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황
산황·원황·축보(丑寶)라고도 한다.
소의 열주머니와 간관(肝管)·수담관(輸膽管) 등에 염증으로 생긴 담석을 말린 것이다.
햇빛이 비치지 않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100일 동안 말린다.
지름 0.3㎝의 달걀모양이고 표면은 황금색 또는 황갈색으로 덮여 있다.
성분은 수분 3.28∼6.69%이고 콜릭산·콜레스테롤·빌리루빈·에르고스테롤·비타민 D 등이 포함되어 있다.
맛은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심경(心經)·간경(肝經)에 작용하여 열을 내리고 독을 풀어 담을 삭게 하며 정신을 맑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진정·진경 작용, 강심작용, 혈압강하작용 및 해열·혈전용해·면역부활·항바이러스 작용 등이 있음이 밝혀졌다.
중풍·경풍·경련·복통·부스럼·뇌출혈·뇌혈전증 등에도 쓰인다.
하루 0.1∼0.4g을 가루약이나 알약 형태로 먹고, 외용으로 할 때는 가루를 내어 뿌리거나 약제에 개어 붙인다.
숙지황(熟地黃)과 함께 쓰면 효과가 없으며 임산부는 유산의 위험이 따른다. 대표적인 처방으로 우황청심원이 있다.
♠ 정신과 신경을 진정시키고 모든 잡념과 정신혼란을 물리치며 아이들 [경풍] 및 중독을 풀어준다. 우황 0.2 ∼ 0.5g을 환제,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사향
사슴과(─科 Cervidae)에 속하는 사향노루(수컷의 배꼽부와
음경 사이에 있는 선낭(腺囊:麝囊 또는 香臍이라고도 함)에서 분비되는 향즙(香汁)을 건조한 것이다.
사향노루는 평안북도와 함경남도의 경계지역과 영동 일대에
서식했으나 요즘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티베트 지방, 내몽골 일부, 시베리아와 만주 서북부로부터 헤이룽 강 유역을 거쳐 우수리 강 유역과 연해주 일대에 이르는 지역과 남만주 등지에 서식한다.
사향은 고귀한 약품인 동시에 고급 향료로서 사용된다.
사향 중 최상품은 제사향(보사향)이라 하는데, 난원형·구원형 또는 편평타원형을 이루는 주머니 모양이다.
지름이 3㎝ 정도 되고, 크기는 탱자만한 것부터 달걀만한 것까지 다양하다.
표면은 담갈색의 털이 있는 피막으로 싸여 있고, 무게는 18~30g에 이른다.
아랫면은 편평하고 윗면은 함몰되어 있으며, 털은 치밀하게 방사선상으로 돌려감겨 있다.
겉껍질은 가죽 모양이고 낭막은 얇게 2겹으로 벗겨진다.
그 속에 있는 분비물, 즉 향액은 신선할 때는 약간 유연하며, 건조하여 시일이 경과한 것은 흑갈색 혹은 암적갈색으로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과립상의 덩어리를 이룬다.
향기는 특이하고 강하여 싫어할 정도이나 멀리서 냄새를 맡으면 향긋한 향을 느끼게 된다.
성분[1]
성분은 무스콘 · 탄산암모늄 · 인산 · 칼륨 · 콜라겐 · 단백질 · 지방 · 콜레스테롤 · 섬유질 · 수분 등으로 되어 있다.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매운맛을 내며 약간 쓴맛을 띠고 있다.
주로 심장과 비장의 경락에 작용한다.
사향은 개규(開窺:심규를 열어 정신을 들게 함)·활혈(活血:혈액순환이 잘되게 함) · 최생(催生:아기를 쉽게 빨리 낳게 함) 등의 효능이 있어 주로 중추신경계에 대한 흥분성이 강하다.
따라서 의식장애 · 경련발작 · 뇌졸증 등에 쓴다.
이때는 우황(牛黃) · 용뇌(龍腦) · 주사(朱砂) 등의 청열, 개규, 진경의 약물을 배합하여 환제나
산제로 쓴다.
활혈(活血)의 효능으로 타박손상(打撲損傷)이나 복강내 종양에 쓴다.
항균 · 진통 작용이 있으므로 화농성질환에도 사용한다.
사향은 사향노루 수컷의 배꼽과 생식기 사이에 있는 냄새주머니를 건조한 것이다.
사향노루는 발정기에 이 냄새주머니에서 향기를 풍겨 암놈을 유혹한다. 그 냄새 가 얼마나 진한지 10리 밖에서도 냄새를 맡을 수 가 있다고 한다. 유능한 사냥꾼은 산골짜기에 들어서면 냄새를 맡고 사향노루가 있다는 것을 안다고 한다. 우리나라 에도 태백산맥을 따라 많은 사향노루가 서식했으나 사향이 워낙 값이 비싸고 사냥 하기 쉽기 때문에 지금은 거의 멸종상태에 있다. 아직도 설악산 주위에 사향노루 가 살고 있는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옛날의 일류기생들은 사향을 노리개 주머니에 넣고 허리춤에 차고 다녔다고 한다.
사향을 직접 코에 대고 맡아보면 냄새가 역겨우나 조금씩 멀리서 맡아보면 향기 롭기 그지없다. 냄새가 좋다고 느낄 뿐 아니라 성적으로 약간 흥분되는 것을 느낄수 있다. 사향노루의 암컷만 흥분시키는 것이 아니라 인간도 흥분 시킬 수 있는가 보다.
세계적으로 사향을 가장 많이 소모시키는 곳으로 홍콩의 한약 상이 아니라 프랑 스의 코티 분 회사이다. 유명한 코티 분 속에 이 사향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아주 소량 들어가지만 대량으로 팔리기 때문에 그 소모량이 엄청나다. 사향의 주산지 인 네팔이나 티베트의 사향이 대부분 코티분회사로 들어간다고 한다. 코티분이 그렇게 유명해질 수 있는 것은 사향의 남성들을 유혹하는 힘 때문일 것이다.
냄새가 많이 나는 약은 인체 내의 기운을 잘 펴져 나가게 한다. 냄새가 강하면 강할수록 그 퍼져 나가는 힘은 강하다. 사향은 한약 중에 가장 냄새가 강하기 때문에 다른 약이 미치지 못하는 조직 세포 깊숙한 곳까지 기운을 끌고 들어간다.
사향은 흡수가 빨리된다. 일반 약은 주로 소장에서 흡수되지만 사향은 약을 먹으 려고 뚜껑을 여는 순간부터 냄새를 통해서 코와 폐로 흡수된다. 사향의 약 기운은 경쾌해서 흡수된 후에도 피를 타고 신체 내 깊숙한 곳으로 운반되어 조직 세포 속으로 순식간에 들어간다.
중풍으로 정신을 잃고 쓰러졌던 사람이 우황청심환 한 알 먹고 툭툭 털고 일어 나는 것은 청심환에 사향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3.75g짜리 우황청심환 한 알에 사향이 0.0375g 들어가지만 우황청심환의 가격과 효과는 사향의 함량에 따라 결정될 정도로 사향의 역할은 크다.
중풍으로 쓰러지면 약을 먹어도 제대로 넘길 수도 없고 넘겨도 소화 흡수가 시원 치 않아 효과가 나지 않는다. 이 때에 우황청심환을 복용하면 사향 냄새가 코에 진동코에 연결된 대뇌에 강한 자극을 주어서 대뇌를 흥분시킨다. 분자 운동이 활발한 사향은 빠르게 흡수된 후에 마비된 소화기관의 세포들을 각성시켜 다른 약들이 소화, 흡수되어 본격적인 효과를 발휘하게 만든다. 치료를 전쟁에 비유 하면, 사향은 돌격대에 비유하고 다른 약들은 본 부대로 비유할 수 있겠다. 아기 들이 경기가 있을 때 쓰는 사향소합향원에도 사향이 들어가서 같은 작용을 한다.
보약 중에 가장 비싼 보약은 공진단이라는 약이다. 이 약 1제 만드는 데 녹용을 보통 보약에 2배가 들어가고 사향은 우황청심환 500개를 만들 수 있는 분량이 들어간다. 일반적으로 보약은 농축된 영양물질이라서 소화, 흡수가 쉽지 않다. 또 흡수되어도 목표하는 조직으로 제대로 운반되지 않는다. 공진단 보약의 이런 단점을 사향을 다량으로 써서 보완하였다. 값이 비싸서 그렇지 이 만한 보약은 없다. 득효방이라는 한의학 책에 있는 처방으로 허약한 체질에 어떤 보약도 효과 가 없을 때 쓴다고 기록되어 있고 하늘로부터 받은 기운을 든든히 하여 오장이 조화되고 어떤 병도 생기지 않게 한다고 약리작용을 설명하였다.
웅담
곰의 쓸개(담낭)를 웅담(웅담)이라 하며 약재로 귀하게 쓴다. 맛이 매우 쓰다. 약으로 쓸 때는 탕보다는 주로 생약을 입에 넣고 따뜻한 물로 삼킨다. 주로 신경계, 운동계 등의 통증을 다스린다.
웅담은 척삭동물문 포유강 곰과동물의 검은곰 혹은 불곰의 담즙을 건조한 것이다
[약재]주로는 웅담을 가리킨다. 건조한 담낭은 길고 납작한 란원형을 이루며 담낭의 웃부분은 좁고 약하며 아래부분은 팽대되였다. 길이는 10-20센치메터이고 넓이는 5-8센치메터이다.표면은 회흑색 혹은 흑갈색을 띠고 광채가 나고 주름살이 있고 표피가 얇아서 광선을 비추어보면 상부가 투명하고 질은 굳다. 담낭을 헤쳐보면 건조한 담즙을 볼수 있는바 이를 담인이라 한다. 담인은 과립,분말 혹은 고약형태와 같다.광택과 색은 일정하지 않다.
1).금담 혹은 동담:금황색이며 투명하다.호박처럼 광량하고 그 질은 바삭바삭하고 맛은 쓰고 뒤맛이 달다.
2).흑담 혹은 철담:흑색이며 질이 굳고 바삭바삭하거나 걸죽한 고약 과 상사하다.
3).채 화담:황록색을 띠며 광택이 비교적 약하고 질 역시 약간 바삭바삭하다.
[성미]냄새는 청량하고 약간 비린내가 나며 입에 넣으면 용해되여 맛이 쓰고 시원하며 치아에 붙지 않는다.덩러리가 크고 금황색을 띠고 광채가 나고 처음에 쓰고 후에 단맛이 있는 것이 좋은 것이다.
[정제]표피를 벗겨내고 담인을 가루내여 쓴다.
[성분]웅담의 주요성분은 타우로우르소데옥시콜산,안세르데옥시콜산,콜레스테린,담즙색소,금속염과 같은 것이다.
[용법과 용량]내복:환을 만들거나 가루내여 매차에 0.25-0.5그람을 내복한다.혹은 술에 침포하여 마신다.외용으로는 가루거나 수용액을 환부에 바르거나 눈에 떨구어넣는다.
[주치]
[용량과 사용방법]소아는 매차에 0.1-0.2그람,성인은 0.25-0.5그람을 직접 내복하거나 술에 침포하였다가 마신다.
질병ID 민간요법처방
경기(驚氣) 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따뜻한 물로 음용한다.
경선결핵(經腺結核) 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따뜻한 몰로 음용한다.
나력(癩歷) 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나을 때 까지 따뜻한 몰로 음용한다.
뇌기능 장애
(腦機能 障厓) 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씩 4~5일 따뜻한 몰로 음용한다.
담석증(膽石症) 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씩 3일 정도 따뜻한 물로 음용한다.
담즙 분비량 증가
(膽汁分泌量增加) 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2~3일 따뜻한 물로 음용한다.
딸꾹질(吃逆:흘역) 웅담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2~3회 따뜻한 물로 음용한다.
백일해(百日咳)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로 4~5회 음용한다.
소염제(消炎劑) 웅담 1~3g을 물에 타서 10회 이상 환부에 바른다.
안질(眼疾) 웅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3~4회 따뜻한 물로 음용한다.
열병(熱病) 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물로 음용한다.
위경련(胃經攣) 웅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3~4회 따뜻한 물로 음용한다.
진경(鎭經) 웅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3~4회 침으로 삼킨다.
진통(陣痛) 웅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입에 넣고 물 한 모금으로 음용한다.
치통(齒痛) 웅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음용한다.
타박상(打搏傷) 웅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5~6회 따뜻한 물로 음용한다.
폐렴(肺炎) 웅담 0.5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3~4일 따뜻한 물로 음용한다.
해독(解毒) 웅담0.5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4~5회 따뜻한 물로 음용한다.
해열(解熱) 웅담 0.5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4~5회 따뜻한 물로 음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