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9장(第九章)_1-6/6절
* 飛龍비룡 辛鐘洙신종수 總務총무님 提供제공.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9장(第九章)_1절
p.485 【經文】 =====
易之爲書也, 原始要終, 以爲質也, 六爻相雜, 唯其時物也.
『易역』이라는 册책은 始作시작을 찾아내고 마침을 간추려서 바탕을 삼고, 六爻육효가 서로 섞임은 오직 그 때와 事物사물이다.
中國大全
p.485 【本義】 =====
質, 謂卦體. 卦必擧其始終而後成體, 爻則唯其時物而已.
‘바탕[質질]’은 卦괘의 몸-體체를 말한다. 卦괘는 반드시 그것의 始作시작과 마침이 세워진 뒤에야 몸-體체가 이루어지고, 爻효는 다만 그것의 때와 事物사물일 뿐이다.
p.485 【小註】 =====
進齋徐氏曰, 此總言聖人作易所以立卦生爻之義. 下文又逐爻分說而申明之也. 質, 謂卦體, 時, 謂六位之時, 物, 謂陰陽二物也. 原其事之始, 要其事之終, 以爲一卦之體質, 卦有六爻, 剛柔錯雜, 隨其時辨其物, 言卦雖有全體, 而爻亦无定用也.
進齋徐氏진재서씨가 말하였다. “이는 聖人성인이 『易역』을 지음에 卦괘를 세우고 爻효를 낳은 뜻을 總括총괄하여 말한 것이다. 아래 글에서 또 爻효마다 나누어 說明설명하여 거듭 밝혔다. ‘바탕[質질]’은 卦괘의 몸-體체를 말하고, ‘때[時시]’는 여섯 자리의 때를 말하고, ‘事物사물’은 陰음과 陽양 두 事物사물을 말한다. 일의 始作시작을 찾아내고 일의 마침을 간추려서 한 卦괘의 바탕을 삼았는데, 卦괘에는 六爻육효가 있어 剛柔강유가 뒤섞이며 때를 따르고 事物사물을 分別분별하니, 卦괘에는 비록 穩全온전한 몸-體체가 있더라도 爻효에는 또한 定정해진 作用작용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 雲峰胡氏曰, 卦有定體, 故曰質, 爻无定用, 故曰時.
雲峰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卦괘에는 定정해진 몸-體체가 있다.” 그러므로 ‘바탕[質질]’이라 하였지만, 爻효에는 定정해진 作用작용이 없으므로 ‘때[時시]’라 하였다.
○ 錢氏藻曰, 六爻相雜, 唯其時之不同, 而其事物亦異. 如乾之取龍一物也, 或潛或見或躍或飛之不同者, 時也. 如漸之取鴻, 亦一物也, 而于干于磐于陸于木之不同者, 亦時也.
錢藻전조가 말하였다. ““六爻육효가 서로 섞임”은 그 때가 같지 않고 그 事物사물도 또한 다르기 때문이다. 例예컨대 乾卦건괘(䷀)에서 龍용이라는 한 事物사물을 取취했지만, 잠기기도 하고 나타나기도 하며 뛰기도 하고 날기도 하는 같지 않음이 때이다. 또한 漸卦점괘(䷴)에서 기러기를 取취함도 한 事物사물이지만, 물가와 盤石반석과 뭍과 나무에 있음이 같지 않음이 또한 때이다.”
유럽에서 가장 예쁜 언덕 꼭대기 마을들은? |
韓國大全
【이익(李瀷) 『역경질서(易經疾書)』】
九章
九章9장이다.
始終, 以初上之義言. 要, 猶求也. 必原其始, 而求其終, 合爲一軆也. 如剝復之義, 只繫初爻, 然剝六爻, 皆以剝言, 復六爻, 皆以復言, 此始終爲質之義也. 然就其間六爻, 其物各殊, 剝床剝廬,休復迷復之類是也.
始作시작과 마침은 初爻초효와 上爻상효의 뜻으로 말하였다. 要요는 찾다[求구]는 말과 같다. 반드시 始作시작을 根源근원하고 마침을 찾아 合합하여 一軆일체를 삼는다. 例예컨대 剝卦박괘(䷖)와 復卦복괘(䷗)의 뜻은 但只단지 初爻초효에 매어있으나 剝卦박괘(䷖) 여섯 爻효가 모두 “깎음”을 말하였고, 復卦복괘(䷗) 여섯 爻효가 모두 “돌아옴”으로 말하였으니 이것이 처음과 마침이 바탕이 되는 뜻이다. 그러나 그 사이의 여섯 爻효는 物件물건이 各各각각 다르니 “平床평상을 깎음”‧“살갗을 깎음”, “아름다운 돌아옴”‧“돌아옴에 昏迷혼미함”의 部類부류가 이것이다.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易之 [至] 物也
易역이라는 册책은 …事物사물이다.
正義, 質, 體也. 易之爲書, 原窮其事之初始, 乾初九潛龍勿用, 是原始也, 又要會其事之終末, 若上九亢龍有悔, 是要終也. 言易以原始要終, 以爲體質也. 亦有一爻之中, 原始要終也. 故坤卦之初六履霜堅冰至, 履霜是原始也, 堅冰至是要終也. 物, 事也. 一卦之中, 六爻交相雜錯, 唯各會其時, 唯各主其事, 若屯卦初九盤桓利居貞, 是居貞之時, 有居貞之事, 六二屯如邅如, 是乘陽屯邅之時, 有屯邅之事也. 餘爻倣此.
『周易正義주역정의』에서 말하였다. “質질은 몸-體체이다. 『易역』이라는 册책은 일의 始初시초를 根源的근원적으로 窮究궁구하니 乾卦건괘(䷀)에서 “初九초구는 잠겨있는 龍용이니 쓰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 “始作시작을 찾음”이고, 또 일의 終末종말을 모아 간추리니 “上九상구는 끝까지 올라간 龍용이니 後悔후회가 있을 것이다”가 “마침을 간추리다”이다. 그러니 易역은 始作시작을 찾아내고 마침을 간추려서 바탕을 삼는다는 말이다. 또한 한 爻효 가운데도 처음을 찾아내고 마침을 간추리는 것이 있다. 그러므로 坤卦곤괘(䷁)의 “初六초육은 서리를 밟으면 단단한 얼음이 이른다”에서 ‘서리를 밟음’이 始作시작을 찾아냄이고, ‘단단한 얼음이 이름’이 마침을 간추리는 것이다. 物물은 일이다. 한 卦괘 안의 여섯 爻효가 서로 섞이고 갈마들어 各各각각 때를 만나고 各各각각 일을 主管주관하니, 屯卦준괘(䷂)에서 “初九초구는 躊躇주저함(盤桓반환)이니 바름에 머물러 있는 것이 利이롭다”[주 275]같은 것은 바름에 머무르는 때에 바름에 머무르는 일이 있는 것이고 “六二육이는 어려워하고 머뭇거리며”[주 276]는 陽양을 타고 있어 어려워하고 머뭇거리는(邅전) 때에 어려워하고 머뭇거리는 일이 있는 것이다. 나머지 爻효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275) 『周易주역‧屯卦준괘(䷂)』:初九, 磐桓, 利居貞, 利建侯. |
276) 『周易주역‧屯卦준괘(䷂)』:六二, 屯如邅如, 乘馬班如, 匪寇, 婚媾. 女子貞, 不字, 十年, 乃字. |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質, 謂卦體, 時, 謂六位之時, 物, 謂陰陽二物也.
바탕[質질]은 卦괘의 몸-體체를 이르고, 때[時시]는 여섯 자리의 때를 이르며, 事物사물은 陰음‧陽양 두 事物사물을 이른다.
【심취제(沈就濟) 『독역의의(讀易疑義)』】
第九章.
第九章제9장이다.
終始本末, 以卦而言, 則終始也, 以爻而言, 則本末也. 終始包本末, 本末含終始也, 本者始之本也, 末者終之末也. 始言一理中散爲萬事, 末復合爲一理, 則本亦一, 末亦一, 而始終包其本末也. 始終本末, 備言於大學, 而始終本末之分別, 參於孟子之造端托始, 則可見也.
마침과 始作시작, 根本근본과 끝은 卦괘로 말하면 마침과 始作시작이고, 爻효로 말하면 根本근본과 끝이다. 마침과 始作시작은 根本근본과 끝을 包括포괄하고, 根本근본과 끝은 마침과 始作시작을 包含포함하니, 根本근본이라는 것은 始作시작의 根本근본이고, 끝이라는 것은 마침의 끝이다. 始作시작은 하나의 理致이치 안에서 흩어져 萬만 가지 일이 됨을 말하고, 끝은 다시 合합하여 하나의 理致이치가 되니 根本근본도 하나이고, 끝도 하나여서 始作시작과 마침이 根本근본과 끝을 包括포괄한다. 始作시작과 마침, 根本근본과 끝은 말이 『大學대학』에 갖춰있고,[주 277] 始作시작과 마침, 根本근본과 끝의 分別분별은 『孟子맹자』의 “端緖단서를 짓고 始作시작을 依託의탁(依托의탁)한 말”[주 278]을 參考참고해 보면 알 수 있다.
277) 『大學대학』 經文一章: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 則近道矣. |
278) 『孟子集注맹자집주』:此孟子之書, 所以造端託始之深意, 學者所宜精察而明辨也. |
此言卦質, 則終始者, 剛柔也, 本末者, 陰陽也. 陰陽剛柔 互相體用 其始終本末也
이 글은 卦괘의 바탕을 말하였으니 ‘마침과 始作시작’이라는 것은 剛柔강유이고, ‘根本근본과 끝’이라는 것은 陰음과 陽양이다. 剛柔강유가 서로 本體본체와 作用작용이 됨이 始作시작과 마침, 根本근본과 끝이다.
時物云者, 時以開之, 物以成之也. 以龍言之, 則時以潛, 時以見, 此非時物乎.
때와 事物사물이라고 말하는 것은 때로써 열고 事物사물로써 이루는 것이다. 龍용으로 말하자면 때로 잠기고 때로 드러나는 것이니, 이것이 때와 事物사물이 아니겠는가?
上章言內外, 此章言本末終始, 則無不兼備矣.
「繫辭下傳계사하전」 上章상장인 八章8장에서는 안과 밖을 말하였고, 이 章장에서는 ‘根本근본과 끝’, ‘마침과 始作시작’을 말하였으니 아울러 갖추지 않음이 없다.
【윤행임(尹行恁) 『신호수필(薪湖隨筆)‧계사전(繫辭傳)』】
原始要終, 所以發明六爻之義, 而如焦氏京房之易, 皆因此而變幻者也. 京房布六十四卦於一歲中, 六日七分, 一卦用事. 卦有陰陽, 氣以升降, 揚雄作三分, 而謂之天地人, 有日星而無月, 皆與易義相舛. 〈九章〉
始作시작을 찾아내고 마침을 간추림은 여섯 爻효의 뜻을 發明발명하는 것으로 焦延壽초연수와 京房경방[주 279]의 易역과 같으니 모두 이로 因인하여 變幻변환하는 것이다. 京房경방은 一年일년 안에 六十四卦64괘를 펼치니 六日6일 七分7분으로 한 卦괘가 用事용사한다. 卦괘에는 陰陽음양이 있어 氣기로써 오르내리니 揚雄양웅이 「三分宇宙觀삼분우주관」을 만들어 그것을 天천‧地지‧人인이라 하였으나 해‧별은 있고 달은 없으니 모두 『周易주역』의 뜻과 서로 어긋난다. 〈九章9장〉
279) 焦延壽초연수‧京房경방:中國중국 前漢전한 때의 思想家사상가로, 京房경방(BC77-BC37)은 孟喜맹희의 文人문인 焦延壽초연수에게 『周易주역』을 배웠고, 今文京氏易學금문경씨역학을 開創개창하였다. |
【심대윤(沈大允) 『주역상의점법(周易象義占法)』】
質, 謂卦軆也, 彖是也.
바탕[質질]은 卦軆괘체를 이르니, 彖단이 이것이다.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原者, 本也, 始, 謂初爻也, 要者, 察也, 終, 謂終爻也, 言其始終, 則二三四五之爻, 自在其中矣. 相雜, 言剛柔之位, 相錯而陰陽變動, 周流旡定也. 時, 謂六位之時, 物, 謂陰陽二物也. 卦有定體, 故曰質, 而文王之彖辭, 必本乎始, 察乎終, 以爲辭. 如乾曰元亨利貞, 坤曰利牝馬之貞, 皆合其始終而言也. 爻旡定用, 故曰時物, 而周公之爻辭, 亦惟取諸時物以爲辭. 如乾以陽物, 而有潛見躍飛不同者, 時也, 坤以陰物, 而履霜括囊之不同者, 時也.
原원은 根本근본함이고, 始시는 初爻초효를 이르며, 要요은 살핌이고, 終종은 上爻상효를 이르니 初爻초효와 上爻상효를 말하면, 二爻이효‧三爻삼효‧四爻사효‧五爻오효는 저절로 그 안에 있다. 서로 섞임[相雜상잡]은 굳센 陽양과 부드러운 陰음의 자리가 서로 섞여서 陰陽음양이 變動변동하여 두루 흘러서 定정함이 없음을 말한다. 時시는 여섯 자리의 때이고 物물은 陰陽음양 두 物件물건을 이른다. ‘卦괘’는 定정해진 몸-體체가 있기 때문에 바탕[質질]이라고 말하였으니, 文王문왕의 彖辭단사는 반드시 初爻초효에 根本근본하고 上爻상효를 살펴서 말을 만들었다. 例예컨대 乾卦건괘(䷀)에서는 “크고 亨通형통하며 利이롭고 곧다”고 하였고, 坤卦곤괘(䷁)에서는 “암말의 바름이 利이롭다”고 한 것이 모두 처음과 마침을 合합하여 말한 것이다. ‘爻효’는 定정해진 쓰임이 없기 때문에 “때와 事物사물이다”고 하였으니 周公주공의 爻辭효사도 오직 때와 事物사물에서 取취하여 말을 만들었다. 例예컨대 乾卦건괘(䷀)는 陽物양물로서 ‘잠겨있고 나타나고 날고 뛰어오르는’의 같지 않음이 있는 것이 ‘때’이고, 坤卦곤괘(䷁)는 陰物음물로서 ‘서리를 밟고’‧‘자루를 묶는’의 같지 않음이 있는 것이 ‘때’이다.
=====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9장(第九章)_2절
p.486 【經文】 =====
其初難知, 其上易知, 本末也. 初辭擬之, 卒成之終.
그 처음은 알기 어렵고 그 위는 알기 쉬우니 根本근본과 끝이다. 처음 말은 헤아리고, 끝마쳐 마침을 이룬다.
中國大全
p.486 【本義】 =====
此, 言初上二爻.
이것은 初爻초효와 上爻상효 두 爻효를 말한 것이다.
p.486 【小註】 =====
節齋蔡氏曰, 初爻者, 卦之本, 本則其質未明, 故難知. 上爻者, 卦之末, 末則其質已著, 故易知. 難知, 則所繫之辭, 必擬議而後得, 易知, 但卒其卦之辭, 而成其卦之終也.
節齋蔡氏절재채씨가 말하였다. “初爻초효는 卦괘의 根本근본이니, 根本근본은 그 바탕이 分明분명치 않으므로 알기 어렵다. 上爻상효는 卦괘의 끝이니, 끝은 그 바탕이 이미 드러났으므로 알기가 쉽다. 알기 어려우면 매단 말을 반드시 헤아린 뒤에야 알게 되고, 알기 쉬우면 다만 그 卦괘의 末말을 끝마쳐 그 卦괘의 마침을 이룰 뿐이다.”
○ 雲峰胡氏曰, 此承上文原始要終而言也. 原其始, 則初爻爲本, 質未明, 故難知. 要其終, 則上爻爲末, 質已著, 故易知. 故初爻之辭必擬之, 而上爻之辭則成之矣.
雲峰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이것은 위 글의 ‘始作시작을 찾아내고 마침을 간추린다’를 이어서 말한 것이다. 그 始作시작을 찾아냄은 初爻초효가 根本근본이 되니, 바탕이 分明분명치 않으므로 알기 어렵다. 그 마침을 간추림은 上爻상효가 끝이 되니, 바탕이 이미 드러났으므로 알기가 쉽다. 그러므로 初爻초효의 말은 반드시 헤아려야 하고, 上爻상효의 말은 이를 이루는 것이다.”
○ 臨川吳氏曰, 初與終爲對, 擬之與卒成之爲對, 兩句文法顚倒相互.
臨川吳氏임천오씨가 말하였다. “‘처음[初초]’은 ‘마침[終종]’과 相對상대가 되고, ‘헤아림’은 ‘끝마쳐 이룸’과 相對상대가 되니, 두 句節구절의 文法문법은 서로 뒤집혀 있다.”
韓國大全
【이익(李瀷) 『역경질서(易經疾書)』】
始終, 事也, 本末, 物也. 物, 以畫言也. 承時物, 故曰本末也. 初辭擬之而未成, 故難知, 至終辭, 則卒歸成就, 故易知.
始作시작과 마침은 일이고 根本근본과 끝은 事物사물이다. 事物사물은 畫획으로 말하였다. 때와 事物사물을 받들기 때문에 根本근본과 끝이라고 하였다. 처음 말은 헤아리고 마침을 이루지 않았기 때문에 알기 어렵고, 마치는 말에 이르면 마침내 成就성취함으로 돌아옴으로 알기 쉽다.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初辭 [至] 之終
처음 말은 … 마침을 이룬다
案, 乾之初擬之龍, 而上九成之龍, 漸之初擬之鴻, 而上九成之鴻, 擬之者, 所謂擬諸其形容也.
내가 살펴보았다. 乾卦건괘(䷀)의 初爻초효는 龍용을 헤아리고 上九상구는 龍용을 이루었으며, 漸卦점괘(䷴)의 初爻초효는 기러기를 헤아리고 上九상구는 기러기를 이루었으니, 헤아린다는 것은 이른바 “形容형용을 견줌”[주 280]이다.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此言初上二爻
이것은 初爻초효와 上爻상효 두 爻효를 말한다.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此承上文原始要終, 而言初上二爻也. 初爻爲卦之本, 而其質未明, 故曰難知, 上爻爲卦之末, 而其質已著, 故曰易知也. 以其難知, 故聖人繫初爻之辭, 則必詳審其當擬何象何占然後擬之. 以其易知, 故聖人繫上爻之辭, 不過因下爻之辭, 而成其終, 如乾初九曰潛龍, 上九曰亢龍是也.
이 글은 윗글의 “ 初爻초효를 根源근원하고 上爻상효를 살핌”을 이어서 初爻초효‧上爻상효 두 爻효를 말하였다. 初爻초효는 卦괘의 根本근본이어서 바탕이 밝지 못하기 때문에 “알기 어렵다”고 하였고, 上爻상효는 卦괘의 끝이어서 바탕이 이미 드러났기 때문에 ‘알기 쉽다’고 하였다. 알기 어렵기 때문에 聖人성인이 初爻초효의 말을 붙일 때에는 반드시 어떤 象상과 어떤 占점에 謀議모의해야하는 지를 詳細상세히 살핀 뒤에 헤아렸다. 알기 쉽기 때문에 聖人성인이 上爻상효의 말을 붙임은 아래 爻효의 말로 因인하여 마침을 이룬 것에 不過불과하니, 例예컨대 乾卦건괘(䷀)의 初九초구에서는 “잠겨있는 龍용”이라 하였고, 上九상구에서는 “끝까지 올라간 龍용”이라 한 것이 이것이다.
280) 『周易주역‧繫辭上傳계사상전』 八章8장:聖人성인이 天下천하의 雜亂잡란함을 보고서 그 形容형용을 견주고 그 物件물건의 마땅함을 形象형상하였다. 이러므로 象상이라 일렀고, [聖人, 有以見天下之賾, 而擬諸其形容, 象其物宜, 是故謂之象] |
=====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9장(第九章)_3절
p.487 【經文】 =====
若夫雜物撰德, 辨是與非, 則非其中爻不備.
事物사물을 섞음과 德덕을 가려냄과, 옳음과 그름을 分別분별함 같은 것은 가운데 爻효가 아니면 갖춰지지 못할 것이다.
中國大全
p.487 【本義】 =====
此, 謂卦中四爻.
이것은 卦괘의 가운데 네 爻효를 이른 것이다.
p.487 【小註】 =====
朱子曰, 其初難知, 至非其中爻不備, 若解, 也硬解了, 但都曉他意不得. 這下面卻說一箇噫字, 都不成文章, 不知是如何. 後面說二與四同功, 三與五同功, 卻說得好, 但不利遠者, 也曉不得.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그 처음은 알기 어렵다”부터 “가운데의 爻효가 아니면 갖춰지지 않을 것이다”까지는 解釋해석하려 한다면 또한 억지로 解釋해석할 수 있겠지만, 도대체 그 意味의미를 알 수가 없다. 이 아래에서 다시 하나의 ‘噫희’字자를 말한 것도 도대체 文章문장이 되지 않고, 무슨 뜻인지 알지 못하겠다. 뒤에서 “二爻이효가 四爻사효와 일이 같다. 三爻삼효가 五爻오효와 일이 같다”라고 한 것은 도리어 좋지만, “멀리 있는 것이 利이롭지 않다”도 알 수가 없다.”
○ 問, 雜物撰德, 辨是與非, 則非其中爻不備. 曰, 這樣處曉不得, 某常疑有闕文. 先儒解此多以爲互體, 如屯卦震下坎上, 就中間四爻觀之, 自二至四則爲坤, 自三至五則爲艮. 故曰非其中爻不備. 互體說, 漢儒多用之, 左傳中一處, 說占得觀卦處, 亦擧得分明. 看來此說亦不可廢.
물었다. “事物사물을 섞음과 德덕을 가려냄과 옳음과 그름을 分別분별함은 가운데의 爻효가 아니면 갖춰지지 않을 것이다”는 무슨 뜻입니까?”
答답하였다. “이 곳은 알 수가 없으니, 저는 恒常항상 빠진 글이 있다고 疑心의심합니다. 先儒선유가 이를 解釋해석하면서 互體호체로 看做간주함이 많으니, 例예컨대 屯卦준괘(䷂)는 震진(☳)이 아래이고 坎감(☵)이 위에 있는데, 中間중간에 네 爻효를 가지고 본다면 二爻이효로부터 四爻사효까지는 坤곤(☷)이 되고, 三爻삼효로부터 五爻오효까지는 艮간(☶)이 됩니다. 그러므로 “가운데의 爻효가 아니면 갖춰지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互體호체의 說설은 漢한나라 儒學者유학자들이 많이 使用사용했는데 『春秋左氏傳춘추좌씨전』에서 觀卦관괘(䷓)를 占점쳐 얻고 說明설명하는 곳에서도 分明분명하게 擧論거론했습니다.[주 281] 보아하니 이 說明설명도 또한 廢止폐지할 수는 없을 듯합니다.”
281) 『春秋左氏傳춘추좌씨전』 莊公장공 二十二年22년 |
○ 問, 易中互體之說, 或以爲雜物撰德, 辨是與非, 則非其中爻不備, 此是說互體. 曰, 今人言互體, 皆以此爲說, 但亦有取不得處, 如頤大過之類是也. 王輔嗣又言納甲飛伏, 尤更難理, 此等不必深泥.
물었다. “易역의 互體호체의 說설을 어떤 이는 “事物사물을 섞음과 德덕을 가려냄과 옳음과 그름을 分別분별함은 가운데의 爻효가 아니면 갖춰지지 않을 것이다”로 看做간주하는데, 이것이 互體호체를 說明설명한 것입니까?”
答답하였다. “只今지금 사람들이 互體호체를 말하면 모두 이것으로 說明설명하지만, 또한 取취할 수 없는 것이 있으니, 例예컨대 頣卦이괘(䷚)나 大過卦대과괘(䷛)의 따위가 이것입니다. 王弼왕필은 또 “納甲납갑‧飛伏비복[주 282]은 더욱 理解이해하기 어려우니, 이러한 것들에 깊이 빠지지 말아야 한다” 고 하였습니다.”
282) 納甲飛伏:納甲납갑은 天干천간을 나누어 八卦팔괘에 配置배치해 넣는 것이고, 飛伏비복은 卦괘에 나타난 것을 飛비, 나타나지 않은 것을 伏복으로 看做간주하고 이에 依의하여 吉凶길흉을 占점치는 것. |
○ 雲峰胡氏曰, 此承上文六爻相雜而言也, 六爻本自相雜. 二三四五於六爻之中, 又雜物撰德者, 如屯下震物爲雷德爲健, 上坎物爲雲德爲險, 下互坤則雜物爲地, 撰德爲順矣, 上互艮則又雜物爲山, 撰德爲止矣. 亦可以辨是與非而易愈備矣,
雲峰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이것은 위 글의 “六爻육효가 서로 섞임”을 이어서 말한 것이니, 六爻육효는 本來본래 스스로 서로 섞인다. 六爻육효 가운데 二爻이효‧三爻삼효‧四爻사효‧五爻오효가 또 事物사물을 섞고 德덕을 가리는 것이니, 例예컨대 屯卦준괘(䷂)의 下卦하괘인 震진(☳)은 事物사물로는 우뢰가 되고 德덕으로는 剛健강건함이 되며, 上卦상괘인 坎감(☵)은 事物사물로는 구름이 되고 德덕으로는 險험함이 되는데, 아래의 互卦호괘인 坤곤(☷)은 事物사물을 섞으면 땅이 되고 德덕을 가려내면 柔順유순함이 되며, 위의 互卦호괘인 艮간(☶)은 또 事物사물을 섞으면 山산이 되고 德덕을 가려내면 그침이 된다. 또한 옳음과 그름도 分別분별할 수 있으니 易역이 더욱 갖춰질 것이다.”
○ 容齋洪氏曰, 如坤坎爲師, 而六五之爻, 曰長子帥師, 以正應九二而言, 蓋指二至四爲震也. 坤艮爲謙, 而初六之爻, 曰涉大川, 蓋自二而上, 則六二九三六四爲坎也.
容齋洪氏용재홍씨가 말하였다. “萬若만약 坤곤(☷)과 坎감(☵)으로 師卦사괘(䷆)가 될 때에 六五육오의 爻辭효사에 “長子장자로 軍士군사를 거느린다(帥솔)”고 한 것은 正應정응인 九二구이로 말했으니, 大體대체로 二爻이효에서 四爻사효까지를 가리키면 (長子장자인) 震진(☳)이 되기 때문이다. (또) 坤곤(☷)과 艮간(☶)으로 謙卦겸괘(䷎)가 될 때에 初六초육의 爻辭효사에 “큰 내를 건넌다”고 한 것은 大體대체로 二爻이효로부터 올라가면 六二육이‧九三구삼‧六四육사가 (내(川천)인) 坎감(☵)이 되기 때문이다.”
○ 臨川吳氏曰, 內外旣有二正卦之體, 中四爻又成二互體之卦然後, 其義愈无遺闕, 非以此正體互體竝觀, 則其義猶有不備. 正體則二爲內卦之中, 五爲外卦之中, 互體則三爲內卦之中, 四爲外卦之中. 故皆謂之中爻.
臨川吳氏임천오씨가 말하였다. “안팎으로 이미 두 個개의 本卦본괘의 몸-體체가 있어도, 가운데의 네 爻효로 다시 두 個개의 互體호체의 卦괘를 이루어야 그 意味의미가 더욱 빠짐이 없을 것이니, 本卦본괘의 몸-體체와 互卦호괘의 몸-體체를 함께 보지 않는다면 그 意味의미가 오히려 갖춰지지 않을 것이다. 本卦본괘의 몸-體체는 二爻이효가 內卦내괘의 가운데가 되고 五爻오효가 外卦외괘의 가운데가 되며, 互卦호괘의 몸-體체는 三爻삼효가 內卦내괘의 가운데가 되고 四爻사효가 外卦외괘의 가운데가 된다. 그러므로 모두 ‘가운데의 爻효’라고 하였다.”
○ 雙湖胡氏曰, 是非者, 當位不當位, 中不中, 正不正也. 內外卦, 旣足以示人矣, 復自互體而辨之, 則是是非非, 於是乎益可見焉.
雙湖胡氏쌍호호씨가 말하였다. “‘옳음과 그름’은 자리에 마땅함과 자리에 마땅치 않음, 가운데 있음과 가운데 있지 않음, 바름과 바르지 않음이다. 內卦내괘와 外卦외괘로 이미 充分충분이 사람에게 보였지만, 다시 互體호체로 分別분별하니 是是非非시시비비가 여기에서 더욱 나타날 것이다.”
○ 潘氏夢旂曰, 不言吉凶, 而曰辨是與非, 則吉凶可知矣.
潘氏夢旂반몽기가 말하였다. “吉凶길흉을 말하지 않았으나 “옳음과 그름을 分別분별한다”고 했으니, 吉길함과 凶흉함은 알 수 있을 것이다.”
韓國大全
【조호익(曺好益) 『역상설(易象說)』】
註, 左傳中一處說占得觀卦.
小註소주에서 말한 “『春秋左氏傳춘추좌씨전』에서 觀卦관괘(䷓)를 占점쳐 얻고 說明설명하는 곳에서”에 對대하여
按, 陳公子完之少也, 周太史以周易筮之, 遇觀之否. 曰是謂觀國之光, 利用賓于王. 此其代陳有國乎. 其言卦體曰, 坤, 土也, 巽, 風也, 乾, 天也, 風爲天於土上山也. 有山之材而照之以天光. 蓋本卦三四五爻爲艮之卦, 二三四爻亦爲艮, 故曰山也. 在莊公二十二年.
내가 살펴보았다. 陳진나라의 公子공자 完완이 젊었을 적에 周주나라 太史태사가 『周易주역』으로 占점을 치니, 觀卦관괘(䷓)가 否卦비괘(䷋)로 變변한 占卦점괘가 나왔다. 太史태사가 말하기를, “이 卦괘는 ‘나라의 빛남을 볼 것이니, 王왕의 賓客빈객이 되기에 利이롭다’ 할 것입니다. 이 분이 陳진나라 君主군주를 代身대신해서 나라를 다스릴 것입니다” 하고, 그 卦괘의 몸-體체에 對대해서 말하기를, “坤곤은 흙[土토]이고, 巽손은 바람[風풍]이며, 乾건은 하늘[天천]이니, 바람이 흙 위의 山산에서 하늘이 되는 格격입니다. 또 山산에 材木재목이 있는데, 하늘의 빛이 그것을 비추는 것입니다” 하였다. 大槪대개 本卦본괘는 三爻삼효‧四爻사효‧五爻오효가 艮卦간괘(䷳)의 卦괘가 되고, 否卦비괘(䷋)는 二爻이효‧三爻삼효‧四爻사효가 亦是역시 艮卦간괘(䷳)가 되기 때문에 山산이라고 한 것이다. 이 記事기사는 『春秋左氏傳춘추좌씨전』 莊公장공 二十二年22년 條조에 있다.
【이익(李瀷) 『역경질서(易經疾書)』】
雜物者, 雜互剛柔之物也. 撰德者, 随其物, 而撰成吉凶之德也, 吉便爲是, 凶便爲非. 其要在中爻, 故初上, 則先言初上, 二三四五 則先言九六. 已有輕重之別, 此周公意也. 互卦之義, 由是而起. 如渙未濟初爻言拯者, 爲下坎也, 明夷艮二爻, 亦言拯, 豈非互坎一證耶. 卦雖上下兩軆, 旣合成六爻, 則初上爲始終, 二三四五爲中. 而又以中爻爲備, 此便有互象也. 上下周流, 渾成一軆, 則理宜有此也. 聖人旣云, 四象生八卦, 不曾云八卦生十六, 則加一倍而六畫之說, 吾未敢必信. 若然其第一畫樁定, 爲兩儀之軆, 而自此以外, 莫非分歧做出者, 至六畫其輕重之別, 不過三十二分居一. 然而上下敵應, 未見有參差, 何也. 是其六畫莫非四象之一, 而八卦之上, 重加八卦也. 然聖人又謂兼三才而兩之, 故六, 六者非他, 三才之道也. 三畫本有三才之道, 而至六畫, 則初演爲初 二屬地, 二演爲三四屬人, 三演爲五六屬天. 所謂引而伸之是也.
“事物사물을 섞는다”는 것은 굳센 陽양과 부드러운 陰음의 物件물건을 서로 섞음이다. “德덕을 가려냄”이라는 것은 事物사물을 따라 吉길함과 凶흉함의 德덕을 가려내는 것이니, 吉길함은 곧 옳음이고, 凶흉함은 곧 그름이다. 緊要긴요한 것은 가운데 爻효에 있기 때문에 初爻초효‧上爻상효에서는 먼저 初爻초효와 上爻상효를 말하고, 二爻이효‧三爻삼효‧四爻사효‧五爻오효에서는 먼저 ‘九구’인 陽양과 ‘六육’인 陰음을 말하였다. 이미 輕重경중의 區別구별이 있으니 이것이 周公주공의 뜻이다. 互卦호괘의 뜻은 이로 말미암아 始作시작되었다. 例예컨대 渙卦환괘(䷺)‧未濟卦미제괘(䷿)의 初爻초효에서 ‘건지다’를 말한 것은 下卦하괘인 坎卦감괘(䷜) 때문이니, 明夷卦명이괘(䷣)와 艮卦간괘(䷳) 二爻이효에서도 ‘건지다’를 말한 것이 어찌 互卦호괘인 坎卦감괘(䷜)가 한 證據증거가 아니겠는가? 卦괘가 비록 上軆상체와 下軆하체 두 몸-體체이나 이미 合합하여 여섯 爻효를 이루면 初爻초효와 上爻상효가 처음과 마침이 되고, 二爻이효‧三爻삼효‧四爻사효‧五爻오효는 가운데가 된다. 또 가운데 爻효로 갖춤을 삼는 것 이것이 곧 互象호상이다. 위 아래가 두루 흘러 合합하여 一軆일체가 되니 理致이치에 宜當의당 이런 것이 있다. 聖人성인이 이미 四象사상이 八卦팔괘를 낳는다고 하시고 八卦팔괘가 十六십육을 낳는다고 말씀한 적이 없으니, 한 倍배를 더하여 여섯 畫획을 이룬다는 主張주장을 나는 敢감히 반드시 믿지만은 않는다. 그러나 처음 한 畫획을 確定확정(樁장)하여 兩儀양의의 몸-體체를 만듦에 이 뒤로 나뉘고 갈라져 나오지 않음이 없는 것은 여섯 畫획에는 그 輕重경중의 區別구별이 32/1에 不過불과해서이다. 그런데도 위아래가 알맞게 應응하여 어긋남이 있음을 볼 수 없는 것은 어째서인가? 이것은 여섯 畫획이 四象사상 中에 하나 아님이 없고 八卦팔괘의 위에 八卦팔괘가 거듭 더해져서이다. 그러나 聖人성인이 또 三才삼재를 兼겸하여 둘로 하였기 때문에 여섯이라고 하였으니 여섯이라는 것은 다름이 아니라 三才삼재의 道도이다. 三畫삼획에는 本來본래 三才삼재의 道도가 있어 六畫육획에 이르면, 初爻초효는 敷衍부연(演연)하여 初爻초효와 二爻이효가 되니 땅에 屬속하고, 二爻이효는 敷衍부연(演연)하여 三爻삼효와 四爻사효가 되니 사람에 屬속하며, 三爻삼효는 敷衍부연(演연)하여 五爻오효와 上爻상효가 되니 하늘에 屬속한다. 이른바 당겨서 펼친다는 것이 이것이다.
按, 乾文言, 九三, 上不在天, 下不在田, 其屬人可知. 不然二與五屬人 豈容如是. 三居下卦之上, 四居上卦之下, 本是一畫之演. 而本與上下相連, 故下連於二, 上連於五, 皆成互軆. 雖三連於初二, 爲下卦, 四連於五上, 爲上卦. 亦無所不可也.
내가 살펴보았다. 乾卦건괘(䷀) 「文言傳문언전」에 “九三구삼은 위로 하늘에 있지 못하고 아래로 땅에 있지 못하다”라고 하였으니 사람에 屬속함을 알 수 있다. 그렇지 않고 二爻이효와 五爻오효가 사람에 屬속한다면 어찌 이와같음을 容納용납하겠는가? 三爻삼효는 下卦하괘의 위에 있고 四爻사효는 上卦상괘의 아래에 있으니 本來본래 한 畫획이 敷衍부연한 것이다. 本來본래 위아래와 서로 이어지기 때문에 아래로 二爻이효에 이어지고 위로 五爻오효에 이어지니 모두 互體호체를 이룬다. 비록 三爻삼효가 初爻초효와 二爻이효에 이어져서 下卦하괘가 되고, 四爻사효가 五爻오효와 上爻상효에 이어져서 上卦상괘가 되는 것도 안 될 것이 없다.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雜物 [至] 不僃
事物사물을 섞음과…갖춰지지 못할 것이다
雙湖胡氏曰, 物, 謂內外卦陰陽二物, 雜, 謂自其中四爻雜而互之. 又自成兩卦之德也, 故謂之撰.
雙湖胡氏쌍호호씨가 말하였다. “事物사물은 內卦내괘‧外卦외괘에 있는 陰陽음양 두 事物사물을 이르고, 섞임[雜잡]은 가운데 네 爻효가 섞이고 사귀는 것을 이른다. 또 스스로 두 卦괘의 德덕을 이루기 때문에 가려냄[撰찬]이라고 한다.”
○ 案, 初上二爻, 爲卦之終始, 必擧其終始而後, 成卦體. 然逐爻各有時物之不同, 若語其時與物之用, 則非初上之所能盡也. 初上旡位, 中四爻有位, 必須於有位之爻求之, 乃見其僃. 如下文二與四三與五, 同功異位是也. 若先儒互體之說, 朱子每攻斥之, 而又云此說亦不可廢, 是指中爻而言也. 然豈如漢上雙湖諸儒穿鑿附會哉.
내가 살펴보았다. 初爻초효와 上爻상효 두 爻효가 卦괘의 마침과 始作시작이 되니, 반드시 마침과 始作시작을 든 뒤에 卦軆괘체를 이룬다. 그러나 매(逐축, 次例차례대로) 爻효는 各各각각 때와 事物사물의 같지 않음이 있으니, 萬一만일 때와 事物사물의 쓰임으로 말한다면 初爻초효와 上爻상효가 다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初爻초효와 上爻상효는 地位지위가 없고 가운데 네 爻효는 地位지위가 있으니 반드시 地位지위가 있는 爻효에서 求구한다면 갖춰짐을 볼 것이다. 아래 글의 “二爻이효와 四爻사효, 三爻삼효와 五爻오효가 功效공효는 같으나 자리가 다르다”는 것이 이것이다. 先儒선유들이 主張주장한 互體說호체설 같은 것은 朱子주자가 每樣매양 攻擊공격하여 排斥배척하였으나 또 이 說설을 廢止폐지할 수는 없을 듯하다고 하였으니, 이는 가운데 爻효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그러나 朱子주자의 主張주장이 어찌 漢上朱氏한상주씨나 雙湖胡氏쌍호호씨처럼 穿鑿천착하고 牽强附會견강부회한 것이겠는가?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此謂卦中四爻分, 而爲互體也. 物者, 爻之剛柔, 雜者, 兩相雜而互之也. 德者, 卦之德, 撰者, 述也. 內外二卦與六爻, 皆有物有德, 如屯之爲卦, 內有震動之德, 外有坎陷之德, 而剛柔雜而互之, 則中爻之二與四, 有坤順之德, 三與五, 有艮止之德, 故辨其物與德之是非. 是者, 得其當也 非者, 不得其當也. 蓋爻有中有不中, 有正有不正, 有應有无應, 有比有无比, 則必有是非矣, 故徒以正卦觀之, 遺其合卦所互之體, 則其義必有不備者矣.
이 글은 卦괘 가운데 네 爻효가 나뉘어 互體호체가 됨을 이른다. 事物사물은 爻효의 剛柔강유이고, 섞음[雜잡]은 둘이 섞여서 어울리는 것이다. 德덕은 卦괘의 德덕이고, 撰찬은 稱述칭술함이다. 內卦내괘와 外卦외괘 두 卦괘와 여섯 爻효는 모두 事物사물이 있고 德덕이 있으니, 例예컨대 屯준이라는 卦괘는 內卦내괘에 우레가 움직이는 德덕이 있고, 外卦외괘에 구덩이에 빠지는 德덕이 있어서, 剛柔강유가 섞여서 어울리니, 가운데 爻효인 二爻이효와 四爻사효에 坤卦곤괘(䷁)의 順순한 德덕이 있고, 三爻삼효와 五爻오효에 艮卦간괘(䷳)의 그치는 德덕이 있기 때문에 그 事物사물과 德덕의 옳음과 가름을 分別분별한다. 옳음이란 마땅함을 얻은 것이고, 그름이란 마땅함을 얻지 못한 것이다. 大槪대개 爻효에는 中중이 있고 不中부중이 있으며,[주 283] 正정이 있고 不正부정이 있으며,[주 284] 應응이 있고 无應무응이 있으며,[주 285] 比비가 있고 无比무비가 있으니,[주 286] 반드시 옳음과 그름이 있기 때문에 한갓 正卦정괘로만 살펴서 互體호체로 合합해진 卦괘를 빠뜨린다면 그 意味의미를 반드시 갖추지 못함이 있을 것이다.
283) 上卦상괘의 가운데인 二爻이효의 자리와 下卦하괘의 가운데인 五爻오효의 자리를 中중이라고 하고, 나머지 爻효의 자리는 不中부중이라 한다. |
284) 여섯 爻효에서 陽양의 자리에 陽爻양효가 오면 正정이라 하고, 그렇지 않으면 不正부정이라 한다. |
285) ‘初爻초효와 四爻사효’, ‘二爻이효와 五爻오효’, ‘三爻삼효와 上爻상효’의 爻효가 各各각각 陰陽음양의 짝을 이루면 應응이라 하고, 그렇지 않으면 无應무응이라 한다. |
286) 위아래의 爻효가 陰陽음양을 이루고 있으면 比비라 하고, 그렇지 않으면 无比무비라 한다. |
【윤종섭(尹鍾燮) 『경(經)-역(易)』】
卦之取象, 亦多變換, 有互變正反之不同, 有伏似錯綜之有異. 隨卦異象, 逐爻隨宜, 大傳曰, 則非其中爻不備者, 蓋以是夫.
卦괘가 象상을 取취하는 것도 變換변환이 많아, 互호‧變변‧正정‧反반의 같지 않음이 있고, 伏복‧似사‧錯착‧綜종의 다름이 있는 것도 있다. 卦괘를 따라 象상을 달리하고, 爻효마다 마땅함을 따르니 「繫辭下傳계사하전」에서 “가운데 爻효가 아니면 갖춰지지 못할 것이다”라는 것이 大槪대개 이 때문일 것이다.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此言卦中四爻也. 雜, 謂錯雜也, 物, 謂陰陽也. 撰者, 述也, 德, 謂健順動止之類也. 辨者, 分別也. 當乎理者曰是, 悖乎理者曰非. 如中正而有理則爲是, 不中正而旡理則爲非之類也. 中爻者二三四五, 而以全卦言, 則在乎初上兩爻之中, 以內外二卦言, 則二爲內卦之中, 五爲外卦之中, 以互體言, 則三爲內體之中, 四爲外體之中, 故合以言之曰中爻也. 凡卦內外, 旣有本卦之體, 又有互卦之體, 而各有陰陽之相雜焉, 各有其德之可述焉. 如屯之外卦, 是坎有陷之德, 內卦是震有動之德, 此則本體也. 以陰陽雜而互之, 則二四有坤順之德, 三五有艮止之德, 此乃互體也. 但以本體觀之, 而遺其互體, 則其義不備, 徒以互體言之, 而遺其本體, 則其義亦有不備者矣. 故中爻者, 合本體互體而言也.
이 글은 卦괘 가운데 네 爻효를 말하였다. 雜잡은 섞임을 이르고 物물은 陰陽음양을 이른다. 撰찬이라는 것은 稱述칭술함이고, 德덕은 剛健강건함‧柔順유순함‧움직임‧그침의 部類부류를 이른다. 辨변이라는 것은 分別분별함이다. 理致이치에 마땅한 것을 是시라 하고, 理致이치에 어긋난 것을 非비라한다. 例예컨대 中正중정하여 理致이치에 맞음이 있으면 是시이고, 中正중정하지 못하여 理致이치에 맞음이 없으면 非비가 되는 部類부류이다. 가운데 爻효[中爻중효]라는 것은 二爻이효‧三爻삼효‧四爻사효‧五爻오효이니, 全體전체의 卦괘로 말하면 初爻초효‧上爻상효 두 爻효의 가운데 있는 것이고, 內卦내괘‧外卦외괘 두 卦괘로 말하면 二爻이효는 內卦내괘의 가운데이고, 五爻오효는 外卦외괘의 가운데이며, 互體호체로 말하면 三爻삼효는 內體내체의 가운데이고, 四爻사효는 外體외체의 가운데이기 때문에, 合합하여 말하기를 “가운데 爻효”라고 하였다. 모든 卦괘의 안과 밖은 이미 本卦본괘의 몸-體체가 있고, 또 互卦호괘의 몸-體체가 있어서 各各각각 陰陽음양이 서로 섞임이 있고, 各各각각 稱述칭술할 만한 德덕이 있다. 例예컨대 屯卦준괘(䷂)의 外卦외괘는 坎卦감괘(䷜)의 빠지는 德덕이 있고, 內卦내괘는 震卦진괘(䷲)의 움직임이 있는 德덕이 있으니 이것이 곧 ‘本體본체’이다. 陰陽음양이 섞여서 어울리면 二爻이효부터 四爻사효까지는 坤卦곤괘(䷁)의 順순한 德덕이 있고 三爻삼효부터 五爻오효까지는 艮卦간괘(䷳)의 그치는 德덕이 있으니 이것이 바로 ‘互體호체’이다. 本體본체로만 살피고 互體호체를 빠뜨리면 그 意味의미가 갖추어지지 않을 것이며, 互體호체로만 말하고 本體본체를 빠뜨리면 그 意味의미가 또한 갖춰지지 못할 것이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가운데 爻효’라는 것은 本體본체와 互體호체를 合합하여 말한 것이다.
=====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9장(第九章)_4절
p.489 【經文】 =====
噫. 亦要存亡吉凶, 則居可知矣, 知者觀其彖辭, 則思過半矣.
아! 또한 存亡존망과 吉凶길흉을 살피고자 하면 가만히 있어도 알 수 있겠지만, 知慧지혜로운 이가 彖辭단사를 보면 생각이 半반을 넘을 것이다.
中國大全
p.489 【本義】 =====
彖, 統論一卦六爻之體.
‘彖단’은 한 卦괘 여섯 爻효의 全體전체를 合합쳐 論논한 것이다.
p.489 【小註】 =====
臨川吳氏曰, 上文旣分言初上二爻及中四爻, 此又總六爻言之. 噫, 嘆美辭. 存亡者, 陰陽之消息, 吉凶者, 事情之得失. 要其存亡吉凶之所歸, 則六爻之義居然易見, 可指掌而知矣. 又謂知者能見事於未形, 雖不觀各爻之義, 但觀卦首之彖辭, 則所思已得十分之五六矣. 蓋彖辭或論二體, 或論主爻, 或論卦變相易之爻. 是以不待觀六爻而已可見也. 章首第一句言彖, 第二句總言六爻, 此一節又總言六爻, 而復歸重於彖, 蓋爲結語與章首起語相始終. 下文則又更端而言中四爻也.
臨川吳氏임천오씨가 말하였다. “위의 글에서 이미 初爻초효와 上爻상효 두 爻효 및 가운데의 네 爻효를 나누어 말하고, 여기서 다시 여섯 爻효를 總括총괄하여 말하였다. ‘噫희’는 感歎詞감탄사이다. ‘存亡존망’은 陰陽음양의 사라짐과 자라남이고, ‘吉凶길흉’은 事情사정의 얻음과 잃음이다. 그 存亡존망과 吉凶길흉의 歸結귀결을 살피려 한다면 六爻육효의 意味의미에 가만히 쉽게 나타나니, 손바닥을 가리키듯 알 것이다. 또 知慧지혜로운 이는 일이 이루어지지 않았어도 알 수 있다고 했으니, 비록 各각 爻효의 意味의미를 보지 않더라도 다만 卦괘의 첫머리인 彖辭단사만 본다면, 생각이 이미 열에 다섯‧여섯을 얻을 것이다. 大體대체로 彖辭단사는 (卦괘의) 두 몸-體체를 論논하기도 하고, 主주된 爻효를 論논하기도 하고, 卦괘가 變변하여 서로 바뀌는 爻효를 論논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六爻육효를 보지 않더라도 이미 알 수 있는 것이다. 章장 첫머리의 첫 句節구절에서 彖辭단사를 말하고, 둘째 句節구절에서 六爻육효를 總括총괄하여 말했는데, 이 節절에서는 다시 六爻육효를 總括총괄해서 말하고는 다시 彖辭단사로 重點중점을 돌렸으니, 大體대체로 結語결어가 되어서 章장 첫머리의 序言서언과 서로 始終시종이 된다. 아래 글에서는 또다시 仔細자세히 하여 가운데의 네 爻효를 말하였다.”
○ 括蒼龔氏曰, 彖者, 原始要終, 以爲質者也. 故智者觀之, 无待於爻. 蓋所要愈約, 則所知愈易. 中四爻者, 六爻之要, 而彖者, 又一卦之要也.
括蒼龔氏괄창공씨가 말하였다. “彖辭단사는 始作시작을 찾아내고 마침을 간추려서 바탕을 삼은 것이다. 그러므로 知慧지혜로운 이는 이것을 보고 爻효를 依支의지하지 않는다. 大體대체로 살피려는 것이 簡略간략할수록 아는 것은 그만큼 쉽다. 가운데의 네 爻효는 여섯 爻효의 槪要개요이고, 彖辭단사는 다시 한 卦괘의 槪要개요이다.”
韓國大全
【권근(權近) 『주역천견록(周易淺見錄)』】
居, 位也. 所居之位, 有正有不正, 而吉凶存亡之象著矣. 後章所謂剛柔雜居, 而吉凶可見是[주 287]也. 吳氏謂坐而可知非矣.
居거는 자리이다. 있는 자리에 바르고 바르지 않음이 있어 吉凶길흉과 存亡존망의 象상이 드러난다. 뒷 章장에서 이른바 “굳셈과 부드러움이 섞여 있음에 吉길과 凶흉이 定정해짐을 볼 수 있을 것이다”고 한 것이 이것이다. 吳氏오씨가 “앉아서 알 수 있다”고 한 것은 잘못이다.
287) 是시:경학자료집성 DB와 影印本영인본에 定정으로 되어 있으나, 「繫辭下傳계사하전」十二章12장에 “八卦以象告, 爻彖以情言, 剛柔雜居, 而吉凶可見矣”에 根據근거하여 ‘是시’로 바로잡았다. |
【이익(李瀷) 『역경질서(易經疾書)』】
君子居, 則觀其象, 而玩其辭, 存亡吉凶之理, 不待占而可知. 故繼之云, 知者觀其彖辭, 思過半矣. 此申釋其可知之由也, 非有二事也.
君子군자가 居處거처할 때는 象상을 살피고 말을 玩味완미하니, 存亡존망과 吉凶길흉의 理致이치를 占점치기를 기다리지 않아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어서 “知慧지혜로운 이가 彖辭단사를 보면 생각이 半반을 넘을 것이다” 라고 하였다. 이 글은 알 수 있는 理由이유를 거듭 解釋해석한 것이니 두 가지 일이 있는 것이 아니다.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噫亦 [至] 半矣
아 또한 … 半반을 넘을 것이다
漢上朱氏曰, 噫, 中卦六爻之意, 亦要諸吉凶存亡之辭而已. 有同位而異物, 同物而異象, 同象而異辭, 要諸辭, 則四者不同, 居然易見, 可指掌而知矣. 六爻變動相錯, 而有吉凶存亡者矣. 彖辭者, 合內外二體, 以一爻相變而有者也. 知者, 明於理, 則觀諸彖辭, 而爻義已知其過半矣
漢上朱氏한상주씨가 말하였다. “아! 卦괘 안의 여섯 爻효의 뜻도 吉凶길흉과 存亡존망의 말로 살필 수 있을 뿐이다. 地位지위는 같으나 事物사물은 다르고, 事物사물은 같으나 象상은 다르며, 象상은 같으나 말은 다른 것이 있으니, 말로 살핀다면 네 가지가 같지 않음이 가만히 있어도 쉽게 드러나 손바닥을 가리키는 것처럼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여섯 爻효가 變動변동하여 서로 갈마들어 吉凶길흉과 存亡존망이 있는 것이다. 彖辭단사는 內卦내괘‧外卦외괘 두 몸-體체를 合합하여 한 爻효가 서로 變변하는 것으로 있게 된 것이다. 知慧지혜로운 이는 理致이치에 밝으니 彖辭단사를 보면 爻義효의에 對대하여 이미 아는 것이 半반을 넘을 것이다.”
○ 開封耿氏曰, 雜物撰德, 辨是與非, 大致所貴, 不出乎存亡吉凶而已. 所以觀是非之要, 在存亡吉凶, 所以觀存亡吉凶之要, 在觀彖辭而已.
開封耿氏개봉경씨가 말하였다. “事物사물을 섞음과 德덕을 가려냄과, 옳음과 그름을 分別분별함은, 大部分대부분 貴귀하게 여기는 것이 存亡존망과 吉凶길흉에서 벗어나지 않을 뿐이다. 이 때문에 옳음과 그름을 보는 要點요점은 存亡존망과 吉凶길흉에 있고, 存亡존망과 吉凶길흉을 보는 要點요점은 彖辭단사를 보는 데 있을 뿐이다.”
【송능상(宋能相) 「계사전질의(繫辭傳質疑)」】
噫, 亦要存亡吉凶, 則居可知矣, 此二句, 必有脫誤. 蓋其意, 則似以爲六爻時物, 各因所遇, 而存亡吉凶, 可得知之云爾.
“아! 또한 存亡존망과 吉凶길흉을 살피고자 한다면 가만히 있어도 알 수 있겠지만”이라고 한 두 句구에 반드시 脫字탈자나 誤字오자가 있을 것이다. 그 뜻은 여섯 爻효의 때와 事物사물이 各各각각 만나는 것으로 因인하여 存亡존망과 吉凶길흉을 알 수 있을 뿐이라고 여긴 듯하다.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彖統論一卦六爻之體, 居卽居, 則觀其象之居. 存亡者, 天道之消息, 吉凶者, 人事之得失.
彖단은 한 卦괘 여섯 爻효의 몸-體체를 統合통합하여 論논한 것이며, 居거는 곧 居處거처함이니 그 象상이 居處거처함을 보는 것이다. 存亡존망이라는 것은 天道천도가 사라지고 자라는 것이며, 吉凶길흉이라는 것은 人事인사가 잘 되고 못되는 것이다.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上文旣言卦彖及爻辭, 故此又賛歎, 而更端爲言也. 噫者, 歎辭也, 要, 謂察也. 陰陽之消息曰存亡, 事理之得失曰吉凶. 居者猶居然之意, 謂不待深究也, 思, 語辭也, 言欲察一卦之所言存亡吉凶, 則不待細究諸爻之義, 而居然易知. 蓋智者觀聖人所繫之彖, 則或論卦體卦德, 或論主爻及變易之體而爲辭, 故未及盡觀六爻, 而卦情已得十分之五六矣. 章首第一句言彖, 第二句言六爻, 第二節言初上兩爻, 第三節言二三四五之爻, 此節又總言一卦, 而歸重於彖, 以起下文.
윗글에서 이미 卦괘와 彖단과 爻辭효사에 對대하여 말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또 稱讚칭찬하고 感歎감탄하여 端緖단서를 바꾸어 말하였다. ‘噫희’는 感歎감탄사이고, ‘要요’는 살핌을 이른다. 陰陽음양이 사라지고 자라는 것을 存亡존망이라 하고, 일의 理致이치가 잘되고 못되는 것을 吉凶길흉이라 한다. ‘居거’는 居然거연의 뜻과 같으니 깊이 探究탐구하기를 기다리지 않음을 이르고, ‘思사’는 語助辭어조사이니, 한 卦괘가 말하는 存亡존망과 吉凶길흉을 살피고자 한다면, 여러 爻효의 뜻을 仔細자세히 살피지 않아도 居然거연히 쉽게 알 수 있다는 말이다. 大體대체로 知慧지혜로운 者자가 聖人성인이 붙인 彖단을 살피면, 때로는 卦軆괘체와 卦德괘덕을 論논하고 때로는 主주된 爻효와 變易변역의 몸-體체를 論논하여 말하기 때문에, 여섯 爻효를 다 살피기 前전에 卦괘의 實情실정을 이미 열에 다섯‧여섯을 알 수 있다. 九章9장 앞머리의 첫째 句구는 ‘彖단’에 對대해 말했고, 둘째 句구는 여섯 爻효에 對대해 말했으며, 第二節제2절은 初爻초효‧上爻상효 두 爻효에 對대해 말했고, 第三節제3절은 二爻이효‧三爻삼효‧四爻사효‧五爻오효에 對대하여 말했으며, 이 節절에서는 또 한 卦괘를 總括총괄하여 말하여, 重要중요함을 彖단에 歸結귀결시켜 아래 글을 提起제기하였다.
=====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9장(第九章)_5절
p.490 【經文】 =====
二與四, 同功而異位, 其善不同, 二多譽, 四多懼, 近也. 柔之爲道, 不利遠者, 其要无咎, 其用柔中也.
二爻이효와 四爻사효는 功效공효는 같으나 자리가 달라서 善선함이 같지 않으니, 二爻이효에 稱讚칭찬이 많고 四爻사효에 두려움이 많은 것은 五爻오효와 가깝기 때문이다. 부드러운 陰음의 道도는 멀리 있는 것이 利이롭지 않으나 그 槪要개요에 허물이 없는 것은 부드러운 陰음으로 가운데이기 때문이다.
中國大全
p.490 【本義】 =====
此以下, 論中爻. 同功, 謂皆陰位, 異位, 謂遠近不同. 四近君, 故多懼. 柔不利遠而二多譽者, 以其柔中也.
여기부터는 가운데의 爻효들을 論논했다. ‘일이 같음’은 모두 陰음의 자리임을 말하고, ‘자리가 다름’은 멀고 가까움이 다름을 말한다. 四爻사효는 임금과 가까우므로 두려움이 많다. 부드러운 陰음은 멀리 있음이 利이롭지 않지만 二爻이효에 稱讚칭찬이 많은 것은 그것이 부드러운 陰음으로 가운데이기 때문이다.
p.490 【小註】 =====
或問, 其要无咎, 其用柔中也, 近君則當柔和, 遠去則當有强毅剛果之象始得, 此二之所以不利, 然而居中, 所以无咎. 朱子曰, 也是恁地說.
어떤 이가 물었다. “그 槪要개요가 허물이 없음은 부드러운 陰음으로 가운데이기 때문이다”는, 임금에 가까우면 부드럽게 和合화합해야 하고 멀리 떨어지면 굳세고 剛健강건한 象상이 있어야만 하는 이것이 二爻이효가 利이롭지 않은 까닭이지만 가운데 있기에 허물이 없다는 것입니까?”
朱子주자가 答답하였다. “또한 그렇게 말한 것입니다.”
○ 潘氏夢旂曰, 二與四, 功同乎陰, 而位有內外之異. 二遠於君, 雖在下而多譽, 四近於君, 雖在上而多懼. 然陰柔之道, 遠則難援. 二之遠而大要无咎者, 以其雖柔而居下體之中也.
潘夢旂반몽기가 말하였다. “二爻이효와 四爻사효는 일이 陰음으로 같지만, 자리에는 안과 밖의 差異차이가 있다. 二爻이효는 임금에게서 멀리 있으니 비록 밑에 있어도 稱讚칭찬이 많고, 四爻사효는 임금에게 가까우니 비록 위에 있어도 두려움이 많다. 그러나 陰음의 柔順유순한 道도는 멀리 있으면 救援구원하기 어렵다. 二爻이효가 멀리 있어도 大要대요가 허물이 없는 것은 그것이 비록 柔順유순하여도 下卦하괘 몸-體체의 가운데에 있기 때문이다.”
○ 雲峰胡氏曰, 上文雜物撰德, 是謂中爻之互體, 此則論中爻之本體. 二與四爲陰, 陰以降爲用. 故不成乎四, 退而成乎二. 柔雖不利遠者, 二陰成而得中, 故多譽, 四近君, 若陰柔未成而不中, 故多懼.
雲峰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윗글의 ‘事物사물을 섞음과 德덕을 가려냄’은 가운데 爻효의 互體호체를 말하는 것이고, 이것은 가운데 爻효의 本體본체를 論논한 것이다. 二爻이효와 四爻사효는 陰음이 되는데, 陰음은 내려옴을 作用작용으로 한다. 그러므로 四爻사효에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물러나 二爻이효에서 이루어진다. 부드러운 陰음은 비록 멀리 있는 것이 利이롭지 않지만, 二爻이효는 陰음이 이루어지고 가운데를 얻었으므로 稱讚칭찬이 많고, 四爻사효는 임금과 가까워도 바로 陰음의 柔順유순함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고 가운데가 아니므로 두려움이 많은 것이다.”
○ 魯齋許氏曰, 二與四, 皆陰位也. 四雖得正, 而猶有不中之累, 況不得其正者乎. 二雖不正, 猶有得中之美, 况正而得中者乎. 四近君之臣也, 二遠君之臣也. 其勢又不同, 此二之所以多譽, 四之所以多懼也.
魯齋許氏노재허씨가 말하였다. “二爻이효와 四爻사효는 모두 陰음의 자리이다. 四爻사효에 비록 陰음이 오더라도 如前여전히 가운데가 아니라는 허물이 있거늘, 하물며 陰음이 오지 않은 것이랴? 二爻이효에 비록 陰음이 오지 않더라도 그래도 가운데를 얻었다는 아름다움이 있거늘, 하물며 陰음이 오면서 가운데를 얻은 것이랴? 四爻사효는 임금과 가까운 臣下신하이고, 二爻이효는 임금에게 멀리 있는 臣下신하이다. 그 形勢형세가 또한 같지 않으니, 이것이 二爻이효가 稱讚칭찬이 많고 四爻사효가 두려움이 많은 까닭이다.”
韓國大全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二與 [至] 多懼
二爻이효와…두려움이 많은 것은
案, 二四同功, 以陰言也. 二譽四懼, 亦主陰爻言之, 而以剛居之, 亦多譽多懼.
내가 살펴보았다. 二爻이효와 四爻사효가 功效공효가 같다는 것은 陰음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 二爻이효는 稱讚칭찬이 많고 四爻사효는 두려움이 많다는 것도 陰爻음효를 爲主위주로 말하였으나, 굳센 陽양으로서 그 자리에 있는 것도 稱讚칭찬이 많고 두려움이 많다.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此以下論中爻之二四也. 同功, 謂皆陰位也, 異位, 謂各居內外也. 四多懼者, 以其近君也, 柔不利遠, 而二多譽者, 以其柔中也.
이 글 以下이하는 가운데 爻효에서 二爻이효와 四爻사효를 論논하였다. ‘功效공효가 같음’은 모두 陰음의 자리임을 이르고, ‘자리가 다름’은 各各각각 內卦내괘와 外卦외괘에 居거함을 이른다. 四爻사효에 두려움이 많은 것은 임금과 가깝기 때문이고, 부드러움은 멀리 있는 것이 利이롭지 않으나 二爻이효에 稱讚칭찬이 많은 것은 부드러움이 가운데 있기 때문이다.
【심대윤(沈大允) 『주역상의점법(周易象義占法)』】
二四, 皆居柔位而人臣也, 故曰柔.
二爻이효와 四爻사효는 모두 부드러운 陰음의 자리에 있고 臣下신하에 該當해당하기 때문에 “부드러움[柔유]”이라고 하였다.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自此以下, 承上文, 而論二三四五之爻位也. 二四皆陰位, 故曰同功, 二居內體, 四居外體, 故曰異位. 二得中, 而四不得中, 故曰其善不同. 多譽者, 謂多賛譽之辭也, 多懼者, 謂多戒懼之辭也. 近, 謂近於君也, 遠, 謂遠於君也. 要者, 大要也, 用者, 功用也. 四, 以柔居陰, 雖得其正, 而以其不中, 而近君, 故猶有其懼, 况以剛居陰而不中不正者乎. 此所以多懼也. 二遠乎君, 殊非以陰從陽之道, 則居二之陰位者, 宜若不利. 然雖以剛居二, 而猶爲旡咎者, 以陰位之得中也, 况以柔居陰, 俱得中正者乎. 此所以多譽也.
이 글 以下이하에서는 윗글을 이어 二爻이효‧三爻삼효‧四爻사효‧五爻오효의 자리에 對대해 論논하였다. 二爻이효와 四爻사효는 모두 陰음의 자리이기 때문에 “功效공효가 같다”고 하였고, 二爻이효는 內體내체에 있고 四爻사효는 外體외체에 있기 때문에 “자리가 다르다”고 하였다. 二爻이효는 가운데 자리를 얻고 四爻사효는 가운데 자리를 얻지 못하였기 때문에 “善선함이 같지 않다”고 하였다. 稱讚칭찬이 많다는 것은 稱讚칭찬의 말이 많음을 이르고, 두려움이 많다는 것은 警戒경계하고 두려워하는 말이 많음을 이른다. 가까움[近근]은 임금의 자리에서 가까움을 이르고, 멂[遠원]은 임금의 자리에서 멂을 이른다. 要요라는 것은 大要대요이고, 用용이라는 것은 功用공용이다. 四爻사효는 柔유로서 陰음의 자리에 있으니 비록 바른 자리를 얻었더라도 가운데 자리가 아니면서 임금의 자리와 가깝기 때문에 오히려 두려움이 있는 것이거늘 하물며 굳센 陽양으로 陰음의 자리에 있으면서 가운데 자리도 아니고 바른 자리도 아닌 者자는 어떻겠는가? 이것이 두려움이 많은 理由이유이다. 二爻이효는 임금의 자리에서 멀어 자못 陰음으로서 陽양을 따르는 道理도리가 아니니, 二爻이효의 陰음의 자리에 있는 것이 宜當의당 利이롭지 않을 듯하다. 그러나 굳센 陽양으로서 二爻이효의 자리에 있는데도 오히려 허물이 없음이 되는 것은 陰爻음효의 자리가 가운데를 얻었기 때문이니, 하물며 부드러운 陰음으로서 陰음의 자리에 있어서 ‘가운데’와 ‘바름’을 갖추어 얻은 者자는 어떻겠는가? 이것이 稱讚칭찬이 많은 理由이유이다.
=====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9장(第九章)_6절
p.491 【經文】 =====
三與五, 同功而異位, 三多凶, 五多功, 貴賤之等也, 其柔危, 其剛勝耶.
三爻삼효와 五爻오효는 功效공효는 같으나 자리가 달라서 三爻삼효에 凶흉함이 많고 五爻오효에 功績공적이 많은 것은 貴귀하고 賤천한 等級등급 때문이니, 부드러운 陰음은 危殆위태롭고 굳센 陽양은 이겨낼 것이다.
中國大全
p.491 【本義】 =====
三五, 同陽位而貴賤不同. 然以柔居之則危, 唯剛則能勝之.
三爻삼효와 五爻오효가 똑같이 陽양의 자리지만 貴귀하고 賤천함이 같지 않다. 그러나 부드러운 陰음이 자리하면 危殆위태롭고, 오직 굳센 陽양이라야 이겨낼 수 있다.
p.491 【小註】 =====
潘氏夢旂曰, 三與五, 功同乎陽, 而位有貴賤之異. 三以臣之賤, 而居下卦之上, 故多凶, 五以君之貴, 而居上體之中, 故多功. 然五君位也, 柔居之則危, 剛居之則能勝其事. 故六居五多危, 九居五多吉也.
潘夢旂반몽기가 말하였다. “三爻삼효와 五爻오효는 일이 陽양으로 같지만, 자리에는 貴귀함과 賤천함의 差異차이가 있다. 三爻삼효는 臣下신하의 賤천함으로 下卦하괘의 위에 있으므로 凶흉함이 많고, 五爻오효는 임금의 貴귀함으로 上卦상괘의 가운데에 있으므로 功績공적이 많다. 그러나 五爻오효는 임금의 자리이니, 부드러운 陰음이 자리하면 危殆위태하고 굳센 陽양이 자리하면 그 일을 堪當감당할 수 있다. 그러므로 陰음[六육]이 五爻오효에 자리하면 危殆위태함이 많고, 陽양[九구]이 五爻오효에 자리하면 吉길함이 많은 것이다.”
○ 雲峰胡氏曰, 三與五爲陽, 陽以升爲用. 故不成乎三, 獨進而成乎五. 五爲貴, 又陽剛成而得中, 故多功, 三爲賤, 又陽剛未成而不中, 故多凶. 其柔危, 其剛勝, 專爲三言也. 於四不曰其剛危者, 九居四, 猶爲剛而能柔者. 危者, 六居三, 則才柔而志剛, 所以危也.
雲峰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三爻삼효와 五爻오효는 陽양이 되는데, 陽양은 올라감을 作用작용으로 한다. 그러므로 三爻삼효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홀로 나아가 五爻오효에서 이루어진다. 五爻오효는 貴귀함이 되는데 또 陽양의 槪要개요함이 이루어지고 가운데를 얻었으므로 功績공적이 많으며, 三爻삼효는 賤천함이 되는데 또 陽양의 槪要개요함이 이루어지지 않고 가운데가 아니므로 凶흉함이 많다. “부드러운 陰음은 危殆위태롭고 굳센 陽양은 이겨낼 것이다”는 專的전적으로 三爻삼효 때문에 말한 것이다. 四爻사효에서 ‘굳센 陽양이 危殆위태로움’을 말하지 않은 것은 陽양[九구]이 四爻사효에 있으면 오히려 剛강하면서도 부드러울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危殆위태한 것은 陰음[六육]이 三爻삼효에 있는 것이니, 才質재질이 부드러우면서 뜻은 굳세기에 危殆위태로운 것이다.”
○ 魯齋許氏曰, 上卦之中, 乃人君之位也, 一卦之德, 莫精於此. 在乾則剛健而斷, 在坤則重厚而順, 未或有先之者, 至於坎險之孚誠, 離麗之文明, 巽順於理, 艮篤於實, 皆能首出乎庶物, 不問何時, 克濟大事, 傳謂五多功者此也. 獨震忌强輔, 兌比小人, 於君道爲未善, 觀其戒之之辭則可知矣.
魯齋許氏노재허씨가 말하였다. “上卦상괘의 가운데는 바로 임금의 자리이니, 한 卦괘의 德덕이 이보다 아름다운 것이 없다. 乾卦건괘(䷀)의 槪要개요하면서 決斷결단함과 坤卦곤괘(䷁)의 重厚중후하면서 順應순응함은 或是혹시라도 于先우선하는 것이 없어서, 坎卦감괘(䷜)의 險難험난한 中에 믿고 誠實성실함과 離卦이괘(䷝)의 文明문명한 德덕으로 걸려 있음과 巽卦손괘(䷸)의 理致이치를 따름과 艮卦간괘(䷳)의 實情실정에 敦篤돈독함에까지 모두 萬物만물 中에 으뜸으로 나와 어느 때를 莫論막론하고 큰 일을 救濟구제할 수 있으니, 「繫辭傳계사전」의 “五爻오효는 功績공적이 많다”는 것이 이것이다. 다만 震卦진괘(䷲)의 (九四구사의) 强강한 輔弼보필을 猜忌시기함과 兌卦태괘(䷹)의 (上六상육의) 小人소인을 가까이 함은 임금의 道도에는 좋지 않으니, 그것을 警戒경계시키는 말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右第九章
以上이상은 第九章제9장이다.
雙湖胡氏曰, 此章專論爻畫以示人, 首論六爻之始終, 次論爻之初上, 又次論中四爻, 因及彖辭. 末則申論中四爻, 分二四三五, 陰陽而論, 以見遠近貴賤安危之不同, 而剛柔之用亦異. 其致意在中四爻, 而四爻之中所主, 又在二五, 居二體之中也.
雙湖胡氏쌍호호씨가 말하였다. “이 章장은 專的전적으로 爻효의 畫획을 論논하여 사람들에게 보였다. 처음에는 六爻육효의 始作시작과 마침을 論논하였고, 다음에는 初爻초효와 上爻상효를 論논하였으며, 再次재차 가운데의 네 爻효를 論논하고는 그대로 바로 彖辭단사를 言及언급하였다. 끝에서는 가운데의 네 爻효를 거듭 論논하였는데, 二爻이효‧四爻사효와 三爻삼효‧五爻오효를 나누어 陰陽음양으로 論논하면서 멂과 가까움, 貴귀함과 賤천함, 편안함과 危殆위태함이 같지 않고, 剛柔강유의 作用작용도 다름을 드러냈다. 意圖의도한 것은 가운데의 네 爻효에 있고, 네 爻효 가운데 主주가 되는 것은 다시 二爻이효와 五爻오효에 있으니, 두 몸-體체의 가운데이기 때문이다.”
韓國大全
【송시열(宋時烈) 『역설(易說)』】
第九章
第九章제9장이다.
言觀辭用爻之法, 不言初六爻者, 初者, 事之始, 六者, 事之終, 而不可以主卦故也.
말을 살펴 爻효를 쓰는 方法방법을 말함에 初爻초효와 上爻상효를 말하지 않은 것은 初爻초효는 일의 始作시작이고, 上爻상효는 일의 마침이어서 卦괘를 主管주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익(李瀷) 『역경질서(易經疾書)』】
君子動, 則觀其變, 而玩其占. 二四三五, 卽爻辭之可占者也. 二四陰位, 故惟柔有功, 三五陽位, 故惟剛有功. 故曰同功也. 以文勢相勘, 下云三多凶, 五多功, 貴賤之等也, 此當云二多譽, 四多懼, 遠近之勢也. 四近, 故多懼, 二遠 故多譽, 而不利於遠, 故其要只得旡咎. 鮮有吉占, 其用則又得中也. 下云其柔危其剛勝耶, 此當云其剛危其柔勝也. 三五同功, 而五貴, 故多功, 三賤, 故多凶. 上云其要旡咎其用柔中也, 此當云其要多吉其用則剛中也.
君子군자가 움직일 때는 變化변화를 살피고 占점을 玩味완미한다. 二爻이효와 四爻사효, 三爻삼효와 五爻오효는 바로 占점칠 만한 爻辭효사이다. 二爻이효와 四爻사효는 陰음의 자리이기 때문에 부드러운 陰음만이 功공이 있고, 三爻삼효와 五爻오효는 陽양의 자리이기 때문에 굳센 陽양만이 功공이 있다. 그러므로 “功效공효가 같다”고 말하였다. 文章문장의 氣勢기세로 헤아려 보면 아래에서 “三爻삼효는 凶흉함이 많고 五爻오효는 功績공적이 많은 것은 貴귀하고 賤천한 等級등급 때문이다” 라고 하였으니, 이것은 마땅히 “二爻이효는 稱讚칭찬이 많고 四爻사효는 두려움이 많으니 임금의 자리와 멀거나 가까운 形勢형세이다.” 라고 해야 한다. 四爻사효는 가깝기 때문에 두려움이 많고 二爻이효는 멀기 때문에 稱讚칭찬이 많으나 遠大원대함에 利이롭지 않기 때문에 但只단지 槪要개요에 허물이 없을 수 있다. 吉길한 占점을 얻기 드물지만 그 쓰임은 또 中道중도를 얻는다. 아래에 “陰柔음유는 危殆위태롭고 剛陽강양은 이겨낼 것이다”고 하였으니 이것은 마땅히 “剛陽강양은 危殆위태롭고 陰柔음유는 이겨낸다”고 해야 한다. 三爻삼효와 五爻오효는 功效공효는 같으나 五爻오효는 貴귀하기 때문에 功績공적이 많고 四爻사효는 賤천하기 때문에 凶흉함이 많다. 위에서 “槪要개요에 허물이 없는 것은 陰柔음유으로서 가운데이기 때문이다”고 하였으니, 이것은 마땅히 “槪要개요에 吉길함이 많은 것은 剛陽강양이 가운데이기 때문이다” 로 해야 한다.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三與 [至] 勝耶
三爻삼효와…이겨낼 것이다
案, 三五同功, 以陽言也. 以剛居三, 則雖或有過剛之危, 亦多旡咎, 而以柔居之, 則多凶. 以柔居五, 則雖有巽順之吉, 亦難有爲, 而以剛居之, 則多功.
내가 살펴보았다. 三爻삼효와 五爻오효가 功效공효가 같다는 것은 陽양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 굳센 陽양으로서 三爻삼효의 자리에 있으면 비록 굳셈에 지나친 危殆위태로움이 있을 지라도 허물없음이 많고, 부드러운 陰음으로서 그 자리에 있으면 凶흉함이 많다. 부드러움 陰음으로서 五爻오효의 자리에 있으면 비록 順순히 따르는 吉길함이 있더라도 큰일을 하기 어렵고, 굳센 陽양으로서 그 자리에 있으면 功績공적이 많다.
右第九章.
以上이상은 第九章제9장이다.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三五同陽位, 而三多凶, 五多功, 貴賤之不同也. 然柔危而剛勝者, 正與不正之.
三爻삼효와 五爻오효는 똑같이 陽양의 자리이나 三爻삼효는 凶흉함이 많고 五爻오효는 功效공효가 많은 것은 貴귀하고 賤천한 等級등급이 같지 않아서이다. 그러나 부드러움은 危殆위태롭고 굳셈은 이겨내는 것은, 바르게 함과 바르게 하지 않음의 差異차이이다.
右第九章.
以上이상은 第九章제9장이다.
【박윤원(朴胤源) 『경의(經義)•역경차략(易經箚略)•역계차의(易繫箚疑)』】
第九章 第九章제9장.
○ 六爻相雜, 是剛柔雜居也. 或謂之六位, 或謂之六虛, 或謂之六畫, 或謂之六爻, 果有先後異同之可言歟. 惟其時物, 以乾卦言之, 則是物也潛見飛躍, 時也六爻變動而時成, 故曰變通者, 趨時者也. 然則中庸所謂君子之時中, 時措之宜, 皆當於易之六爻上取之歟. 其柔危其剛勝耶. 論說不一. 潘氏專屬之五, 胡雲峰專屬之三, 玆二說者, 孰爲優長歟, 本義則竝屬三五, 宜不容他說歟.
여섯 爻효가 서로 섞여 있는 것은 剛강과 柔유가 섞여 있는 것이다. 어떤 이는 그것을 ‘여섯 자리’라 하고, 어떤 이는 그것을 ‘여섯 빈자리’라 하며, 어떤 이는 그것을 ‘여섯 畫획’이라 하고, 어떤 이는 그것을 ‘여섯 爻효’라 하니 果然과연 이에 對대하여 어떤 것이 먼저이고 어떤 것이 나중이며, 무엇이 같고 다른지를 말할 만한 것이 있겠는가? 오직 때와 事物사물은 乾卦건괘(䷀)로 말하자면 事物사물은 잠겨있음‧나타남‧남[飛비]‧뛰어오름이고, 때는 여섯 爻효가 變변하여 움직여서 때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變변하여 通통하는 것은 때에 맞추는 것이다”[주 288]고 하였다. 그렇다면 『中庸중용』에서 이른 바 “君子군자의 때에 맞음”[주 289]이라고 하는 것이나 “때로 둠에 마땅함”[주 290]이라고 하는 것이 모두 마땅히 易역의 여섯 爻효에서 取취하였을 것이다. 부드러움은 危殆위태롭고 굳셈은 이겨내는가? 論논하는 말이 한결같지 않다. 潘氏반씨는 專的전적으로 五爻오효에 붙여 說明설명하였고, 胡雲峰호운봉은 專的전적으로 三爻삼효에 붙여 說明설명하였으니 이 두 主張주장 中에 어느 것이 優秀우수한가? 『本義본의』에서는 三爻삼효와 五爻오효에 아울러 붙여 說明설명하였으니 宜當의당 다른 主張주장은 容納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288) 『周易주역‧繫辭下傳계사하전』一章1장:…剛柔者, 立本者也, 變通者, 趣時者也. … |
289) 『中庸중용』二章2장:君子之中庸也, 君子而時中, 小人之中庸也, 小人而無忌憚也. |
290) 『中庸중용』二十五章25장:誠者, 非自成己而已也, 所以成物也, 成己, 仁也, 成物, 知也, 性之德也. 合內外之道也, 故時措之宜也. |
【윤종섭(尹鍾燮) 『경(經)-역(易)』】
九章則非中爻不備者, 蓋謂互體也. 其雜物也, 辨物也. 只求乎內外正體, 反體則不備云也. 中爻者, 中四爻, 自二至四, 而互一卦, 自五至三, 而亦互一卦. 如是推究物之當名可詳焉. 易之爲書, 全在乎象, 所謂類萬物之情者, 是象已矣. 象亦只在乎正體乎. 若爾非易也. 易字從日月, 象莫大乎日月, 無隱不見, 無賾不明.
九章9장의 “가운데 爻효가 아니면 갖춰지지 못할 것이다”라는 것은 互體호체를 이른다. 事物사물을 섞음은 事物사물을 分別분별함이다. 但只단지 內卦내괘과 外卦외괘의 正體정체에서 求구하면 反體반체가 갖춰지지 못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가운데 爻효’라는 것은 가운데의 네 爻효이니 二爻이효부터 四爻사효까지가 한 互卦호괘이고, 五爻오효부터 三爻삼효까지가 또한 한 互卦호괘이다. 이와 같이 하면 事物사물의 마땅한 이름을 推究추구하여 詳細상세히 할 수 있다. 易역이라는 册책은 穩全온전히 象상에 달려 있으니 이른바 “萬物만물의 實情실정을 分類분류함”[주 291]이라는 것이 이 象상일 뿐이다. 象상이 또한 正體정체에만 있는 것이겠는가? 이와 같다면 易역이 아닐 것이다. ‘易역’이라는 글―字자는 해[日일]와 달[月월]이 合합해진 者자이다. 象상은 해와 달보다 큰 것이 없으니 숨겨도 드러나지 않음이 없으며, 雜亂잡란해도 밝지 않음이 없다.
291) 『周易주역‧繫辭下傳계사하전』二章2장:…近取諸身, 遠取諸物, 於是, 始作八卦, 以通神明之德, 以類萬物之情,… |
取象亦非一兩端, 可以反與變求之, 可以[주 292]互體似體求之. 如反體變體, 已於卦序見之, 乾變爲坤, 屯反爲蒙. 如互體已於周公繫辭見之, 賁之鬚, 在互頥之下, 泰之帝乙歸妹, 自二至五, 互爲歸妹[주 293]. 推之而皆然, 後之讀易者, 舍是而安得聖人之意.
象상을 取취하는 것도 한두 가지 端緖단서가 아니니, 反體반체와 變體변체로 求구할 수 있으며, 互體호체와 似體사체로 求구할 수 있다. 反體반체와 變體변체 같은 것은 이미 卦괘의 順序순서에 나타나 있으니, 乾卦건괘(䷀)가 變변하면 坤卦곤괘(䷁)가 되고 屯卦준괘(䷂)가 거꾸로 뒤집히면 蒙卦몽괘(䷃)가 된다. 互體호체 같은 것은 이미 周公주공이 말을 붙인 데에 나타나 있으니 賁卦비괘(䷕)의 鬚髥수염[주 294]이 互卦호괘인 頣卦이괘(䷚䷚)의 아래에 있고, 泰卦태괘(䷊)의 “帝乙제을이 女同生여동생을 시집보냄”[주 295]은 二爻이효부터 五爻오효까지가 互卦호괘로 歸妹卦귀매괘(䷵)가 된다. 미루어보면 모두 그러하니 後世후세의 『易역』을 읽는 者자가 이것을 버려두고 어찌 聖人성인의 뜻을 알 수 있겠는가?
292) 以이:경학자료집성DB와 影印本영인본에 ‘似사’로 되어 있으나 文脈문맥을 살펴 ‘以이’로 바로잡았다. |
293) 妹매:경학자료집성 DB에 ‘㛏구’로 되어 있으나 影印本영인본에 依據의거하여 ‘妹매’로 바로잡았다. |
294) 『周易주역‧賁卦비괘(䷕)』:六二육이는 鬚髥수염을 꾸민다.[六二, 賁其須] |
295) 『周易주역‧泰卦태괘(䷊)』:六二육오는 帝乙제을이 女同生여동생을 시집보내니, 福복이 있고 크게 吉길할 것이다. [六五, 帝乙歸妹, 以祉元吉.] |
【심대윤(沈大允) 『주역상의점법(周易象義占法)』】
五, 人君, 曰剛, 三, 諸侯, 曰柔. 此之剛柔, 以道言也.
五爻오효는 임금이니 “굳셈”이라고 하였고, 三爻삼효는 諸侯제후이니 “부드러움”이라고 하였다. 여기의 ‘굳셈’과 ‘부드러움’은 道도로써 말한 것이다.
右第九章
以上이상은 第九章제9장이다.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三五皆陽位, 故曰同功, 三居下體, 五居上體, 故曰異位. 三以臣之賤, 而居下卦之上, 以剛則過剛而不中, 以柔則位不當而失中正, 故多凶. 五以君之貴, 而居上卦之中, 以剛則剛得中正而克濟大事, 以柔則柔順得中, 而群下服從, 故多功. 此所謂貴賤之等也. 然三之多凶者, 以其柔居陽位, 則不當位而危, 故爲多凶耶, 亦有以剛居之而凶者矣. 五之多功者, 以其剛居陽位, 則正當其位, 故爲多功耶, 亦有以柔居之而吉者矣. 此一句, 設爲疑辭, 以結之也.
三爻삼효와 五爻오효는 모두 陽양의 자리이기 때문에 “功效공효가 같다”고 하였고, 三爻삼효는 下體하체에 있고 五爻오효는 上體상체에 있기 때문에 “자리가 다르다”고 하였다. 三爻삼효는 臣下신하의 賤천함으로 下卦하괘의 위에 있으니 剛강이라면 너무 굳세어 中道중도가 아니고, 柔유라면 자리가 마땅하지 아니하여 中正중정을 잃은 것이기 때문에 凶흉함이 많다. 五爻오효는 임금의 貴귀함으로 上卦상괘의 가운데에 있으니 굳센 陽양이라면 굳셈이 中正중정을 얻어 큰일을 해 낼 수 있고, 부드러운 陰음이라면 柔順유순함으로 中道중도를 얻어 여러 아랫사람이 服從복종하기 때문에 功效공효가 많다. 이것이 이른바 貴귀하고 賤천한 等級등급이다. 그러나 凶흉함이 많은 三爻삼효의 자리는 부드러운 陰음으로서 陽양의 자리에 있다면 자리가 마땅하지 않아 危殆위태롭기 때문에 凶흉함이 많게 될 것이고, 또 剛강으로서 그 자리에 있어도 凶흉함이 있게 될 것이다. 功績공적이 많은 五爻오효의 자리는 剛강으로서 陽양의 자리에 있다면 그 자리에 바르고 마땅하기 때문에 功績공적이 많을 것이고, 또 柔유로 그 자리에 있어도 吉길함이 있게 될 것이다. 이 한 句節구절은 疑問文의문문을 假設가설하여 글을 맺었다.
右第九章.
以上이상은 第九章제9장이다.
此章, 論六爻剛柔之體.
이 章장은 여섯 爻효의 剛강과 柔유의 몸-體체에 對대하여 論논하였다.
【이병헌(李炳憲) 『역경금문고통론(易經今文考通論)』】[주 296]
姚曰, 終始, 卦畫之終始也. 各以時變, 而成爻之陰陽, 所居而安者, 易之象. 〈京作序, 姚從孟〉故居可知.
姚信요신이 말하였다. “‘마침’과 ‘始作시작’은 卦畫괘획의 마침과 始作시작이다. 各各각각 때의 變化변화로 爻효의 陰陽음양을 이루어 居거함에 便安편안한 것을 『易역』의 象상이라 한다. 〈京房本경방본에는 序서로 되어 있다. 姚信요신은 孟喜맹희를 따른 것이다〉 그러므로 가만히 있어도 알 수 있다.”
按, 經中第一着眼處, 在於彖曰二字. 自東漢以後, 貶彖爲傳, 則易道何由以明哉. 此乃孔子所係之辭, 易之精蘊, 尤在於此. 二四三五, 卽上文所謂中爻也.〈右九[주 297]章〉
내가 살펴보았다. 經文경문 안에서 제일 먼저 눈여겨보아야 할 곳은 “彖曰단왈” 두 글-字자에 있다. 東漢동한 以來이래로 ‘彖단’을 貶下폄하하여 ‘傳전’을 만들었으니 易역의 道도가 어디로 말미암아 밝아지겠는가? 이것은 곧 孔子공자가 붙인 말로서 易역의 精髓정수가 더욱 여기에 있다. 二爻이효‧四爻사효‧三爻삼효‧五爻오효는 바로 윗글에서 말한 ‘가운데 爻효’이다. 〈以上이상은 九章9장이다〉
296) 경학자료집성DB에 「繫辭下傳계사하전」 第七章제7장에 編輯편집되어 있으나 경학자료집성 影印本영인본에 依據의거하여 「繫辭下傳계사하전」第九章제9장으로 옮겼다. |
297) 九구:경학자료집성 影印本영인본 原主원주에 ‘七칠’로 되어 있으나 『周易주역』經文경문에 依據의거하여 ‘九구’로 바로잡았다. |
*****(2024.06.29.)
* 出處: daum, Naver, Google, 바이두, 한국주역대전(韓國周易大全)DB, 한국경학자료시스템 等등 |
주역대전 > 십익 > 계사하전:제9장 총 6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http://waks.aks.ac.kr/rsh/dir/rdirItem.aspx?rptID=AKS-2012-EAZ-2101_BOOK&rshID=AKS-2012-EAZ-2101&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하전:제9장%3a편명%24繫辭下傳:제9장(第九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86_001 |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9장(第九章)_1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하전:제9장%3a편명%24繫辭下傳:제9장(第九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86_001 |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9장(第九章)_2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하전:제9장%3a편명%24繫辭下傳:제9장(第九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86_002 |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9장(第九章)_3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하전:제9장%3a편명%24繫辭下傳:제9장(第九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86_003 |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9장(第九章)_4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하전:제9장%3a편명%24繫辭下傳:제9장(第九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86_004 |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9장(第九章)_5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하전:제9장%3a편명%24繫辭下傳:제9장(第九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86_005 |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9장(第九章)_6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하전:제9장%3a편명%24繫辭下傳:제9장(第九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86_006 |
- DAUM 뉴스 실시간 국제 뉴스 https://news.daum.net/foreign/#1 |
국제 뉴스 아시아경제/中 전문가 "美 대통령, 누가 되든 결과는 같아“ https://v.daum.net/v/20240629164014205 SBS Biz/中 "美대중견제, 대선결과와 무관…유해한 경쟁 이어질 것“ https://v.daum.net/v/20240629163000131 연합뉴스/동남아 카지노산업, 시진핑 단속 피한 중국 관광객 덕에 '쑥쑥’ https://v.daum.net/v/20240629161842045 매일경제/불우한 유년기 보낸 ‘이 여자’ 아버지 내쫓더니…선거 이기고 정권교체 노린다 https://v.daum.net/v/20240629160901975 연합뉴스/中, 바이든-트럼프 토론에 "누가 되든 결과는 같아“ https://v.daum.net/v/20240629160448936 뉴시스/볼리비아 법원, 불발 쿠데타 주도 군사령관에 6개월 구치명령 https://v.daum.net/v/20240629160448936 서울경제/남녀 임금격차 최대 '오명' 일본의 결단···女관리직 비율 공개 의무화한다 https://v.daum.net/v/20240629155512854 뉴스1/'3시간 쿠데타' 주도한 볼리비아 장군, 구속 기소…"수사 계속 진행“ https://v.daum.net/v/20240629154923792 조선일보/‘완패’ 바이든에 일론 머스크, “이번 토론서 이긴 건 ‘웃짤’” https://v.daum.net/v/20240629153648693 뉴스1/미술 컬렉터 모여드는 LAW…'젊은 수집가' 진입로 자처 https://v.daum.net/v/20240629153521683 뉴스1/캐나다 인구 붕괴, 경제적 지원 외에도 필요한 것은? https://www.moneys.co.kr/article/2024062915378084728 중앙일보/박항서 감독 "인도 대표팀 지원 안해…차기 행선지로는 고려“ https://v.daum.net/v/20240629150303281 서울경제/상반기 14% 뛴 美증시 ‘속빈 강정’?···주도주 5개뿐이라는데 업종 보니 https://v.daum.net/v/20240629151635436 뉴시스/후티반군, 홍해·지중해서 선박 4척 미사일로 공격 https://v.daum.net/v/20240629104632963 SBS/불법 촬영 막는 '투시 방지' 유니폼 착용한다는 일본, 해당 종목은 배구, 육상, 탁구 등 https://v.daum.net/v/20240629103901888 SBS Biz/시진핑 왜 갑자기 '팔뚝'? …'(미국) 팔뚝 굵다고 말 들어야 하나’ https://v.daum.net/v/20240629083420456 세계일보/“내가 韓 아이돌 덕후왕”… 中서 열린 ‘K팝 퀴즈대회’ 가보니 https://v.daum.net/v/20240629103240822 세계일보/한한령 녹인 韓게임 열풍… K팝·드라마도 훈풍 부나 https://v.daum.net/v/20240629103222819 세계일보/EU 향한 이탈리아의 분노… “우파 약진 무시했다” https://v.daum.net/v/20240629102949778 연합뉴스TV/인플레이션 지표 둔화에도…뉴욕증시 일제히 하락 마감 https://v.daum.net/v/20240629102847753 국민일보/日 1만엔권 새 인물에 ‘일제강점기 주역’… 40년만의 교체 https://v.daum.net/v/20240629102103635 한국경제TV/'투시 촬영' 시달린 日선수들...신소재 입는다 https://v.daum.net/v/20240629101627587 조선일보/그리스, 주 6일제 도입하는 이유는? https://v.daum.net/v/202406291001283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