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수자성 수연성’(不守自性 隨緣性)
'어떻게 마음의 고통을 맞이하는가.’에 대해 법성게에 기막힌 말씀이 있습니다.
즉 ‘불수자성 수연성’(不守自性 隨緣性입니다..
이것은 공부인이 마음의 고통을 어떻게 맞이하고 경험하는지
궁금한 분에게도 바른 길로 안내하여주는 지침이 됩니다.
불수자성 수연성이란 ‘힘든 경계를 맞이하여 흔들리지 않으려
애쓰고 노력해 자성을 지키는 게 아니라
인연 그대로가 곧 성품이다’란 말입니다.
이것은 눈앞에 일어나는 세상의 역경 속에서
스스로 자성을 지켜보면서 그걸 잊지 않으려 하는 것은
진짜 공부가 아니라 제 마음의 분별 작업이란 말입니다.
그렇다면 진짜 제대로 된 마음공부란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것은 다가오는 모든 힘든 인연과 상황을 내 존재를 활짝 열고
있는 그대로 온전하게 다 맞이하여 경험하고 지나가게 하는 것입니다.
마치 거대한 나무는 온갖 세월과 풍상을 피하지 않고
오는 그대로 다 맞이하고 경험하였듯이.
그래야 내 그릇이 커지고 또 커져서 틀이 깨지고 무한해집니다.
아이들은 몸이 아파도 그저 아플 뿐
아무런 걱정근심 분별을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어른들은 이러다 잘못되면 어쩌나 미리 걱정을 만들어
그 속에 빠져버립니다. 스스로 자기가 만든 생각과 감정 속에 갇혀
노예가 되어버립니다. 깨어있는 자는 나를 포함한 세상 일체가
곧 0(공)자리가 일으킨 분별세계란 것을 항상 알고 있기 때문에
그 안에 일어나는 모든 현상들도 그 본질은 결국 다
내 생명의식이 일으킨 마음활동 현상임을 여실하게 봅니다.
그러므로 그 위에 다시 또 분별을 일으켜
오온현상을 일일이 해석 대응하고자 하진 않습니다.
마치 비가 오면 한번 시원하게 온몸으로 맞듯이 그렇게 삶을 삽니다.
이것이 바로 수연성(隨緣性)이니
곧 ‘인연 그대로가 성품이 나타난 현상’이므로
거기에 저항하거나 조작하지 않은 채 두 팔 벌려 맞이한다는 것입니다.
부처님은 닥쳐오는 그 어떤 인연이나 상황도 도망치거나
저항하지 않은 채 의연하게 맞이했습니다.
글 김연수 (피올라 마음학교 교장)
출처 : 지리산 천년 3암자길
첫댓글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