福(복)일지? 禍(화)일지?
세상만사 塞翁之馬(새옹지마)
옛 이야기 하나 전합니다.
세상만사 塞翁之馬(새옹지마)라 합니다.
삶을 영위하면서 만나게되는 일마
다 一喜一悲(일희일비)하지 않는
게 현명한 처사라고 가르치는 말
씀으로 압니다.
한국판 塞翁之馬(새옹지마) 입니
다.
"' 福(복)일지? 禍(횐)일지? "
옛날에 황해도 해주 사또인 어판
득은 근본이 어부였습니다.
고기잡이배를 사서 선주가 되더니 어장까지 사고, 해주 어판장을 좌
지우지하는 큰 부자가 되었습니다
.
그는 어찌어찌 한양에 줄이 닿아 큰돈을 주고 벼슬을 샀고, 평양감
사 아래에서 얼쩡거리더니 마침내 해주 사또로 부임했습니다.
그는 그렇게도 바라던 고향 고을
의 원님이 되어 권세도 부리고 주
색잡기도 빠지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웬지 즐겁지 않고 뭔지 모를 허망함만 남을 뿐이었습니
다.
처서도 지나고 가을바람이 솔솔 불어오던 어느날, 사또는 동헌에 앉아 깜빡 졸았습니다.
사또는 원래의 어판득이가 되어 파도가 출렁이는 바다에서 배를 타고 그물을 끌어 올렸습니다.
조기떼가 갑판 위에서 펄떡이자 그도 조기와 함께 드러누워 껄껄 웃었습니다.
꿈을 꾼 것입니다.
이튿날, 사또는 백성들의 눈을 피
해 어부로 변장하고 동헌 전속 의
원인 마 의원만 데리고 바다로 나
갔습니다.
준비해둔 쪽배를 타고 노를 저어 망망대해로 나갔더니 가슴이 뻥 뚫렸습니다.
옛 솜씨가 그대로 살아난 듯 그가 던진 그물엔 조기와 우럭이 마구 펄떡거렸습니다.
그는 호리병에 담아온 막걸리를 들이키며 껄껄 웃었습니다.
그러다가 손을 잘못 짚어 오른손 중지가 못에 찔려 피가 뚝뚝 흘렀
습니다.
마 의원이 그 자리에서 약쑥을 붙
이고 붕대를 감았습니다.
“괜찮겠지?” 사또가 걱정스레 물
었습니다.
눈을 내리깔고 있던 마 의원이 조
용히 대답했습니다.
“좋아질지, 나빠질지 어떻게 알겠
습니까 ? "
관아로 돌아왔는데 못에 찔린 손
가락이 부어오르고 통증이 심해서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였습니다.
며칠 후 마 의원이 사또의 다친 손
가락을 칼로 째 고름을 빼내고 고
약을 발랐습니다.
“내 손가락이 어떻게 돼가는 건가
?”
사또가 묻자 마 의원은 이번에도 똑같은 대답입니다.
“좋아질지, 나빠질지 누가 어찌 알 겠습니까 ? "
사또는 몹시 화가 났지만 마 의원 이 연배도 위인데다 뭇사람들에게 존경을 받는지라 꾹 참았습니다.
사또의 손가락이 시커멓게 썩어 들어가 손가락을 잘라내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사또는 무당 손에 들린 사시나무
처럼 온몸을 부들부들 떨며 고함
쳤습니다.
“여봐라! 저놈의 돌팔이를 당장 옥
에 처넣어라.”
그래도 분이 풀리지 않은 사또는 그날 밤 감옥으로 마 의원을 찾아
갔습니다.
“이 돌팔이야, 옥에 갇힌 맛이 어
떠냐?”
그러나 마 의원은 목에 긴 칼을 쓴 채 무덤덤하게 대답했습니다.
“이것이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 누가 알겠습니까?”
사또는 화가 머리끝까지 올랐습니
다.
“또, 또, 또, 저 소리!
여봐라, 저놈을 끌어내 당장 곤장 열대를 안기렷다.”
한달여 지나 사또가 붕대를 풀었
습니다.
잘린 상처는 말끔하게 아물었지만 오른손은 중지가 빠져나가 영락없
는 병신이 되어 있었습니다.
시름에 잠겨 우울한 나날을 보내
던 사또는 또다시 바다가 그리워
져,
날을 잡아 어느날 혼자 쪽배를 몰
고 바다로 나갔습니다.
그때 수평선에 불쑥 솟아오른 황
포돛배가 순풍을 타고 쏜살같이 파도를 가르며 다가왔는데
이럴 수가! 그 배는 해적선이었습
니다.
해적선 위로 잡혀 올라간 사또는 사색이 되었습니다.
해적들은 갑판 위에 걸쭉하게 제
사상을 차려놓고 용왕제를 지낼 참이었습니다.
이들은 사또를 제물로 포획해 바
다에 빠트릴 작정이었습니다.
이를 눈치챈 사또가 울며불며 발
버둥을 쳤지만 부질없는 짓이었습
니다.
그런데 사또를 묶던 해적이 무언
가 이상한 듯 두목을 불렀습니다.
“쯧쯧쯧, 이런 손가락도 없는 병신
을 제물로 쓸 수는 없어!”
사또는 죽을 고비를 넘기고 살아
서 돌아왔습니다.
그리고는 바로 의관을 차려입고 감방으로 달려갔습니다.
“의원님의 깊은 뜻을 미처 몰랐습
니다.
손가락이 없는 덕택에 제 목숨을 건졌습니다.
그런데도 의원님을 이렇게 옥에 가두다니….”
사또는 손수 옥문을 열고 마 의원
을 정중히 동헌으로 모셨습니다.
“죄송합니다.
모두 제 잘못입니다.”
사또가 거듭 머리를 조아리자 마 의원이 나직이 말했습니다.
“아닙니다.
나으리 덕택에 제 목숨도 부지했
습니다.
소인을 옥에 가두지 않았다면 틀
림없이 바다에 동행했을 테고, 소
인은 사지가 멀쩡하니 제물이 되
어 지금쯤 고기밥이 되었겠지요.”
새옹지마처럼 다양한 변수가 인
생을 풍요롭게 하기도 하고 반대
로 힘들고 어렵게도 하는가 봅니
다.
부디 일상에서 一喜一悲(일희일
비)하지 마시고 차분히 대처하시
며 보람을 만드시기 바랍니다.
날씨도 세상도 너무 현란하게 변
합니다.
냉정한 관측과 판단으로 ''福(복)
이될지? 禍(화)가될지?''
대비하셔서 좋은 날 만드십시요.
♡후회는 언제해도 늦습니다♡
러시아와 중국 사이에 끼여 있는
지금의 후진국 몽골이라는 나라가
인류 역사상 가장 넓은 땅을 정복
한 위인(偉人)으로 손꼽는 몽골의 칭기즈칸, 그의 원명은 태무진.
위대한 지도자로 추대되어(1206
년) 1227년 65세를 일기로 사망
합니다.
파란 만장(波瀾萬丈)한 생애(生
涯)를 살았던 그에게도 큰 뉘우
침을 준 사건 하나가 현대에 사는 우리들에게 감동을 준 일화(逸話)
가 있습니다
칭기즈칸은 사냥을 무척 좋아했다
고 알려집니다.
사냥을 나갈 때면 항상 같이 다니
는 사냥용으로 기르면서 함께 생
활하던 매를 데리고 다녔고 매를 극진히 아끼고 사랑하며 마치 식
구 처럼 여기며 함께 생활했습니
다.
하루는 사냥을 마치고 집으로 돌
아오는 길에 그는 어깨 위에 앉아
있던 매를 잠시 공중으로 날려 보
내고, 자신은 목이 말라 물을 찾았
습니다.
가뭄으로 개울물은 말랐으나 바
위틈에서 물이 똑똑 떨어지는 석
간수(石間水)를 발견 했습니다.
그가 바위에서 뚝뚝 떨어지는 물
을 잔에 받아 마시려고 하는데 난
데없이 바람 소리와 함께 자신의 매가 손살같이 날아와 그의 손을 쳐서 물잔을 땅에 떨어뜨리었습니
다.
그렇게 세차례나 물 마시는 것을 방해 당하자 칭기즈칸은 몹시 화
가 났지만, 식구나 다름아닌 매가 하는 짓이라 참고서는 다시 물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도 마시려는 순간 또 날아와서 물잔을 뒤엎었습니
다.
칭키즈칸은 참다 못해 차고 있던 칼을 휘둘러 매를 베어버렸습니
다.
그리곤 그는 죽은 매를 치우면서 물이 흘러 내려오는 바위 위를 쳐
다 보게 되었는데 그곳에는 죽은 큰 독사 한마리 샘물 안에 썩고 있
었습니다.
만약 칭기즈칸이 그 물을 마셨더
라면 뱀의 독으로 인해 칭기즈칸
은 목숨을 잃을 수도 있었기에, 매
가 그것을 미리 알고 칭기즈칸의 물잔을 계속 엎었던 것입니다.
이 사실을 알게된 칭기즈칸은 금
(金)으로 사랑하는 매의 동상을 만들어 양 날개에 각각 다음 문구
를 새겼다고 전해집니다.
‘'분노(憤怒)로 저지른 일은 실패
(失敗)하기 마련이다.’'
''설령 마음에 들지 않는 행동을 하더라도 벗은 여전히 벗인 것이
다.’'
일상(日常)에서 큰 일도 아닌 일
에 화(火)를 낸 후에 후회에 빠지
거나,
순간적인 분노로 가장 소중한 것
들을 잃게 되는 걸 보면 분노의 결
과는 부정적인 것이 훨씬 더 많습
니다.
따라서 화(火)가 났을 때는 조급
(早急)하게 판단(判斷) 하지 말
고, 상대방이 그렇게 하는 이유를 침착하게 한번 생각해 보는 "짧은
, 잠깐" 의 시간 가져 보는 것이 어
떻겠습니까.!!
아내가, 남편이, 아니면 아들 딸이,
친구가, 동료가, 이웃이 나에게 선
의(善意)를 베풀었는데 그릇된 판
단을 하여, 오히려 정죄(定罪) 하
지 않았는지 돌아볼 일입니다.
그렇습니다.
''가장 중대(重大)한 실수는 조급
(早急)함 때문에 일어난다.''
Michael D. Murdock 경고의
말을 다시 되씹어 볼 필요가 있습
니다
어떠한 사안(事案)에 대해 무작정 단정(斷定)하기에 앞서서 한번쯤 멈추고 자신을 살펴 보는 게 꼭 필
요하지 않겠습니까
화를 내고 난뒤 많은 것들을 잃고 있음을 뒤 늦게 깨닫는 후회...
분노(憤怒)로 저지른 일들이 대부
분 실패한 것임을 누구나 다 알면
서도 이를 자제(自制) 못하는 우
리가 되어서 어찌합니까!
첫댓글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