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여성시대 타인 닉네임, 트위터(X)
뱅크신이란 :
시간과 제작비를 줄이기 위해서 자주 반복되는 부분을 미리 제작해 두고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일본식 영어이며, 뱅크 시스템(bank system)이라고도 하며, 좀 더 전문적으로는 기성화면(Stock footage)이라고 한다
ex. 마법소녀 변신 장면
카캡체에서는 매 에피소드마다 옷을 갈아입어서 뱅크신이 적단 의미임 (feat. 한국 애니메이터들의 영혼)
1) 그렇게 버블 애니의 위엄 어쩌고 하면서 잘못 알려진 예시 : 카우보이 비밥 (한국하청, 1998년 방영)
2) 카레카노 (그남자 그여자)도 ‘당시’ 작업량 대비 가볍단 의미지 지금 보면…존나 준수함
✅ 무맥락댓, 피곤유발댓 등 쩌리 공지 어긋나는 댓은 부털함
첫댓글 ㅁㅈ 솔직히 저때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이 대부분으로 만듬
미국 애니도 한국 하청 많이 쓴다던데 한국도 애니메이션 산업 제대로 지원만 해주면 일본만큼 클 수 있다 생각해
한국이 갈린거구나
그남자 그여자 존잼..
일뽕들 환장하는 작품들도 결국 한국이 한 몫 한거네 ㅉ
지금도 개쩌는 사람들 많지 않아? ㅈ같은 정부가 지원금 떨어먹어서 그렇지ㅜ 개짜증나
역시 싼값이라 가능했구나.. 최근 애니들보다 더 퀄리티 좋아보임 진심
한국애니네요
우리나라꺼네
그래서 북한 애니도 퀄좋다매 .. 사람 갈아넣을수록 올라가는게 퀄이라
맞아 한국 하청이 거의 다라고 들었음.. ㅜ
몰랐어 울 나라 개쩌네
아 뭐야 우리나라꺼네
뭐야 우리나라꺼네 내놔 ㅜ
우리나라꺼였구나
엔딩 크레딧 올라가는거 보면 진짜 다 한국인 이름뿐임
걍 알면알수록 좆같은 나라
정작 요즘 제작하는 국산애니들은 예산부족으로 프레임 많이 떨어짐
그남자 그여자는 진짜 그당시기준 저예산애니였는데(같은장면반복많음, 단가절약위해 흑백으로 만화책같은 연출사용, 단순 캐릭터 등장 등) 그래도 그당시 기준으로 집도사고 그랬다니 imf때 원화가치 똥이였구나ㅠㅠ 근데 저당시때 애니보면 한국인 이름 항상 있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