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화청(香華請) - 歌詠
백의관음무설설 남순동자불문문 병상녹양삼제하 암전취죽시방춘
白衣觀音無說說 南巡童子不聞聞 甁上綠楊三際夏 巖前翠竹十方春
백의관음보살 설함 없이 설하시고 남순동자는 들음 없이 들으시네. 화병 위의 녹색 버들 언제나 여름이요 바위 앞에 푸른 대는 시방에 봄을 알리네.
.....................
목은시고 제3권 / 시(詩) / 봉산 십이영(鳳山十二詠). 자통(子通)이 떠나려면서 짓기를 요구했다.
관음전(觀音殿)
내가 들으니 보타산 관음전은 / 吾聞寶陀山
멀리 남해 가운데에 있는데 / 邈居南海中
노니는 사람은 작은 재능만 믿고 / 游人恃菅蒯
먼 하늘 거센 물결을 헤쳐 간다네 / 駭浪排長空
애써 험한 남해를 건너지 않고도 / 不勞遠涉險
여기에 이 청련궁이 있는지라 / 有此靑蓮宮
옷깃 여미고 수월관음 상상하니 / 摳衣想水月
어슴푸레 관음보살과 노니는 듯 / 怳若游圓通
병 속엔 한 가지 버들이 있으니 / 甁中一枝柳
가는 곳마다 모두 봄바람일세 / 處處皆春風
......................
牧隱詩藁卷之三 / 詩 / 奉送傅子通應奉奉使東平。賑濟客戶。因過鳳凰山。名亨。樵隱同年也。
彤雲鬱岩嶢。赤日蒸炎溽。衆鳥忘飛翔。幸此樹陰綠。南瞻江漢流。戰壘黃雲沒。殘民席長河。令我心兀兀。零丁鋒鏑餘。襁褓兒子赤。官司勞慰多。父老牛酒逆。爾耕我有田。爾居我有宅。朝廷霈洪恩。可見聖心惻。先生持節去。皇華彼原隰。大旱垂虹霓。祈祈雨初洽。靄靄鳳山雲。娟娟鳳山月。星軺山下馳。幽事可怡悅。潭深龍眠酣。山暝鶴歸獨。丈夫志事業。何由久空谷。
목은시고 제3권 / 시(詩) / 사명(使命)을 받들고 동평(東平)에 가서 객호(客戶)들을 구제하고 인하여 봉황산(鳳凰山)에 들른 응봉(應奉) 부자통(傅子通)을 송별하다. 이름은 형(亨)인데, 초은(樵隱)과 동년(同年)이다.
붉은 구름은 높은 산에 자욱하고 / 彤雲鬱岧嶢
여름 햇살은 무더위로 푹푹 찌니 / 赤日蒸炎溽
뭇 새들도 나는 것을 잊어버리고 / 衆鳥忘飛翔
이 푸른 나무 그늘을 좋아하누나 / 幸此樹陰綠
남쪽으로 흐르는 강한을 보면은 / 南瞻江漢流
전루들이 누런 구름에 묻혀 있고 / 戰壘黃雲沒
쇠잔한 백성은 황하에 널려 있어 / 殘民席長河
내 마음을 몹시 불안하게 하네 / 令我心兀兀
고아들은 전쟁 상처의 나머지로 / 零丁鋒鏑餘
갓난애들이 강보에 싸였는지라 / 襁褓兒子赤
관청에서 많이 위로를 나가면은 / 官司勞慰多
부로들이 술과 안주로 맞이하네 / 父老牛酒逆
네가 농사한다면 내게 밭이 있고 / 爾耕我有田
네가 거주한다면 내게 집도 있다 / 爾居我有宅
조정에서 큰 은택을 내리었으니 / 朝廷霈洪恩
성상의 측은한 마음을 보겠도다 / 可見聖心惻
선생이 부절 가지고 떠나가니 / 先生持節去
화려한 꽃은 언덕 진펄에 피어 있고 / 皇華彼原隰
큰 가뭄에 무지개를 드리우더니 / 大旱垂虹霓
조용하게 비가 처음 흡족히 오네 / 祈祈雨初洽
봉산 구름은 뭉게뭉게 피어오르고 / 靄靄鳳山雲
봉산의 달은 예쁘기도 하여라 / 娟娟鳳山月
사신 행차가 산 아래를 달리자면 / 星軺山下馳
좋은 경치들이 마음에 기쁠 테니 / 幽事可怡悅
깊은 못엔 용이 잠을 달게 잘 게고 / 潭深龍眠酣
저문 산엔 학이 홀로 돌아가리라 / 山暝鶴歸獨
장부라면 사업에 뜻을 두어야지 / 丈夫志事業
어찌하여 빈 산에 오래 머물쏜가 / 何由久空谷
[주-D001] 화려한 …… 피어 있고 : 《시경》 소아 황황자화(皇皇者華)에, “화려한 온갖 꽃들은 저 언덕 진펄에 피어 있고, 부지런히 달리는 사신은 행여 사명 못다 할까 걱정일세.[皇皇者華 于彼原隰 駪駪征夫 每懷靡及]” 한 데서 온 말로, 곧 칙사를 의미한다.
ⓒ 한국고전번역원 | 임정기 (역) | 2000
........................
여지도서(輿地圖書) 慶尙道 寧海都護府
十二詠 安魯生詞。
騰雲山。 “地軸從天北, 山根揷海中。 浮雲積翠幾千重? 雲氣自沖融。 古木蒼藤老, 深涯白日曚。 會當登覽最高峯, 隨意倚淸風。”
望日峯。 “早發尋暘谷, 來登望日峯。 金鴉飛出碧海中, 淑氣滿長空。 萬物分形影, 三元造始終。 細推盈昃妙無窮, 默默謝天工。”
西泣嶺。 “澗道過淸淺, 峯巒向翠微。 三行紅粉幷鞍歸, 白日動光輝。 水逐征驂急, 山從祖帳圍。 離歌未闋已西暉, 揮淚更霑衣。”
南眠峴。 “東國龍興日, 三韓虎鬪時。 只緣歷數在君師, 大業豈前期? 和睡登南峴, 輸肝獻一巵。 風飛電掃定安危, 端拱示無爲。”
燕脂溪。 “洞密藏仙境, 溪回繞妾家。 香風和月上窓紗, 流影照琵琶。 手拂靑銅鏡, 頭簪白玉珈。 曉來粧罷貌如花, 水赤樣丹砂。”
丑山島。 “地盡滄溟大, 雲收島嶼開。 洪濤洶涌動驚雷, 勢若雪山頹。 萬竹籠煙靜, 千帆帶雨回。 縱然海寇不虞來, 知是望風催。”
揖仙樓。 “樓迥雲生棟, 山高翠滴裳。 荷風細細送淸香, 便是入仙鄕。 木落知秋氣, 月明生夜涼。 倚欄時復引壺觴, 身世兩相忘。”
奉松亭。 “海闊波聲壯, 郊虛颶氣侵。 松爲保障蔚成林, 千載翠陰陰。 芳草靑氈軟, 晴沙白雪深。 幾人把酒日相尋, 乘興豁煩襟?”
觀魚臺。 “石壁千層下, 滄溟幾丈餘? 湯湯萬里一堪輿, 俯瞰數游魚。 水落漁磯出, 帆開宿雨疎。 若令尙父來此居, 西伯便同車。”
梵興寺。 “寶地尋精舍, 空門薄世情。 赤髭白足出巖扃, 松下說無生。 夜靜石泉響, 曉寒鍾梵聲。 道心潭影共澄淸, 趺坐旋忘形。”
含恨洞。 “騕褭、紫騮馬, 夸毗白面郞。 金鞭指點百花粧, 中有倚新粧。 纖手開珠箔, 明眸出洞房。 上樓相對賞春光, 一嘆已摧腸。”
貞信坊。 “有別彝倫正, 無非德行淸。 但因節婦秉心貞, 閭井得佳名。 烈女風猶在, 關雎化復行。 丹陽禮俗古今成, 自是被文明。”
旱田
.........................
牧隱詩藁卷之三 / 詩 / 鳳山十二詠。子通臨行索賦。
鳳凰臺 白鶴巖 觀音殿 藏經閣 羅漢洞 居士菴 兩翼峯 神龍潭 百尺楸 五里松 靈泉 水洞
鳳凰臺
高臺俯林壑。衆山如几筵。又如百鳥集。孤鳳來翩翩。彩羽敻難見。佳名千載傳。桐花久零落。古木昏蒼煙。游人託深意。朗詠卷阿篇。
白鶴巖
翠巖峭千仞。隱隱含煙霏。長風欻然起。白鶴乘之飛。回翔得其所。終歲莫我違。夜月夢靑田。秋霜飄素衣。恨無千載人。飄然與同歸。
觀音殿
吾聞寶陁山。邈居南海中。游人恃菅蒯。駭浪排長空。不勞遠涉險。有此靑蓮宮。摳衣想水月。怳若游圓通。甁中一枝柳。處處皆春風。
藏經閣
西乾幾萬里。白馬眞飛雲。繙成萬千軸。老盡中書君。紛紛示衆妙。辯哉釋迦文。何人爲起閣。疏櫺通紫氛。流觀會有日。曠劫曾聞熏。
羅漢洞
羅漢人不識。有時騎虎游。白雲石上起。淸泉花下流。誰能廬此洞。學空逃衆咻。功名眞薄相。天地同浮漚。愧我溺五欲。悵望空搔頭。
居士菴
我愛山中人。白駒芻一束。仙去何寥寥。高風誰繼躅。石室書已殘。芝田雨猶綠。至今鳴夜鶴。山月照幽獨。撫古一長吁。紛紛幾榮辱。
兩翼峯
雙峯如將騫。兩翼欲超忽。天公恐飛去。乃以石作骨。淸風綠蘿中。細泉流碎月。吾聞仁者靜。厚重理可閱。胡爲欲飛動。矯首想天闕。
神龍潭
有潭何沈沈。萬古貯天澤。神龍所蟠處。夜夜氣生白。飛潛自有時。不日飛霹靂。一雨遍四海。仁者自無敵。不見山前人。鋤禾汗珠滴。
百尺楸
百尺老楸樹。突兀臨山龕。磊落撼風雨。天晴浮翠嵐。相傳閱晉魏。在木爲彭聃。材大古難用。棄捐心所甘。櫟杜自可保。信哉南華談。
五里松
彼美蒼髥翁。山中古君子。相從隱淪徒。知是非俗士。許史與金張。由來跡如水。野鶴時飛來。淸風枝上起。歲晚霜雪多。庶與保殘齒。
靈泉
鶴喙淸泉出。冷然照肺腑。飮之骨欲仙。令人想玄圃。豈惟洗詩脾。可以却二豎。平生愛淸事。有意續茶譜。當携石鼎去。松梢看飛雨。
水洞
雅樂久矣殘。師襄入海去。宮商互相奪。節奏茫無據。忽驚洞中水。鏗鏘中律呂。物理固自然。天機妙難覰。秪恐金石藏。澒洞不知處。
....................
단산서원(丹山書院) (1608)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영해(寧海)에 건립한 서원. 우탁(禹倬)ㆍ이색(李穡)ㆍ이곡(李穀) 등을 배향함. 1667년(현종 8) 봉황산(鳳凰山) 근처로 이건되었으며, 현재 경상북도 포항시에 속함.
....................
孤山遺稿 卷一 / 詩【五言:古詩、律絶、集古。七言:古詩、律絶、回文、集古。】
次任博士、李評事韻,奉贈鳳凰臺主人【博士,任疎菴叔英。】
聞子溪居勝,高臺入谷深。
畫鞭頗了了,生目自森森。
李語有山色,任篇獲鳳心。
何當辦兩脚,偶庇後凋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