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진영 선생님의 <"탐라"는...인도양 전체를 이름함이고...근대의 "섬라"라 함은 "수마트라"일까 합니다...왜구들의 거점지일 겁니다.>라는 제목의 글 속에서,
“수마트라(섬라) & 자바섬이... 아마도 자판(재팬=자바인, 자바국)의 어원과 같은 어원일 듯도 하고여...”라고 주장하셨습니다.
홍선생님이 명확하게 “~~이다”라고 표현하시지 않으셔서
아마도, 100% 확신하시는 것은 아니라고 보입니다.
요즘 다른 연구자들도 “자바”와 “자판”의 관련성을 주장하고 있어서
무시할 수 있는 주장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가 “자바”(Java)와 “자판”(Japan)이 서로 어원(語源)이 같은지 검토해보았습니다.
“자바”(Java)는 인도네시아어, 자와어, 순다어인 “자와”(Jawa)를 영어로 표기한 것입니다.
따라서 원음(原音)은 “자와”라고 보아야 합니다.
또한 위키백과(영어판)에 따르면,
“자바”(Java)의 어원은 명확하지 않다고 합니다.
인도(印度)에서 들어온 여행자들에 의해 심어진 식물 “Jáwa-wut”에 유래한다거나,
“Beyond” 또는 “Distant”라는 뜻의 말인 “Jaú”에서 유래한다거나,
그 섬에서 유명한 식물 이름인 산스크리트(Sanskrit) “Yava”에서 유래한다거나,
“Home”이라는 뜻의 “초기-오스트로네시아어”(Proto-Austronesian Languages)에서 유래한다고 합니다.
자와어(자바어: Basa Jawa)는 인도네시아 자와 섬 중부 및 동부에 사는 자와족이 쓰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인데, 사용 인구가 많아서 세계적으로도 대언어(大言語)라고 합니다.
한국어,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까다로운 경어법이 있다고 합니다.
이번에는 “자판/자팬/재팬”(Japan)에 관하여 살펴봅니다.
16세기경에 포르투갈의 카톨릭 신부들이 일본에서 포교를 하게 되었는데,
그들이 일본어를 배우기 위해 (중세)일본어 문법책과 사전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1603년~1604년에 만들어진 사전인 “Vocabvlario da Lingoa de Iapam”
(Vocabulary of the Language of Japan)에는
“Japan”에 해당하는 2개의 표제어인 “Nifon”과 “Iippon”이 실렸다고 합니다.
이 사전의 타이틀에는 “Iapam”이라고 표기되었습니다.
정리하면, 16세기경에 포르투갈 사람들은
“Japan”을 “Nifon”, “Iippon”, “Iapam”이라고 표기한 것입니다.
“Nifon”은 어떤 음운변화를 거쳐서 “日本”(Nihon)을 표현한 것이라 보입니다.
“Iippon”은 “Jippon”으로 표시하며, “Jippon”은 “Nippon”과 유사한데,
한자(漢字) “日”을 “Zit” 또는 “Zitu”라고 발음하기 때문에
“Fon”(本)과 어울려 “Jippon”으로 발음되었다고 합니다.
일본어 한자사전을 찾아보면,
“日”을 음독(音讀)하는 경우 “니치” 또는 “지츠”라고 발음합니다.
그래서 “Jippon”은 “Nippon”과 유사한 것입니다.
일본어에서 “J”와 “N” 발음은 교체된다는 하나의 사례가 됩니다.
반면, 훈독(訓讀)하는 경우 “히” 또는 “카”로 발음합니다.
그 다음으로 “Jipangu”가 있는데, 통상 “Japan”의 어원이라고 보지만,
언어학자들은 “Japan”의 어원에 관해서,
중국의 “우어”(吳語)를 포르투갈어로 기록한 “Cipan”(日本)에서 유래한다고 봅니다.
여기서 우어(중국어 간체: 吳语, 정체: 吳語, 병음: Wú yǔ 오어)는
중국 장쑤(江蘇省), 푸젠(福建省), 저장(浙江省)에서 쓰이는 중국어의 방언입니다.
지금까지 소개한 자료들을 종합해보면,
역사학적 또는 언어학적으로 “자바”(Java)와 “자판”(Japan)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바(Java)가 자판(Japan)의 어원에 해당되려면,
자바(Java)의 원음인 자와(Jawa)의 “Wa” 발음이
무슨 원리에 의해 “Pa”로 변화되었는지 음운학적 근거를 제시하여야 합니다.
다른 언어에서도 발생하는, 유사한 사례를 소개하여도 됩니다.
특히, 오스트로네시아어족(Austronesian Languages)의 기초어휘(基礎語彙)도 조사해야 합니다.
언어학자들이 자바(Java)의 존재를 몰라서 자판(Japan)과 연결하지 못하였을까요?
음운변화의 근거를 찾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단순히 발음(소리)이 비슷하다고 하여, 모두 한통속으로 간주한다면
언어 분석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섬들이, 중국대륙 해안 및 동남아시아 해안과 더불어 왜구(倭寇)의 활동 영역이었지만,
그런 이유만으로 자바(Java)와 자판(Japan)을 연결시키면 무리가 있습니다.
홍진영 선생님이 앞으로 더 구체적이고, 더 객관적인 근거 자료를 보충해 주시길 바랍니다.
(이하, 검색자료 인용)
Java
The origins of the name 'Java' are not clear. One possibility is that early travellers from India named the island after the jáwa-wut plant, which was said to be common in the island during the time, and that prior to Indianization the island had different names. There are other possible sources: the word jaú and its variations mean "beyond" or "distant". And, in Sanskrit yava means barley, a plant for which the island was famous. Other source states that the "Java" word is derived from a Proto-Austronesian root word, meaning 'hom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Java]
자와어(자바어: Basa Jawa)는 인도네시아 자와 섬 중부 및 동부에 사는 자와족이 쓰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화자수 약 7천5백만명으로 공용어 지위를 갖고 있지 않은 지역어이지만, 인구수로 봤을 때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모어로 쓰는 언어로서 세계적으로도 대언어이다. (한국어 사용자수보다 약간 많다) 자와어는 인도네시아어, 순다어, 마두라스어 등과 가까운 관계에 있으며, 많은 자와인들은 비 자와출신 인도네시아인과 의사소통을 위해 인도네시아어도 말할 줄 안다. 말레이시아에도 자와어 사용자 커뮤니티가 슬랑고르, 조호르 주 등에 산재해 있다. 자와어는 말레이어와도 가깝지만, 말레이어와 말이 통하지는 않는다. 또, 남미 수리남에도 자와어 사용자가 있다. 자와어는 한국어,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까다로운 경어법이 있어서, 자와어를 모어로 하지 않는 사람에게 습득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출처=http://ko.wikipedia.org/wiki/%EC%9E%90%EC%99%80%EC%96%B4]
Javanese language
Javanese language (Javanese: básá Jáwá, Indonesian: bahasa Jawa) is the language of the people in the central and eastern parts of the island of Java, in Indonesia. In addition, there are also some pockets of Javanese speakers in the northern coast of western Java. It is the native language of more than 75,500,000 people.
The Javanese language is part of the Austronesian family, and is therefore related to Indonesian and other Malay varieties. Many speakers of Javanese also speak Indonesian for official and commercial purposes and to communicate with non-Javanese Indonesians.
Outside Indonesia, there are large communities of Javanese-speaking people in the neighbouring countries such as East Timor, Malaysia, Singapore, Australia, and also Hong Kong and Taiwan. In addition there are also Javanese-speaking people in Suriname, the Netherlands, and New Caledonia. The Javanese speakers in Malaysia are especially found in the states of Selangor and Johore. (For example, the former Chief Minister of Selangor, Khir Toyo, is an ethnic Javanese.) For distribution in other parts, as far as Suriname, see Demographic distribution of Javanese speakers below.
[출처=http://en.wikipedia.org/wiki/Javanese_language]
Names of Japan
There are many names of Japan in the English, Japanese, and other languages. The word "Japan"(or "Japon") is an exonym, and is used (in one form or another) by a large number of languages. The Japanese names for Japan are Nippon(にっぽん) and Nihon(にほん). They are both written in Japanese using the kanji 日本. The Japanese name Nippon is used for most official purposes, including on Japanese money, postage stamps, and for many international sporting events. Nihon is a more casual term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in contemporary speech.
The English word for Japan came to the West from early trade routes. The early Mandarin Chinese or possibly Wu Chinese word for Japan was recorded by Marco Polo as Cipangu. The modern Shanghainese(a Wu Chinese dialect 呉語) pronunciation of characters 日本(Japan) is still Zeppen [zəʔpən]. The old Malay word for Japan, Jepan(modern spelling Jepun, although Indonesian has retained the older spelling), was borrowed from a Chinese language, and this Malay word was encountered by Portuguese traders in Malacca in the 16th century. It is thought the Portuguese traders were the first to bring the word to Europe. It was first recorded in English in 1577 spelled Giapan.
In English, the official title of the country is simply "Japan", one of the few nation-states to have no "long form" name. From the Meiji Restoration until the end of World War II, the full title of Japan was the "Great Empire of Japan"(大日本帝國 Dai Nippon Teikoku or Great Empire of Japan). More poetically, another name for the empire was "Empire of the Sun". The official name of nation was changed after the adoption of the post-war constitution; the title "State of Japan" is sometimes used as a colloquial modern-day equivalent. The official Japanese title is Nippon koku or Nihon koku(日本国), literally "Country of Japan".
Though Nippon or Nihon are still by far the most popular names for Japan from within the country, recently the foreign words Japan and even Jipangu (from Cipangu) have been used in Japanese mostly for the purpose of foreign branding.
Portuguese missionaries arrived in Japan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In the course of learning Japanese, they created several grammars and dictionaries of Middle Japanese. The 1603-1604 dictionary Vocabvlario da Lingoa de Iapam contains two entries for Japan: nifon and iippon. The title of the dictionary (Vocabulary of the Language of Japan) illustrates that the Portuguese word for Japan was by that time Iapam.
Nifon
Historically, Japanese /h/ has undergone a number of phonological changes. Originally *[p], this weakened into [ɸ] and eventually became the modern [h]. Note that modern /h/ is still pronounced [ɸ] when followed by /u/.
Middle Japanese nifon becomes Modern Japanese nihon via regular phonological changes.
Jippon
Prior to modern styles of romanization, the Portuguese devised their own. In it, /zi/ is written as either ii or ji. In modern Hepburn style, iippon would be rendered as jippon. There are no historical phonological changes to take into account here.
Etymologically, jippon is similar to nippon in that it is an alternative reading of 日本. The initial kanji 日 may also be read as /ziti/ or /zitu/. Compounded with -fon (本), this regularly becomes jippon.
Unlike the nihon/nippon doublet, there is no evidence for a *jihon.
Jipangu
As mentioned above, the English word "Japan" has a circuitous derivation; but linguists believe it derives in part from the Portuguese recording of the early Mandarin Chinese or Wu Chinese word for Japan: Cipan(日本), which is rendered in pinyin as Rìběn, and literally translates to "country of sun origin". Guó is Chinese for "realm" or "kingdom", so it could alternatively be rendered as "Japan-guó".
Cipangu was first mentioned in Europe in the accounts of the travels of Marco Polo. It appears for the first time on a European map with the Fra Mauro map in 1457, although it appears much earlier on Chinese and Korean maps such as the Kangnido. Following the accounts of Marco Polo, Cipangu was thought to be fabulously rich in silver and gold, which in Medieval times was largely correct, owing to the volcanism of the islands and the possibility to access precious ores without resorting to(unavailable) deep-mining technologies.
The modern Shanghainese pronunciation of Japan is Zeppen[zəʔpən]. In modern Japanese, Cipangu is transliterated as ジパング which in turn can be transliterated into English as Jipangu, Zipangu, Jipang, or Zipang. Jipangu(ジパング) as an obfuscated name for Japan has recently come into vogue for Japanese films, anime, video games, etc.
[출처=http://en.wikipedia.org/wiki/Names_of_Japan]
|
참고로, 인도네시아에서는 350여개의 종족들이 고유의 방언(사투리)을 지금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도네시아 정부가 표준어를 만들었는데, 그것이 "바하사 인도네시아"입니다. 인도네시아의 표준 문자(文字)는 서양의 알파벳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Jawa"는 인도네시아어(인니어) 표기이며 그 발음은 "자와"이고, "Java"는 영어 표기이며 그 발음은 "자바"라고 합니다.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관의 인도네시아인 직원이 확인한 내용입니다.)
"바하사 인도네시아"를 소개하는 자료입니다. 참고하세요. [출처=http://blog.naver.com/pismire99?Redirect=Log&logNo=22349927]
그렇군요. 이러다가 감정싸움되겠습니다 인도네이사의 어떤 섬의 이름이 자바든 자와든 치와와든 그 섬의 이름만 따진다면 그게 무엇이건 뭐 대숩니까 제가 자와에 대한 문구를 김홍필님께 요구한 것은 님께서 증거라고 대었는데도 참조해보지도 않고 엉뚱한 소리를 한다고 하셨길래 그럼 그 증거로 제시한 사이트들에서 자와로 발음한다는 문구를 저는 못 찾았으니까 님께서 좀 그 문구들을 직접 펌해서 보여주십사 하였고, 그 똑같은 말을 몇변이나 하였고 또 지금도 한 번 더 했으니 실로 같은 요구를 몇번씩이나 반복 또 반복한 꼴이 되었지만, 결국 님께서는 그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치 않으시고 인도네시아학과니 인도네시아직원이니 .....
윤주영님, 저는 감정 싸움을 하고 싶지 않습니다. 특정 쟁점에 관해 논의를 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논쟁>입니다. "Jawa"를 "자와"로 발음한다는 <문구>가 '직접 기재'되어 있는 인터넷 자료를 제가 찾을 수 없으니까, 그 대안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네시어어 학과와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관에 문의하여 100% 확인해 드렸습니다. 너무나 당연한 내용이라서, <위키백과> 등의 인터넷 자료에는 '발음'이라고 언급하지 않습니다. "Jawa"를 "자와"로 발음한다는 증거는 제가 이미 충분히 제시하였으나, 윤주영님이 믿지 않으시니까, 부득이하게 그렇게 하였습니다. 무슨 문제가 남아 있습니까? 제 주장이 틀렸습니까??
제가 생업에 종사하므로, 틈새 시간을 활용하여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윤주영님이 희망하시는 "그 <문구>"가 직접 나와 있는 인터넷 또는 다른 문서 자료를 찾게 되면, 곧바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윤주영님은 아직도 제 주장의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생각하시는 모양입니다. "Jawa"를 "자와"로 발음한다고 하는 <문구>(=구술 자료가 아니라, 문서 자료)를 희망하시므로, 제가 더 찾아보겠습니다....
윤주영님은 웹스터(Webster) 사전을 근거로 하여, "Jawa"를 "자바"로 발음한다고 주장하시며, 반론을 제기하셨습니다. (윤주영님의 주장= "웹스터에 Djawa 로 나옵니다. 소리로는 정확히 자바입니다.") 이것이 <쟁점>입니다. <쟁점> 이외의 것으로 시간을 낭비하면 안 됩니다. 모두들 생업 때문에 바쁘거든요... 아무튼 저는, 윤주영님의 주장이 틀렸다는 것을 여러 자료로써 증명하였습니다.
거참 이상하십니다 무얼 증명했다는 것인지요 저는 Jawa가 자바든 자와든 치와와든 아메리카든 어떤 것이든 발음되면 그것으로 끝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님께서 Jawa는 꼭 자와이어야만 하고 그 증거로 여러 싸이트를 대셨고 저는 거기서 자와로 발음한다는 것을 못찾았으니 님께서 정확한 문구를 좀 펌해주십사 수만번 요청했지만 아직도 그러지 못하고 계십니다그려 그러면서도 여러 자료로써 증명하였다니요 뭘요?
윤주영님, "저는 Jawa가 자바든 자와든 치와와든 아메리카든 어떤 것이든 발음되면 그것으로 끝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씀하셨는데..... 이게 무슨 소리입니까?? 윤주영님은, 제가 2009년 9월 22일에 올린 <자바(Java)는 자판(Japan)의 어원인가?>라는 글에 대하여, "Djawa를 자바로 발음한다"고 주장하시며, 최초로 반론을 제기하셨습니다. 이것이 <쟁점>입니다. 제가 처음으로 위 본문에 제시한 증거 즉, 영어판 위키백과를 살펴보면, "Java"를 인도네시아어로는 "Jawa"로 한다고 분명히 나옵니다. 그 발음이 "자와"라는 것은, 한국어/일본어/중국어판 위키백과 등의 자료를 통해 증명하였습니다.
윤주영님, 인도네시아어(인니어)를 잘 아십니까? 저는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하여,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네시아어 학과,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관에 직접 문의하여 "Jawa"를 "자와"로 발음한다는 사실을 100% 확인해드렸습니다. 제가 이미 제시한 자료들에는 "Jawa"를 "자와"로 발음한다는 증거가 모두 나와 있었습니다. 이건 논쟁거리도 안되는, 너무나 당연한 것을 이러쿵 저러쿵 논하고 있는 겁니다. <철자는 "Jawa"이고, 그 발음은 "자와"이다>라는 문구가 나올 필요가 전혀 없는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철자는 한글로 "한국"이고, 그 발음은 "한국"이다>라는 문구가 어디에 있습니까??? 인도네시아어도 똑같은 경우입니다.
100%확인을 참 희한하게 하시네요. 저는 Java의 발음이 자바이어야만 한다고 하지 않습니다. 다만 웹스터에 자바라고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게 지바든 조바든 주둥이든 관계치 않습니다 다만 김홍필님께서 근거라고 제시한 사이트들에서 님께서 그토록 자와이어야만 한다는 내용을 볼 수 없어서 정확한 문구를 좀 펌해달라는 요청이었을 뿐이지요 그런데 아직 그에 대한 답은 한번도 하지 않으신 것 같습니다 Jawa가 자와로 발음되는 것을 인도네시아에까지 가서 확인할 필요가 뭐 있습니까 옆집 중학생 (요즘은 초등, 아니 유치원생)에게 물어봐도 될텐데요
윤주영님, 아직도 제 말을 이해하지 못하고 계신 것 같아서 매우 안타깝습니다. 위 본문 글에서 <“자바”(Java)는 인도네시아어, 자와어, 순다어인 “자와”(Jawa)를 영어로 표기한 것입니다. 따라서 원음(原音)은 “자와”라고 보아야 합니다.>라고 제가 주장하였는데, 갑자기 윤주영님이 나타나셔서, 웹스터(Webster) 사전을 근거로 하여 반론을 제기하셨습니다. 그 반론에 대하여, 제가 여러 자료로써 제 주장이 틀리지 않았음을 증명하였습니다. 그런데 이제 무슨 말이 더 필요한가요? 제가 제시한 증거 자료들조차 제대로 보지 못하시면서, 계속 횡설수설 하고 계십니다. 이젠 정신 차리세요. 시간이 아깝습니다.
윤주영님이 "김홍필님께서 근거라고 제시한 사이트들에서 님께서 그토록 자와이어야만 한다는 내용을 볼 수 없어서 정확한 문구를 좀 펌해달라는 요청이었을 뿐이지요 그런데 아직 그에 대한 답은 한번도 하지 않으신 것 같습니다"라고 말씀하셨는데..... 윤주영님!!! 횡설수설 그만 하시구요.... 지금까지 작성된 모든 글들을 다시 읽어보시면 잘 아실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해가 안 되신다면, 윤주영님의 개인 문제라고 생각하오니, 가까운 분들에게 도움을 요청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윤주영님은, "Jawa가 자와로 발음되는 것을 인도네시아에까지 가서 확인할 필요가 뭐 있습니까 옆집 중학생 (요즘은 초등, 아니 유치원생)에게 물어봐도 될텐데요"라고 말씀하셨는데..... 정말 그렇다면, 윤주영님은 요즘의 초등학생, 유치원생보다도 지식이 없는 분이 되신 겁니다. 윤주영님이 "Jawa를 자와로 발음한다"는 정확한 <문구>를 저에게 계속 요구하신 것은, 그야말로 '어불성설'(語不成說)이 되는 겁니다.
그리고 윤주영님은, "저는 Java의 발음이 자바이어야만 한다고 하지 않습니다. 다만 웹스터에 자바라고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게 지바든 조바든 주둥이든 관계치 않습니다"라고 말씀하셨는데..... 윤주영님!!! "Java"의 발음은 "자바"입니다. 그리고 "Jawa"의 발음은 "자와"입니다. 서로 바꾸어 사용하지 않습니다. 윤주영님!!! 지바든 조바든 주둥이든 상관없는데, 무슨 이유로 웹스터(Webster) 사전을 근거로 제 주장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하셨습니까?? 저는 "Djawa를 자바로 발음한다"고 하는 웹스터(Webster) 사전의 내용이 틀렸음을 증명하였습니다. Djawa는 Jawa의 옛 철자입니다. 자꾸 횡설수설 하지 마시고, 정신을 차리십시요.
반갑습니다 추석명절은 잘 쇠셨습니까 제가 부탁드렸습니다 제가 뭐라고 하지 마시길. 정신차려라 횡설수설이라는등의 언사는 삼가하셨으면 합니다 본론으로 돌아가서, 뭘 증명하셨다는 겁니까 님께서 제시하신 근거사이트링크 어디에도 Jawa를 자와로 하라는 곳은 없습니다 다만 제가 제시한 웹스터에는 자바로 발음한다고 합니다 또 한번 간곡히 부탁합니다 님께서 제시한 사이트들에서 자와로 발음하라는 문구를 꼭 좀 펌해주십시오
윤주영님, 저는 "Djawa를 자바로 발음한다"고 하는 웹스터(Webster) 사전의 내용이 틀렸음을 증명하였습니다. Djawa는 Jawa의 옛 철자입니다. 일본어 위키백과 [http://ja.wikipedia.org/wiki/%E3%82%B8%E3%83%A3%E3%83%AF%E5%B3%B6], 한국어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C%9E%90%EC%99%80_%EC%84%AC], 영어 위키백과 [http://en.wikipedia.org/wiki/Java]에는 '자바'(Java) 또는 '자와'(Jawa)로 발음한다고 나옵니다. 인도네시아어를 소개하는 블로그 [http://blog.daum.net/jaejoolee01/8479339]에도 나옵니다. 잘~ 읽어보세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모르시겠다면, 윤주영님의 개인 문제입니다.
윤주영님은, "Jawa가 자와로 발음되는 것을 인도네시아에까지 가서 확인할 필요가 뭐 있습니까 옆집 중학생 (요즘은 초등, 아니 유치원생)에게 물어봐도 될텐데요"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윤주영님은 요즘의 초등학생, 유치원생보다도 그 수준이 훨씬 떨어집니다. 아무튼, 계속 횡설수설 하지 마세요. 혹시, 윤주영님에게 정신적인 문제가 있습니까??? 만약 그렇다면, 가까운 분들에게 급히 도움을 요청하십시요.
<자료 1> 자와 섬 또는 자바 섬 (인도네시아어: Pulau Jawa 풀라우 자와, 자와어와 순다어: Jawa 자와)은 인도네시아의 섬으로 수도인 자카르타가 이 섬 서쪽 끝에 있다. 영어 이름은 ‘자바(Java)’이다. [출처=http://ko.wikipedia.org/wiki/%EC%9E%90%EC%99%80_%EC%84%AC]
<자료 2> ジャワ島(ジャワとう、インドネシア語:Jawa, 英語:Java)は、インドネシアを構成する島の一つ。スマトラ島などとともに、大スンダ列島を形成する。形状は東西に細長い。スマトラ島の東、カリマンタン島の南、バリ島の西に位置する。 [출처=http://ja.wikipedia.org/wiki/%E3%82%B8%E3%83%A3%E3%83%AF%E5%B3%B6]
<자료 3> Java (Indonesian: Jawa) is an island of Indonesia and the site of its capital city, Jakarta. Once the centre of powerful Hindu-Buddhist kingdoms, Islamic sultanates, and the core of the colonial Dutch East Indies, Java now plays a dominant role in the economic and political life of Indonesi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Java]
<자료 4> 爪哇島(印尼語: Jawa, 英語: Java), 位於印度尼西亞, 南臨印度洋, 北面爪哇海, 印度尼西亞首都雅加達則位於爪哇西北。[출처=http://zh.wikipedia.org/wiki/%E7%88%AA%E5%93%87%E5%B2%9B]
진짜, 자꾸 말씀드리지만 제가 어떻다는 말을 삼가하십시오 그리고 또 한번 부탁드리는데 님께서 증거라고 또 웹스터가 틀렸음을 증명했다고 하시는 근거로 대시는 사이트에서 Jawa를 자와로 발음한다는 글귀를 직접 펌해서 보여주십시오 한번만 하면 될텐데요 다시 또 한번 더 말씀드리지만 저는 Jawa가 청와대로 발음되던 비주얼씨플플로 발음하던 그냥 받아들일 뿐입니다 걍 펌한번만 해주세요
윤주영님, 혹시 눈 뜬 장님입니까??? 위 댓글의 <자료 1>을 살펴보면, "자와 섬 또는 자바 섬 (인도네시아어: Pulau Jawa 풀라우 자와, 자와어와 순다어: Jawa 자와)은 인도네시아의 섬으로 수도인 자카르타가 이 섬 서쪽 끝에 있다. 영어 이름은 ‘자바(Java)’이다" [출처=http://ko.wikipedia.org/wiki/%EC%9E%90%EC%99%80_%EC%84%AC]라고 나옵니다. 여기에 "자와어와 순다어: Jawa 자와"라고 나오죠?? 이것은 "자와어와 순다어로 Jawa를 자와로 발음한다"는 뜻입니다. 무슨 설명이 더 필요합니까??? 계속 횡설수설 하시면 곤란합니다.
윤주영님은, "저는 Jawa가 청와대로 발음되던 비주얼씨플플로 발음하던 그냥 받아들일 뿐입니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무슨 이유로 웹스터(Webster) 사전을 근거로 반론을 제기하셨습니까?? 윤주영님은 '반론'이 무엇인지도 모르시고 지금 '논쟁'을 하시는 겁니까??? 초등학생보다도 못한 지식을 가지고, 무슨 논쟁을 하시는 겁니까??? 혹시 정신적인 문제가 있습니까??? 계속 횡설수설 하고 계십니다. 지금까지 친절하게 설명해드려도, 윤주영님이 이해하지 못하시면, 그것은 윤주영님의 개인 문제입니다. 개인 문제를 타인에게 전가하시면 곤란합니다.
참고로, - 인도네시아의 문자는 영어의 알파벳을 이용합니다. A(아) B(베) C(쩨) D(데) E(에) F(에프) G(게) H(하) I(이) J(제) K(까) L(엘) M(엠) N(엔) O(오) P(뻬) Q(끼) R(에르) S(에스) T(떼) U(우) V(붸) W(웨) X(엑스) Y(예) Z(젯) - 인도네시아어는 알파벳을 이용해서 소리나는 대로 표기합니다. 예를 들면, saya 사야(나) baru 바루(새로운) orang 오랑(사람) ini 이니(이것) itu 이뚜(그것) satu 사뚜(하나) lagi 라기(또) pagi 빠기(아침) [출처=http://balisurf.net/user/blog.php/supergun/4067/%C0%CE%B5%B5%B3%D7%BD%C3%BE%C6%BE%EE%C0%C7_%B1%E2%C3%CA] 따라서, 인도네시아어로는 "Jawa"를 "자와"로 발음하게 됩니다.
김홍필님, 직접 펌해주시니 얼마나 간다하고 좋습니까 님의 수준으로 말합니다 님은 아주 건방집니다 그렇게 말했거늘 이제야 펌해주시다니 또 나에 대해 이렇다니 저렇다니 말하지 말라고 했는데도 아직도 반복하니 님은 건방지군요 Jawa가 자와로 읽히니 원래 이름이 그렇다고 계속 우기십시오 그래도 웹스터는 바꾸지 않을겁니다 Djawa로 처음 쓴 것은 인니가 아닐것이고, 또 지금 Jawa라 쓸수있는 알파벳도 그들것이 아니고 빌어쓴 것이기 때문입니다 Djawa라, 왜 그들은 Djawa라 썼고 지금도 저명한 Webster는 자바로 발음한다고 할까요 wa를 와로 발음할 줄 몰라서일까요
윤주영님, 지금 누굴 희롱하십니까?? 위 댓글의 <자료 1> 즉, "자와 섬 또는 자바 섬 (인도네시아어: Pulau Jawa 풀라우 자와, 자와어와 순다어: Jawa 자와)은 인도네시아의 섬으로 수도인 자카르타가 이 섬 서쪽 끝에 있다. 영어 이름은 ‘자바(Java)’이다" [출처=http://ko.wikipedia.org/wiki/%EC%9E%90%EC%99%80_%EC%84%AC]라는 내용은, 제가 이미 2009년 9월 25일에 댓글로 작성한 것입니다. 그래서 윤주영님에게 무슨 정신적 문제가 있는지 언급한 것입니다. 이제와서 윤주영님이 딴소리를 하시면 곤란합니다.
윤주영님, 저는 "Djawa를 자바로 발음한다"고 하는 웹스터(Webster) 사전의 내용이 틀렸음을 여러 자료로써 증명하였습니다. "Djawa"는 "Jawa"의 옛 철자입니다. 그 발음은 모두 "자와"입니다. 윤주영님!!! 제가 건방지다고 말씀하셨습니까?? 윤주영님이 처음에 이해하지 못하신 내용을, 제가 지금까지 매우 친절하게 성심성의껏 설명해드렸는데, 그렇게 저를 비난하시면 저의 인격을 모독하는 것입니다. 참고하겠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일본이란 표기인 야폰 니판...등등의 표기는 현재대로 일본열도의 지명였었고...자판,재팬등의 표기로 된 종족은 자바가 인는 인도양 족속들인 것인데...구한말 전후 명치유신기 전후...양이들의 사냥개가 된 자판 왜구들이...주인인 열도 서남방 왜+열도 동북방 타타르(달단)인들을 제압해 섞였기에...유사하긴 하나 전혀 발음이 다른 두 국명이 현 일본열도에 병존한다 예상합니다...출전은 없습니다...제 가설이 최초니여...
일본(日本)&야판 등이라 표기했을 땐...대륙의 해뜨는 끝점인 현 일본열도와 캄차카반도 등을 이른다 보이고...이는 "아센"이 다스리는 여진(야인)국의 속국이란 "번"을 본(本)으로 스스로 승격시킨 단어일지도 모른다 저가 첨 예상해 봅니다.
반대로...자판,재펜...으로 불리던 자들은...자이나(지나)의 꼬봉들...즉 지나(자이나=인도)의 번국...이란 어원일 지 모른단 예상을 역시 제가 첨 제기하기에 역시 출전은 없습니다.
물론,고대의 일본(닛본)은...니(尼,泥)자 지명이 많은 중원 서남부 한나라의 꼬봉들이였기에...닛뽕이라 했을 가능성이 다분하고...요 고기잡이 잡족들을 우태백제를 거친 한성백제가 인수하면선 왜노(倭奴)가 되는 격이고...백제가 찌그러 들면선 같이 대륙 남동해양으로 몰리다 현 일본열도에 정착하는게 닛본&왜의 근본이라 예상합니다..역시, 출전은 접니다.
제가 질문합니다. 일본(日本), 야판 등은 대륙의 해뜨는 끝점인 현 일본열도와 캄차카반도 등을 이른다고 주장하셨는데, <조선왕조실록>에 널~널~하게 등장하는 '일본'(日本)은 (판단 시기는 실록 기준으로) 어디에 있었습니까? 지금의 일본열도에 있었나요?
이상하게... 김선생님 글만 클릭하면 제 컴이 멍청해 집니다...더뎌 집니다...?
컴퓨터 전문 기사에게 점검을 한 번 받아보세요. 저하고는 무관합니다.
그리고 하나 힌트를 드리고 싶은건...출전이라고 여기저기의 글들을 구구절절이 복사해 장황하게 진열해 놓으시면...말씀하시려는 주재가 희석되어 독자들께서 집중력이 떨어지실 수가 있습니다...무슨 숙제검사 받으실 것도 아닌데...긴긴 펌 자료들을...그것도 양이들 문자로 된 것을...너무 많이 진열해 놓으시면...숙제를 할 의무가 없으신 독자들께선...그냥 대충 건너 뛰실 확률들이 많다 보여...걱정이 됍니다.
"본론"은 앞 부분에 있습니다. 뒤에 있는 게 아니고요... (ㅎㅎㅎ) 제가 근거로 제시한 자료의 출전이나 출처를 "(이하, 검색자료 인용)"이라고 표시하였고, (제 주장이 혹시 틀릴 수도 있으니까) 애독자가 다시 확인해보시라는 뜻으로, 길지만 복사하여 올렸습니다. 저도 편하게 글을 쓰고 싶지만, 애독자를 위해 불편을 감수하는 것입니다.
어쨋거나...제 덤성덤성한 가설들에 대한 꼼꼼하신 검증 감사합니다...항시 김선생님같이 세심하게 체크하는 부들이 많아야 어떤 단체든 내실이 든든해 지니...당 카페에 꼭 필요하신 피가 김선생님이시라 전 생각합니다.
홍선생님이 본인의 주장을 <품평>(品評)해주라고 저에게 부탁하셨기 때문에, 지금부터 하나 하나 검토하여 저의 견해를 제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