Day 23,103 the length of Necho’s reign amounts to 15 years, that of Psammetichus II to 6 years. 결과: 프사메티쿠스 2세의 사망일은 다른 곳에서 7년, 1월 23일로 증명되었으므로,103 네초의 통치 기간은 15년에 달하고, 프사메티쿠스 2세의 통치 기간은 6년에 달한다. 3. TWO GRAVE STELAE OF A PRIEST NAMED PSAMMETICHUS 3. 프사메티쿠스라 이름하는 사제의 묘비 두 개 Date of Birth: Year 1 of Necho II, Month 11, Day 1 생년월일: 네초 2년차 11월 1일 Date of Death: Year 27 of Amasis, Month 8, Day 28 사망 날짜: 아마시스의 27년, 8월, 28일 Length of Life: 65 years, 10 months, 2 days 수명: 65세 10개월 2일 Result: The sum of the lengths of reign of Necho II, Psammetichus II, and Apries = 40 years. As Necho II reigned for 15 years, and Psammetichus II for 6 years, Apries’ reign amounts to 19 years. 결과: 네초 2세, 프사메티쿠스 2세, 그리고 에피스의 통치 기간의 합계는 = 40년이다. 네초 2세는 15년, 프사메티쿠스 2세는 6년 동안 통치하면서 아프리스의 통치는 19년에 이른다. 4. GRAVE STELE OF ANOTHER PSAMMETICHUS 4. 또 다른 프사메티쿠스 사제의 묘비 Date of Birth: Year 3 of Necho II, Month 10, Day 1 or 2 생년월일: 네초 2년, 10개월, 1일차 또는 2일차 Date of Death: Year 35 of Amasis, Month 2, Day 6 사망일: 아마시스의 35년, 2개월, 6일 Length of Life: 71 years, 4 months, 6 days 수명: 71세 4개월 6일 Result: The same as under 3. 결과: 3의 경우와 동일하다. 5. GRAVE STELE OF ONE BESMAUT 5. 한 베스마우트의 묘비 Year of Birth: Year 18 of Psammetichus I 생년월일: 프사메티쿠스 1세 18년 Year of Death: Year 23 of Amasis 사망연도: 아마시스의 23년 Length of Life: 99 years 수명: 99년 Result: The total of 94 years for the lengths of reign from Psammetichus I to Apries inclusive is once more confirmed. 결과: 프사메티쿠스 I세부터 아프리즈까지 통치기간이 총 94년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
Consequently, these contemporary death stelae conclusively establish the lengths of reign of the first four kings of the twentysixth dynasty of Egypt as follows: 결과적으로, 이 당대의 사망 묘비는 이집트 제26대 왕조의 초대 4대 왕의 통치 기간을 다음과 같이 확정적으로 설정된다. Psammetichus I 54 years Necho II 15 years Psammetichus II 6 years Apries (= Hophra) 19 years 프사메티쿠스 1세, 54년 네초 2세, 15년 프사메티쿠스 2세, 6년 아프리즈 (=성서의 호브라) 19년 For the last two kings of the twenty-sixth dynasty, Amasis and Psammetichus III, material of this kind unfortunately is lacking. However, both Greek historian Herodotus (c. 484–425 BCE.) and the Graeco-Egyptian priest and historian Manetho (active c. 300 B.C.E.) give forty-four years to Amasis and six months to Psammetichus III.104 And these lengths of reign have been confirmed by modem discoveries, as follows: 26대 왕조의 마지막 두 왕인 아마시스와 프사메티쿠스 3세에 대해서는 불행하게도 이런 종류의 자료가 부족하다. 그러나,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 (기원전 484–425년)와 그리스-이집트 사제이자 역사가 마네토 (기원전 300년)는 모두 아마시스에 44년을, 프사메티코스 3세에 6개월을 부여하였으며,104 이러한 통치 기간은 현대의 발견으로 인해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In the papyrus Rylands IX (also called “Petition of Petiese”) dating from the time of Darius I (521–486 B.C.E.), the forty-fourth year of Amasis is mentioned in a context indicating it was his last full year. Each year, a prophet of Amun of Teuzoi (Psammetkmenempe by name) who lived in the Nile Delta, used to send a representative to fetch his stipend. This he did until the fortyfourth year of Amasis. This, in itself, is not decisive. But in the “Demotic Chronicle,” a report on the compilation of Egyptian laws written under Darius I, there are also two mentions of the forty-fourth year of Amasis as some sort of terminal point. Finally, the same figure is given in an inscription from Wâdi Hammâmât.105 The figure given by Herodotus and Manetho, therefore, is strongly supported by this combination of inscriptions. 다리우스 1세 (기원전 521-486 B.C.)의 파피루스 9호 (또는 "페티즈의 청원"이라고도 불림)에서, 문맥상으로 아마시스의 44년이 그의 마지막 해였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언급된다. 매년, 나일강 삼각주에 사는 테우조이의 아문 예언자가 그의 녹봉을 가져오기 위해 대표를 보내곤 했다. 그는 아마시스의 44년까지 이 일을 했다. 이것은 그 자체로는 결정적이지 않다. 그러나 다리우스 1세 때 작성된 이집트 법률 편찬 보고서인 "일반인의 연대기"에는 아마시스의 44년을 일종의 종착점으로 보는 두 가지 언급이 있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인물이 와디 하마트의 비문에 나와 있다.105 따라서 헤로도토스와 마네토가 부여한 수치는 이러한 비문의 조합에 의해 강력하게 뒷받침되고 있다. As to Psammetichus III, the highest date available for this king is Year Two. Three documents (papyri) dated to the third, fourth, and fifth months of his second year have been discovered. And yet, this is no contradiction to the statement made earlier that the rule of this king actually covered only six months. How so? 프사메티쿠스 3세의 경우, 이 왕에게 사용된 가장 최고의 시기는 2년이다. 그에게 적용된 2년 3개월, 4개월, 5개월이 기록된 (파피루스)문서 세개가 발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이 왕의 통치가 단지 6개월을 망라했다는 앞서의 내용과 모순되지 않는다. 어떻게 그러한가? The Egyptians used a nonaccession year system. According to this system the year in which a king came to power was reckoned as his first regnal year. Psammetichus III was dethroned by the Persian king Cambyses during his conquest of Egypt, generally dated to 525 B.C.E. by the authorities.106 At this time the Egyptian civil calendar year almost coincided with the Julian calendar year.107 If the conquest of Egypt occurred in the sixth month of the reign of Psammetichus III, this must have been in May or June, 525 B.C.E.108 With this prerequisite, his six months of rule began at the end of the previous year, 526 B.C.E., quite possibly only a few days or weeks before the end of that year. Though he ruled for only a fraction of that year, this fraction of a few days or weeks was reckoned as his first regnal year according to the Egyptian nonaccession year system. Thereby his second regnal year began to count only a few days or weeks after his accession to the throne. Thus, although he ruled for only six months, documents dated up to the fifth month of his second year are, in view of the supporting evidence, only what we should expect to find. The following illustration makes the matter plain: 이집트인들은 신 바빌로니아와 같은 즉위년 제도를 사용하지 않았다. 이 제도에 따르면 왕이 집권한 해는 그의 첫 통치해로 간주되었다. 프사메티쿠스 3세는 이집트를 정복하는 동안 페르시아 왕 캄비세스에 의해 왕좌에서 물러났으며, 권위 있는 역사가들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기원전 52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06 이때는 이집트 시민력이 율리우스력과 거의 일치했다.107 이집트 정복이 프사메티쿠스 3세의 6번째 달에 일어났다면, 이것은 기원전 525년 5월이나 6월이었을 것이다. 이 조건을 전제하여, 그의 통치는 그 해가 끝나기 불과 며칠 전이나 몇 주 전인 기원전 526년 말에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비록 그는 그 해의 극히 일부만을 통치했지만, 며칠 또는 몇 주 중 이 부분은 이집트의 연도 제도에 따라 그의 첫 통치해로 간주되었다. 그래서 그의 즉위 2년은 왕위에 오른 지 불과 며칠 또는 몇 주 후에 시작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그가 통치한 지 6개월 밖에 되지 않았지만, 근거가 되는 증거들의 관점에서, 우리가 찾기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그의 2년 5개월째 되는 달까지의 서류들뿐이었다. 다음 그림은 이 문제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
As demonstrated by the discussion above, the chronology of the Twenty-Sixth Dynasty of Egypt is soundly and independently establish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able: 위의 논의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이집트 26대 왕조의 연대기는 견실하고 독립적으로 확립되어 있다. 결과는 다음 표에 요약되어 있다. | |||||||||||
CHRONOLOGY OF THE TWENTY-SIXTH DYNASTY: 이집트 26대 왕조의 연대기 | |||||||||||
Psammetichus I 프사메티쿠스 1세 | 54 years (54년) | 664 – 610 B.C.E. | |||||||||
Necho II 느고 2세 | 15 years(15년) | 610 – 595 B.C.E. | |||||||||
Psammetichus II 프사메티쿠스 2세 | 6 years(6년) | 595 - 589 B.C.E. | |||||||||
Apries (= Hophra) 아프리즈(=호브라) | 19 years(19년) | 589 – 570 B.C.E. | |||||||||
Amasis 아마시스 | 44 years(44년) | 570 – 526 B.C.E. | |||||||||
Psammetichus III 프사메티쿠스 3세 | 1 years(1년) | 526 – 525 B.C.E. |
C-2: Synchronisms to the chronology of the Saite period
C-2: 사이스 시대의 연대기에 따르는 연대 배열
Does the chronology of the Egyptian Saite period square with that of the Neo-Babylonian era as established above? Or, instead, does it harmonize with the chronology of the Watch Tower Society as presented, for example, in its Bible dictionary Insight on the Scriptures, Vol. 1, pages 462–466? 이집트 사이스 시대의 연대기는 위에서 확립된 신 바빌로니아 시대의 연대기와 조화되는가? 아니면, 그것은 워치타워 협회의 성경 사전인 <성경 통찰> 1권, 462–466면에 제시된 연대기와 조화를 이루는가? The four synchronisms to the Egyptian chronology mentioned earlier (the first three of these coming from the Scriptures) decide the matter: 앞서 언급한 이집트 연대기와 일치하는 네 가지(이 중 처음 세 가지는 성서에서 나온 것들임)가 이점을 결정한다: First synchronism—2 Kings 23:29: In his [king Josiah’s] days Pharaoh Nechoh the king of Egypt came up to the king of Assyria by the river Euphrates, and King Josiah proceeded to go to meet him; but he put him to death at Megiddo as soon as he saw him. (NW) 첫 연대 배열의 일치—왕하 23:29 요시야 왕 시대에 이집트의 왕 바로 느고가 유브라데 강가에 있는 앗시리아 왕에게 왔고, 요시야 왕은 그를 만나려고 갔지만, 이집트 왕은 요시야를 만나자 므깃도에서 그를 죽였다. Here it is clearly shown that Judean king Josiah died at Megiddo in the reign of Pharaoh Necho of Egypt. According to the chronology of the Watch Tower Society, Josiah’s death took place in 629 B.C.E. (See Insight on the Scriptures, Vol. 2, pp. 118, 483.) But according to clear historical evidence, Necho’s reign did not begin until nineteen years later, in 610 B.C.E. (see table above).109 So Josiah’s death did not take place in 629 B.C.E. but twenty years later, in 609. 110 여기에서 유다 왕 요시야가 이집트의 바로 느고의 통치 기간에 므깃도에서 죽었다는 점은 명백한 역사이다. 워치타워 협회의 연대기에 따르면, 요시아의 죽음은 기원전 629년에 있었다. 하지만 분명한 역사적 증거에 따르면, 네초(느고)의 통치는 19년이 지난 기원전 610년에야 시작되었다.그래서 요시아의 죽음은 기원전 629년에 일어난 것이 아니라 20년 후인 609년에 일어났다.110 Second synchronism—Jeremiah 46:2: For Egypt, concerning the military force of Pharaoh Necho the king of Egypt, who happened to be by the river Euphrates at Carchemish, whom Nebuchadrezzar the king of Babylon defeated in the fourth year of Jehoiakim the son of Josiah, the king of Judah. (NW) 두 번째 연대배열의 일치—예레미야 46: 2 : 이집트 왕 바로 느고의 군사력에 관해서는, 바빌로니아의 느부갓레살 왕이 유다 왕 요시야의 아들 여호야김 사년에 무찌른 갈그미스에서 우연히 유브라데 강가에 있었던 바로 느고의 군사력에 관한 것이다. (개정) This battle in the “fourth year of Jehoiakim” is placed in the year 625 B.C.E. by the Watch Tower Society (Insight on the Scriptures, Vol. 2, p. 483.), which again cannot be harmonized with the contemporary chronology of Egypt. But if this battle at Carchemish took place twenty years later, in the accession-year of Nebuchadnezzar, that is, in June, 605 B.C.E. according to all the lines of evidence presented earlier, we find this date to be in perfect harmony with the recognized reign of Pharaoh Necho, 610–595 B.C.E. 워치타워 협회는 (<통찰> 2권 483면)에서 여호야김 4년 전투는 기원전 625년에 있었던 것으로 기술하나 이 연대는 여전히 이집트 연대와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그러나 갈그미스에서의 전투가 20년 후인 기원전 605년 6월에 일어났다면, 앞에서 제시한 모든 증거에 따라, 우리는 이 시기가 기원전 610-595년 바로 느고의 공인 통치 기간과 완벽하게 일치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Third synchronism—Jeremiah 44:30 : This is what Jehovah has said: ‘Here I am giving Pharaoh Hophra, the king of Egypt, into the hand of his enemies and into the hand of those seeking for his soul, just as I have given Zedekiah the king of Judah into the hand of Nebuchadrezzar the king of Babylon, his enemy and the one seeking for his soul.’ (NW) 세 번째 연대배열의 일치—예레미야 44:30: 여기서 여호와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보라 내가 유다의 시드기야 왕을 그의 원수 곧 그의 생명을 찾는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의 손에 넘긴 것 같이 애굽의 바로 호브라 왕을 그의 원수들 곧 그의 생명을 찾는 자들의 손에 넘겨 주리라" (개정) As the context shows (verses 1 ff.) these words were uttered not long after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and its temple, when the rest of the Jewish population had fled to Egypt after the assassination of Gedaliah. At that time Egypt was ruled by Pharaoh Hophra, or Apries, as he is named by Herodotus.111 문맥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이러한 말들은 예루살렘과 그 성전이 파괴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나머지 유대인들이 그달리아 암살 이후 이집트로 도망친 때에 나온 말이다. 당시 이집트는 헤로도토스에 의해 이름이 아프리즈로 칭해지는 바로(파라오) 호브라에 의해 통치되었다.111 If Apries ruled Egypt at the time when the Jews fled there some months after the desolation of Jerusalem, this desolation cannot be dated to 607 B.C.E., for Apries did not begin his reign until 589 B.C.E. (see table above). But a dating of the desolation of Jerusalem to 587 B.C.E.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years of reign historically established for him: 589–570 B.C.E. 만약 아프리즈가 예루살렘이 황폐해진 몇 달 후 유대인들이에 이집트로 도망갔을 때 이집트를 통치했다면, 이 예루살렘의 황폐는 기원전 607년에 일어난 일이 될 수 없다. 왜냐하면 아프리즈가 기원전 589년까지는 그의 통치를 시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루살렘이 기원전 587년에 황폐해진 역사적 사실은 기원전 589-570년의 그의 통치와 연대 배열이 잘 일치한다. Fourth synchronism—B.M. 33041: As mentioned earlier, this text refers to a campaign against king Amasis ([Ama]-a-su) in Nebuchadnezzar’s thirty-seventh year. A. L. Oppenheim’s translation of this scanty fragment reads as follows: “. . . [in] the 37th year,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mar[ched against] Egypt (Misir) to deliver a battle. [Ama]sis (text: [ . . . ]-a(?)-su), of Egypt, [called up his a]rm[y] . . . [ . . . ]ku from the town Putu-laman . . . distant regions which (are situated on islands) amidst the sea . . . many . . . which/who (are) in Egypt . . . [car]rying weapons, horses and [chariot]s . . . he called up to assist him and . . . did [ . . . ] in front of him . . . he put his trust . . .. “112 네 번째 연대배열의 일치—B.M. 33041: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문서는 느부갓네살 30년 경에 아마시스 왕([아마]-아-수)에 대항하는 캠페인을 언급하고 있다. 이 손상된 파편에 대해 A. L. 오펜하임은 다음과 같이 번역하였다: "... 37년[에], 바빌[론]의 왕 느부갓네살은 이집트 (미시르)를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Ama는 이집트의 [...]-a(?)-ku로, 바다 한가운데에 위치한 푸투라만... 먼 지방에서 ...을 불렀다. 많은...무기의 . .cari와...cari의 .corring. 그는 그의 신뢰를... "112 This text is badly damaged, but it does definitely state that the campaign into Egypt took place in Nebuchadnezzar’s “thirtyseventh year,” and while it is true that the name of the pharaoh is only partly legible, the cuneiform signs that are preserved seem only to fit Amasis, and no other pharaoh of the twenty-sixth dynasty. 이 글은 심하게 훼손되어 있지만, 이집트 침공이 느부갓네살 "30년"에 일어났다는 점은 분명히 밝히고 있으며 바로의 이름이 부분적으로만 읽을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보존된 설형문자는 아마시스가 맞는 것 같다, 왜냐하면 이집트 26대 왕조의 다른 바로에는 없는 것 같기 때문이다. The Watch Tower Society dates the thirty-seventh year of Nebuchadnezzar to 588 B.C.E. (Insight on the Scriptures, Vol. 1, p. 698), but this was during the reign of Apries (see the table). On the other hand, if Nebuchadnezzar’s thirty-seventh year was 568/67 BCE., as is established by all the lines of evidence presented earlier, this date is in excellent agreement with the reign of Amasis (570– 526 B.C.E.). 워치타워 협회는 느부갓네살 37년을 기원전 588년으로 소급해 놓았지만, 이 시점은 아프리스 통치 기간이었다. 반면, 느부갓네살의 37년이 기원전 568/67년이라 본다면, 앞서 제시된 모든 증거에 의해 이 날짜는 아마시스의 통치 기간(기원전 570–526년)과 거의 일치한다. Consequently, not one of the four synchronisms with the independently established chronology of Egypt agrees with the chronology developed by the Watch Tower Society. The discrepancy in that Society’s reckoning is consistently about twenty years out of harmony. 결과적으로, 독립적으로 정립된 이집트의 연대기와 시대가 같은 네 개의 사건 중 어느 하나도 워치타워 협회가 확립한 연대와 일치하는 것은 없다. 워치타워 협회의 연대계산의 불일치는 약 20년이라는 일관된 차이를 내고 있다. Interestingly, however, all four synchronisms are in perfect harmony with the dates arrived at from the other lines of evidences that have been discussed. These synchronisms to the Egyptian chronology, therefore, add yet another line of evidence to the others, which point consistently to 587 B.C.E. as the definitive date for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하지만 흥미롭게도, 네 가지의 연대 배열의 일치는 논의된 다른 증거들의 결과로부터 도출된 연대들과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다. 따라서, 이집트 연대 배열들은 증거에 또 하나의 새로운 증거를 추가해 주며, 이것은 예루살렘 멸망의 해가 일관되게 기원전 587/6년을 가리키고 있다는 점을 결정적으로 확증해준다. |
---------------------------------------------------------------------------------------------------
100 B.M. 33041 was first published by T. G. Pinches in Transactions of the Society of Biblical Archaeology, Vol. VII (London, 1882), pp. 210–225.
100 B.M. 33041은 T. G. 핀체스가 <성서 고고학 협회와의 거래> VII권(런던, 1882년), 210-225 면에서 처음으로 게시하였다.
101 Friedrich Karl Kienitz, Die politische Geschichte Ägyptens vom 7. bis zum 4. Jahrhundert vor der Zeitwende (Berlin: Akademie-Verlag, 1953), pp. 154, 155. (Translated from the German.) The Apis cult was practiced already in the First Dynasty of Egypt. At death the Apis bulls were mummified and buried in a coffin or (from the reign of Amasis onwards) in a sarcophagus made of granite. The burial place from the reign of Ramesses II onwards–a vast catacomb known as the “Serapeum” in Saqqara, the necropolis of Memphis–was excavated by A. Mariette in 1851. From the beginning of the Twenty-Sixth Dynasty and on the burials were marked by grave stelae with biographical data on the Apis bulls such as dates of installation and death and the age at death. — László Kákosy, “From the fertility to cosmic symbolism. Outlines of the history of the cult of Apis,” Acta Classica Universitatis Scientiarum Debrecenienses, Tomus XXVI 1990 (Debrecini, 1991), pp. 3–7.
101 Friedrich Karl Kienitz, Die politische Geschichte Ägyptens vom 7. bis zum 4. Jahrhundert vor der Zeitwende (베를린: Akademie-Verlag, 1953년), 154, 155면. (독일어에서 번역) 아피스 숭배는 이미 이집트 제1왕조에서 행해졌다. 아피스 황소가 죽으면 미이라로 만들어 관에 묻히거나 (아마시스 이후부터) 화강암으로 만든 석관에 묻혔다. 람세스 2세 이후부터 멤피스의 네크로폴리스인 사카라에서 "세라페움"으로 알려진 거대한 카타콤이 1851년에 A. 마리엣에 의해 발굴되었다. 제26 왕조 초기부터 매장지에는 아피스 황소에 대한 전기(傳記) 자료와 함께 설치 및 사망연대와 사망시 나이를 기록한 묘비가 새워져 있다. 라즐로 카코시, "다산(多産)성에서부터 우주적 상징성까지. 아피스의 숭배 역사의 개요," Acta Classica University Scientiarum Debrecenienses, Tomus XXVI 1990 (Debrecini, 1991년), 3-7면.
102 Kienitz, op. cit., pp. 155, 156. The grave stelae under no. 1, 2, and 3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by James Henry Breasted in Ancient Records of Egypt, Vol. IV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06), pp. 497, 498, 501–503, 518–520. For no. 4 and 5, see the references by Kienitz, op.cit., p. 156, notes 1 and 2.
102 키에니츠의 같은 저서 155, 156면. 1호, 2호, 3호에 새겨진 무덤비는 제임스 헨리 브레스티드(James Henry Breasted)가 <이집트 고대기록물> IV권에 번역 출간했다. (시카고: 시카고 대학 출판부, 1906년), 497, 498, 501–503, 518–520면. 4호와 5호는 키에니츠의 동 저서 156면, 각주 1과 2를 참조하라.
103 Lines 5/6 of the Ank-nes-nefer-ib-Re Stele. See G. Maspero, Ann. Serv. 5 (1904), pp. 85, 86, and the translation by J. H. Breasted, op. cit., IV, p. 505.
103 '앙크네스-네퍼-이브-레-스톤 비석'의 5/6행 G. 마스페로의 , (1904년), 85, 86면 및 J. H. 브레드스테드의 번역, IV권, 505면.
104 Manetho’s Egyptian History, which was written in Greek and probably was based on the temple archives, is preserved only in extracts by Flavius Josephus and Christian chronographers, especially by Julius Africanus in his Chronographia (c. 221 C.E.) and by Eusebius of Caesarea in his Chronicon (c. 303 C.E.). Africanus, who transmits Manetho’s data in a more accurate form, gives forty-four years to Amasis and six months to Psammetichus III. This agrees with Herodotus’s figures.—W. G. Waddell, Manetho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48), pp. xvi–xx, 169–174.
104 마네토의 이집트 역사는 그리스어로 쓰여지고 아마도 신전 기록 보관소에 바탕을 두었을 것이며, 플라비우스 요세퍼스와 기독교 연대기 기록자들, 특히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의 연대기 (221년경)와 에우세비우스의 연대기 (303년경)에만 보존되어 있다. 마네토의 데이터를 더 정확한 형태로 전달해주는 아프리카누스는 아마시스에게 44년, 프사메티쿠스 3세에 6개월의 통치기간을 제시한다. 이것은 헤로도토스의 수치와 일치한다.—W. G. Waddell, Manetho (런던: 하버드 대학 출판부, 1948), 169~174면.
105 W. Spiegelberg, Die Sogenannte Demotische Chronik (Leipzig: J. C. Hinrichs’sche Buchhandlung, 1914), p. 31; Kienitz, op. cit., p. 156; and Richard A. Parker, “The Length of Reign of Amasis and the Beginning of the Twenty-Sixth Dynasty,” Mitteilungen des Deutschen Archäologischen Instituts, Kairo Abteilung, XV, 1957, p. 210. For some time it was held that Amasis died in his forty-fourth regnal year, and because of the Egyptian nonaccession year system, whereby a king’s accession year was reckoned as his first regnal year, they gave Amasis only fortythree full years. But in 1957, in the article referred to above, R. A. Parker demonstrated conclusively that Amasis reigned for forty-four full years. This, of course, moved the reigns of the earlier kings of the Saite dynasty one year backwards.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therefore, was re-dated to 664 instead of 663 B.C.E., as had been held previously. (R. A. Parker, op. cit., 1957, pp. 208– 212.) Since 1957, Parker’s conclusions have obtained general acceptance among scholars.—For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nonaccession year reckoning, see Appendix For Chapter Two: “Methods of reckoning regnal years.”
105 W. Spiegelberg, Die Sogenannte Demotische Chronik (Leipzig: J. C. Hinrichs’sche Buchhandlung, 1914년), 31면; 키에니츠의, 앞서 인용한 책, 156면; 그리고 리처드 A. 파커, "아마시스의 통치 기간과 제26왕조의 시작", 미테일룽겐 데스 도이첸 고고학 연구소, 카이로 압테일룽, XV권, 210면. 한동안 아마시스가 그의 44번째 통치년에 죽었다고 여겨졌다. 그리고 왕의 즉위 연도를 첫 번째 왕년으로 간주하는 이집트의 비즉위 연도 제도 때문에, 그들은 아마시스에게 43년 만을 통치년으로 잡았다. 하지만 1957년, 위에서 언급한 기사에서, R. A. 파커는 아마시스가 44년 동안 통치했다는 것을 결론적으로 증명했다. 이것은 물론 초기 사이스 왕조의 통치 시기를 1년 전으로 이동시켰다. 따라서 왕조의 시작은 종전처럼 기원전 663년이 아닌 664년으로 재조정되었다. (R. A. 파커의, 앞서 인용한 책, 1957년), 208–22면. 1957년 이후, 파커의 결론은 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비즉위 연도 계산에 대한 추가 정보는 2장 부록 "연차 계산 방법"을 참조하라.
106 Kienitz, op. cit., p. 157, note 2. This date is also accepted by the Watch Tower Society, as can be seen from Insight on the Scriptures, Vol. 1 (1988), pp. 698, 699.
106 키니츠의 앞서 인용한 저서 157면, 주석 2. 이 연대는 워치타워 협회에서 <통찰> 1권(1988년), 698, 699면에서 볼 수 있듯이, 인정된다.
107 In the two years 526 and 525 B.C.E. the Egyptian civil calendar year began on January 2 in the Julian calendar.—Winfried Barta, “Zur Datierungspraxis in Ägypten unter Kambyses and Dareios I,” Zeitschrift für Ägyptische Sprache and Altertumskunde, Band 119:2 (Berlin: Akademie Verlag, 1992), p. 84.
107 기원전 526년과 기원전 525년의 이집트 민간력은 율리우스력 1월 2일에 시작되었다.—Winfried Barta, "Zur Datierungspraxis in Aegyptenunter Kambyses and Dareios I", Zeitschrift fürr Aegyptische Sprache and Altertumsunde, 밴드 119:2(베를린: 14) Academie Verlag, 1992년), 84면.
108 The exact time of the year for Cambyses’ capture of Egypt is not known. (Compare Molly Miller, “The earlier Persian dates in Herodotus,” in Klio, Band 37,1959, pp. 30, 31.)—In the nineteenth century E. Revillout, one of the founders of the scholarly journal Revue Égyptologique in the 1870’s, claimed that Psammetichus III ruled for at least two years, as one document dated to the fourth year of a king Psammetichus seemed to be written at the end of the Twenty-Sixth Dynasty. (Revue Égyptologique, Vol. 3, Paris, 1885, p. 191; and Vol. 7, 1896, p. 139.) But since then many new documents have been discovered that make Revillout’s theory untenable. The document evidently refers either to one of the earlier kings known by the name of Psammetichus, or to one of the later vassal kings by that name. There were three kings by the name Psammetichus during the Saite period, and also two or three vassal kings by that name in the fifth century, and sometimes it has been difficult to decide which of them is referred to in a text. Some documents that an earlier generation of Egyptologists dated to the reign of Psammetichus III have later had to be re-dated. Wolfgang Helck & Wolfhart Westendorf (eds.), Lexikon der Ägyptologie, Band IV (Wiesbaden, 1982), pp. 1172– 75.
108 캄비세스가 이집트를 점령한 정확한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다. (몰리 밀러, 클리오 밴드 37,1959년 30,31면의 "헤로도토스에서 페르시아의 가장 초기 시기"를 비교)—19세기에 1870년대 학술지 Revue Egyptologique의 창간자 중 한 명인 E. Revillout은 Psammetichus 3세가 26왕조 말기에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한 문서가 발견되었기 때문에 적어도 2년 동안 통치했다고 주장했다.39.) 그러나 그 이후로 Revillout의 이론을 옹호할 수 없는 많은 새로운 문서가 발견되었다. 이 문서는 분명히 프사메티쿠스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초기 왕들 중 한 명을 언급하고 있거나, 혹은 그 이름으로 후대의 신하 왕들 중 한 명을 언급하고 있다. 사이스 시대에는 프사메티쿠스라는 이름을 가진 왕이 세 명 있었고, 5세기에는 그 이름을 가진 봉건 영주가 두세 명 있었는데, 이 중 어느 사람을 기록에서 지칭하는지는 알 수 없었다. 프사메티쿠스 3세 시대 이집트 학자들의 초기 세대가 나중에 다시 작성해야 했던 문서들도 있다. 볼프강 헬크 & 울프하트 베스텐도르프 (eds), 렉시콘 데르 이집트학, 밴드 4 (위스바덴, 1982년), 1172–75면.
109 Helck & Westendorf, op. cit., Band IV, pp. 369–71. Necho succeeded to the throne at the death of his father Psammetichus I in the spring or summer of 610 B.C.E., but according to the Egyptian antedating method his first year was coun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Egyptian civil calendar year, which this year began on January 23 of the Julian calendar. —W. Barta, op. cit., p. 89.
109 Helck & Westendorf의 앞서 인용한 책, 밴드 IV, 369–71면. 네초(느고)는 기원전 610년 봄이나 여름에 아버지 프사메티쿠스 1세가 사망하자 왕위를 계승했지만 이집트 선행 방식에 따르면 올해 율리우스력 1월 23일에 시작된 이집트 민간력으로 년초부터 그의 첫 해를 계산했다. W. Barta의 앞서 인용한 책, 89면.
110 For a discussion of the exact date of Josiah’s death, see the final section of the Appendix: “Chronological tables covering the seventy years.”
110 요시야가 죽은 정확한 날짜에 대한 자료는 부록의 마지막 부분 "칠십 년을 다룬 연대표"를 참조하라.
111 His name in the Egyptian inscriptions is transcribed as Wahibre. In the Septuagint version of the Old Testament (LXX), his name is spelled Ouaphre.
111 이집트 비문에는 그의 이름이 와히브레로 표기되어 있다. 구약성서의 70인역(LXX)에서 그의 이름의 철자는 Ouaphre이다.
112 Translated by A. Leo Oppenheim in Pritchard’s ANET (see note 2 above), p. 308.
112 프리챠드의 ANET(위의 각주 2 참조) 308면에 A. 레오 오펜하임이 번역하였다.
첫댓글 본문에서의 증명 방법은 다른 국가, 특히 이집트의 연대기가 바비론의 연대기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두 연대기를 비교하고, 일어났던 사건들 네 가지(그중 세 가지는 성서에 언급된 것임)를 비교함으로써 바빌론의 연대기인 왕실명부(프톨레미 정전 또는 프톨레미우스의 명부라 불림)나 베로수스의 기록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예루살렘 멸망과 관련된 워치타워의 모든 연대는 20년 차이가 일관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