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짱뚱어 :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Linnaeus) (= Boleophthalmus chinensis)
► 방 언 : 짱뚱어, 장등어, 대광어, 장똥이, 철목어
► 외국명 : (영) Great blue spotted mudskipper, Pondskipper, (일) Mutsugorou (ムツゴロウ)
► 형 태 : 크기는 전장 10~15㎝ 정도이다. 몸은 가늘고 길며 뒤로 갈수록 점차 옆으로 납작해진다. 머리와 몸의 앞쪽은 원뿔 모양의 작은 돌기로 덮여 있다. 머리는 크고 위아래로 납작하며 머리의 너비가 몸의 너비에 비해 넓다. 눈은 작고 머리꼭대기 옆에 있으며 눈 사이는 좁다. 주둥이는 짧고 끝은 둥글다. 입은 아래쪽에 비스듬하게 열리고 윗입술은 두껍다. 체색은 푸른색이고 배 쪽은 연한 색이며 측면에는 흰색의 작은 점이 흩어져 있다. 제2등지느러미에 타원형의 크고 흰 점이 가로로 6줄 있다. 꼬리지느러미에는 흰색 반점이 세로로 늘어서 있다. 뒷지느러미에는 반점이 없고 몸과 지느러미의 반점은 코발트색이다.
크기는 전장 20㎝ 정도이다. 몸은 가늘고 길며, 머리 폭이 몸 폭에 비하여 넓다. 체색은 청회색이고 남청색(코발트색)의 소형 반점이 점이 산재해 있다. 등지느러미는 2기이고, 제1등지느러미는 커서 세우면 돛 모양이 된다. 제2등지느러미에는 타원형의 큰 흰 점이 가로로 6줄이 있다. 꼬리지느러미도 같은 빛깔이나 백색 반점이 세로로 늘어서 있으며, 그 밖의 지느러미는 연한 빛깔로 흰 점이 없다. 주둥이는 짧고 끝은 둥글다. 눈은 작고 머리 꼭대기 측면에 위치하며 밑눈시울은 폭이 넓어서 눈 전체를 덮을 수가 있다. 눈 사이는 폭이 좁고 그 중앙부에는 낮은 융기연이 있다. 구열은 비스듬하고 윗입술은 두껍다. 상악골의 말단은 눈의 변두리보다 약간 뒤쪽에 있다. 위턱의 이빨은 1열이나 앞쪽의 3~4개는 크고 송곳니 모양을 나타내며, 아래 이빨은 2열로 안쪽의 것은 봉합부의 뒤쪽에 있는 강대한 송곳니이고, 밖의 이빨은 수평으로 절연은 아래턱 둘레를 넘어서 밖으로 돌출한다. 등지느러미 가시는 가늘고 길며 앞쪽은 늘어나 실 모양으로 되어 있다. 제2등지느러미는 기저부가 매우 길며 제1등지느러미에 비하여 기조부가 낮다. 좌우의 배지느러미는 흡반을 형성한다. 뒷지느러미의 기점은 등지느러미 제4연조 아래에 있고, 가슴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변두리가 둥글다. 가슴지느러미 기부에는 육질이 발달해 있다. 머리와 몸의 앞쪽은 원추형의 작은 돌기로 덮여 있고 그 밖의 부분은 극히 작은 비늘로 덮여 있다.
► 설 명 : 조간대에서 서식하며, 간조 때에는 뻘을 기어 다니면서 먹이를 찾고 만조 때에는 굴을 파고 숨어 있다. 공기 호흡에 의하여 육지와 바다를 왕래할 수 있다. 먹이는 간석지 진흙 위의 규조류 뿐이지만 물 속을 헤엄치며 살 때는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다. 염수나 반염수산 어류로서 진흙 바닥에 공도(孔道, 구멍)를 파고 그 속에 숨지만 간조 시에는 공도에서 나와서 바닥 위를 가슴지느러미를 사용해서 기어 다니기도 하고 뛰어오르기도 한다. 하구나 연안 지역의 갯벌에 구멍을 파고 서식한다. 생후 3년만에 15㎝로 자라서 성숙한다. 산란기는 6~8월이며, 공도의 일부를 계란형으로 확장해서 천정 부위에 알을 낳는다. 알은 긴 타원형인 침성란으로 장경 약 1.4mm, 단경 0.7mm이다. 부화된 자어는 부유생활을 하지만 그 해 9~10월에는 2㎝ 전후로 성장해서 저생생활을 시작한다. 간석지 수렁 속에 상당히 깊이 서식공이 있는데, 그 구멍은 성어 때에는 직경 3~4㎝의 원형이며, 수렁 속으로 비스듬히 들어가는 갱도가 있다. 서식공은 50~90㎝ 의 깊이로 파고 내려가며, 출입공이 두 개인 Y자형을 만든다. 간석지 위에서 생활하는 가장 작은 것은 전장이 1.7㎝ 정도로 눈은 머리 꼭대기 쪽으로 이동하고 주둥이의 경사가 커져서 외형이 성어에 가깝게 된다. 살에는 지질이 풍부하며, 철판구이가 별미이다. 찌개로도 이용되며, 말린 것은 우동의 국물을 내는데 사용된다. 관상육으로 수족관에서 사육하기도 한다.
제철은 늦봄에서 초여름으로 고기잡이는 썰물 사이에 이루어진다. 도망칠 때는 개구리처럼 빠르게 연속 점프하기 때문에 잡기가 의외로 어렵다. 굴에 대나무 통 등으로 만든 올가미를 놓아 굴에서 나온 것을 포획한다. 고기는 부드럽고 지방이 많다. 신선할 때 구이, 조림, 탕 등으로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죽으면 맛도 떨어진다. 제철은 봄~여름이다. 비늘은 거의 신경 쓰이지 않는다. 뼈는 별로 단단하지 않다. 살은 붉은 빛을 띤 백색이며, 가열하면 백색으로 된다. 살은 고급스러운 백색이지만 감칠맛은 없다. 구우면 독특한 풍미가 난다. 주로 구이, 조림, 탕 등으로 이용한다.
► 분 포 : 한국(서남 연안), 일본(아리아케해, 有明海), 타이완, 남지나해, 버어마, 말레이야 군도 등 서부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
► 비 고 : 망둑어는 색깔이 화려하거나 황토색인데, 짱뚱어는 짙은 갈색이다. 또한 짱뚱어는 망둑어에는 없는 푸른 반점이 있다. 짱뚱어의 지느러미가 훨씬 크고 화려하다. 망둑어는 동물성 먹이를 먹는 육식성이지만 짱뚱어는 초식 위주 잡식성으로 동식물성 플랑크톤을 먹거나 갯벌을 훑어서 개흙 표면의 돌말류(규조류)를 먹는다. 대개 망둑어는 망둑어科와 말뚝망둥어科를 총칭하는 말이며, 짱뚱어는 망둑어의 한 종이다.
► 참 고 : 짱뚱어는 우리나라 서해, 남해 연안과 주변 하구(옥구, 영광, 영암, 벌교, 고흥, 신안, 무안)에서 흔하게 출현하였으나 최근에는 연안 오염과 개발로 인하여 서해 연안에서 개체 수가 현저하게 감소되고 있다. 전라남도 고흥군의 득량만에는 아직도 비교적 많은 개체가 출현되고 있어 특별한 보호 조치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