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景福高 34回 同窓會 원문보기 글쓴이: 孤 山
淸溪川의 夜景-서울 빛초롱축제
청계천에서는 11.06(금)~11.22(일)까지 2015 서울 빛초롱축제가 열리고 있다.
主題는 ‘빛으로 보는 서울관광’으로 다양한 ‘燈 作品’으로 形象化하여 청계광장에서
水標橋까지 1.2km구간에 걸쳐 ‘서울에서 느끼는 古風-서울에서 만나는 옛 삶-오늘,
서울의 모습-함께 서울로’ 등 4개 테마로 전시하고 있으며 ‘함께 서울로’는 企業協贊燈,
지방자치단체 및 海外招請燈, 라이트 아트作家燈이 전시되고 있다.
매년 새로운 테마의 燈을 선보이는 축제는 2009년 '서울등축제'로 시작하여 2014년부터
'서울빛초롱축제'로 이름을 바꿔 올해 제7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오세훈 시장 때 시작된 ‘서울燈祝祭’는 박원순 시장 때 '서울빛초롱축제'로 바뀌었고,
서울의 브랜드는 ‘Hi Seoul’이 ‘I. SEOUL.U’로 바꾸고… 地自體長이 바뀌면 바뀌는 것도
꽤 있는데 ‘발전단계’인지 ‘과거청산’인지 잘 모르겠다.
서울 빛초롱축제에는 11.09(월) 저녁에 다녀왔는데 청계천에 간 김에 빛초롱축제구간인
수표교를 지나 東廟앞역과 가까운 茶山橋까지 갔다가 다시 五間水橋로 돌아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까지 걸었다.
설명판은 작은 것이 물 한가운데에 있어 사진이 희미하고 글씨가 작아 나름대로 요약∙발췌하여
사진 아레에 설명문을 첨가하였다.
사진은 ‘서울 빛초롱축제’ 외에 청계천과 그 주변 야경을 포함하여 2회로 나누어 올린다.
2015. 11. 12 孤 山 朴 春 慶
淸溪川의 夜景-서울 빛초롱축제 사진 (2-1)
(01) 청계광장 조형물 <스프링(Spring)>
스프링은 청계광장에 있는 설치미술 작품으로 스웨덴 출신의 미국 팝아티스트
클래스 올덴버그와 구제 반 브르겐 夫婦의 공동작품으로 外觀은 다슬기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높이 20미터, 지름 6미터, 중량 9톤이며
2006년 9월 준공되었다.
(02) 청계천 2단 인공폭포
(03) 일월오봉도와 모전교. 테마 1-서울에서 느끼는 古風
*毛廛橋
지금의 종로구 瑞麟洞과 중구 武橋洞 사이 네거리에 있던 청계천의 옛 다리로 이 근처에
과일을 팔던 모전이 형성되어 있어 毛廛橋라고 이름 붙였다. 史料에는 神化坊洞入口橋로
나와 있으며 太宗 12년(1412)에 처음 세워지고2003년 7월부터 시작된 청계천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새롭게 놓였다.
(04) 일월오봉도
*日月圖, 崑崙圖라고도 하는 日月五峯圖는 주로 龍床 뒤에 놓였으며 장식성이 강한
일월오봉도는 王權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백성들의 태평성대를 염원하는 의도에서
제작된 것으로 일월오봉도에는 다섯 개의 산봉우리와 해, 달, 소나무, 물이 일정한
구도로 배치되어 있다.
(05) 모전교
(06) 모전교 안쪽의 무지개모양 불빛
(07) 테마-2 서울에서 만나는 옛 삶
朝鮮王朝의 삶이 묻어있는 德壽宮 中和殿, 조선왕조의 歷代 왕과 왕비의 神主 49位를 모신
儒敎祠堂 宗廟正殿, 漢陽에 살던 백성들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敦義門 巡城놀이’를
중심으로 구성하여 조선의 다양한 삶을 엿볼 수 있게 하였다.
(08) 덕수궁 중화전
1902년 건립, 1904년 화재로 소실되어 1906년 重建한 德壽宮 中和殿(보물 제819호)을
1/4정도로 축소한 模型.
(09) 종묘 정전
宗廟 正殿(永寧殿과 구분하여 太廟라고도 한다)은 조선왕조의 역대 왕과 왕비의
神主 49위를 모신 유교사당으로 太祖 4년(1395)에 준공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光海君 元年(1608)에 중건한 이래 英祖 2년, 憲宗 2년, 高宗 7년에 增築하여 정면 19칸,
측면 3칸으로 한국에서 가장 긴 목조건물인 宗廟 正殿(국보 제227호)을 축소한 모형이다.
(10) 돈의문 순성 놀이
하루 만에 漢陽都城을 한 바퀴 도는 巡城 놀이는 아침 일찍 출발하여 밤늦게 끝나는 고된
日程이지만 조선시대나 지금이나 서울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11) 돈의문
敦義門은 서울 漢陽都城(史蹟 제10호)의 西大門으로 새문, 新門이라고도 했다.
太祖 5년(1396) 한양 都城의 제2차 공사가 끝나고 8문(四大門과 四小門)이 완성되던 때
처음 건립되어 太宗 13년(1413) 폐쇄되고, 그 북쪽에 西箭門을 새로 지어 출입하게 하다가,
世宗 4년(1422) 다시 서전문을 헐고 돈의문을 수리하였다. 肅宗 37년(1711))에 다시 지었으나,
1915년 日帝의 도시계획에 따른 도로확장 공사로 철거되었다.
(12) 테마3-오늘, 서울의 모습
옛 것과 현대가 조화된 오늘날 서울의 모습! 서울의 대표 재래시장인 廣長市場, 서울 都心에
펼쳐진 옛 모습과 현대가 調和된 北村, 남산의 韓屋마을을 독특한 풍경으로 구성하였다.
(13) 북촌 한옥마을
北村 韓屋마을은 景福宮과 昌德宮, 宗廟 사이에 위치한 한옥보존마을로 서울 600년 역사와
함께 해온 우리의 전통 거주지역이다.
*北村: 종로구 齋洞∙嘉會洞∙三淸洞 등에 걸쳐 있던 마을로, 이곳이 청계천과 鐘閣의 북쪽에
있는 동네인 데서 마을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예로부터 조선시대 왕족이나 고위관직에
있던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였다.
(14) 남산골 한옥마을
1989년 남산골의 제모습 찾기로 조성한 마을로 서울특별시 지정 민속자료 韓屋 5棟을
移轉∙復元하고 전통정원으로 꾸며 1998년 4월에 개관하였다.
서울지역의 士大夫家屋부터 庶民家屋까지 당시의 전통 민속놀이와 생활방식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도록 燈으로 표현하였다.
*南村: 청계천 남쪽 일대로 남산 기슭을 중심으로 한 남촌은 양반의 자손이긴 하나 몰락한
사람들이거나 과거에 급제하지 못해 ‘남산골 샌님’, ‘남산골 딸깍발이’라 놀림을 받았던
불우한 선비들이 모여 사는 곳으로 알려져 있었다. 후에 일제강점기에는 이 지역을
중심으로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하여 조선인 중심의 거주지역 북촌과 일본인 중심의
거주지역 남촌이라고도 했다.
(15) 남산골 한옥마을
(16) 남산골 한옥마을
(17) 광장시장
서울의 대표적인 재래시장이며 국내 최초의 常設市場으로 1904년 乙巳條約 체결 후
日本人들이 남대문시장 등 서울의 商權을 장악하자 이에 맞서 조선인 상인들이 세운
시장으로 廣橋와 長橋 사이에 있다고 ‘廣長市場’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18) 광장시장, ‘기철이네 왕 순대’-‘모녀 김밥’
(19) 광장시장, ‘종로 5가 박가네 빈대떡/대구매운탕’-‘육회 자매집’
(20) 빛의 다리
‘빛의 다리’는 희망의 다리로 LED로 환하게 빛나는 다리를 밟으며 그 옛날 청계천
다리 밟기를 현대적 느낌으로 되살려 본다.
정월 대보름 종소리와 함께 청계천 다리를 밟으면 厄運을 물리친다는 옛 전설처럼
‘빛의 다리’를 밟으면 바닥이 환하게 불이 밝혀지는데 이 다리를 지나면 幸運이 찾아 올 것
같다.
(21) 빛의 다리, 색이 변한다.
(22) 빛의 다리, 색이 또 변한다.
(23) 물안개 초롱빛
(24) ‘所望 燈’ 달기
(25) 2016년(丙申年) ‘所願紙’ 달기
(26) 테마 4 - 함께 서울
‘서울 빛초롱축제’는 지방자치단체, 해외도시, 기업, 아트작가 등 다양한 기관과 단체의
참여로 완성된다.
‘테마4-함께 서울’에서는 이러한 참여를 빛으로 담아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부터
해외도시의 대표유적과 현대 아트작가의 작품까지 傳統燈과 現代燈의 調和로 구성하였다.
*현지 안내판에는 ‘전통등(登)과 현대등(登)’으로 표기하였으나 ‘登’은 明文新玉篇에
‘고를 등, 나갈 등, 이룰 등, 높일 등, 높을 등, 익을 등’으로 표기되어 ‘등불’이라는
訓이 없어 ‘燈 등불 등’으로 표기하였음.
地方自治團體
招請燈
(27) 평창 백룡동굴-생태체험 학습장
平昌 白龍洞窟은 東江 옆 白雲山 기슭 절벽에 있는 석회동굴로 총 길이 약 1,875m이며
하나의 主窟과 3개의 가지굴로 되어있다. 1976년 주민들이 발견하여 1979년
천연기념물 제260호로 지정되었으며 출입이 금지되어 오다가 2010년 여름부터 1회 20명,
1일 240명만 동굴가이드의 안내로 출입이 가능하다고 한다.
(28) ‘鳴梁의 苦惱하는 李舜臣’, 땅끝 해남-전남 海南郡
(29) 2016 경남 固城 공룡 세계엑스포
(30) 건강, 힐링, 레포츠 관광도시-경기 楊平郡
海外招請燈
(31) 중국 成都市
*成都: 四川省의 省都로 春秋戰國時代에는 蜀의 수도, 삼국시대 蜀漢의 수도로 隨∙唐 시대에는
長安, 揚州, 敦煌과 더불어 4대 도시였으며 부근에는 諸葛亮을 모시는 武侯祠를 비롯하여
杜甫草堂∙望江樓 등이 있다.
(32) 중국 成都市
(33) 중국 成都市
(34) 미국 러시모어산 국립기념지[Mount Rushmore National Memorial]
(왼쪽부터) 初代 조지 워싱턴, 제3대 토마스 제퍼슨, 제26데 시어도어 루즈벨트,
제16대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
사우스 다코타주의 블랙힐스 국유림에 있는 러시모어산 국립기념지는 1941년에
완공되었으며 4명의 대통령 얼굴이 조각되어있는 바위의 높이는 약 60ft이다.
(35) 중국 常熟市
Changshu市는 揚子江 三角洲에 위치하여 江蘇省 동부와 上海市 서부에 인접해 있으며
산과 물이 合水하여 경치가 수려하며 千年古城, 고전적인 정원 등이 어우러져
山, 水, 城, 園林이 일체가 된 독특한 경치를 자랑한다.
(36) 중국 상숙시
(37) 일본 아오모리 네부다-아오모리시(靑森市)
不動明王은 불교 8대 명왕 중의 하나로 중앙을 지키며 일체의 악마를 굴복시키는 왕으로
菩提心이 흔들리지 않고, 火焰 속에서 살며 인간의 번뇌를 불태워 깨달음에 이르게 한다.
아오모리현(靑森縣) 아오모리시에서는 매년 8월 2일부터 7일까지 많은 人形燈이 시내를
누비는 일본 최대의 燈祝祭 ‘아오모리 네부타마쯔리(青森ねぶた祭)’가 개최된다.
(38) 고쇼가와라 다찌네푸타-아오모리현 고쇼가와라시(靑森縣 五所川原市)
유네스코 세계유산(자연유산)으로 지정된 아오모리현 시라카미산지(白神山地)는
약 8,000년 전부터 인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原生的으로 자라온 세계최대의
너도밤나무 산림지역이다.
매년 8월 4일부터 8일까지 높이 20m가 넘고 무게가 16톤이나 되는 초대형 燈인
‘타치네푸타’가 아오모리현 고쇼가와라 시내를 행진하는 燈祝祭가 개최된다.
(39) 대만(臺灣) 기복(祈福)
타이완의 新年期間에 사람들은 神(하늘과 땅의 신령)에게 보호해주고 새해에도 만사가
순조롭기를 기도하는데 올해는 특별히 ‘福’과 ‘因緣’을 주제로 ‘신파채금’, ‘월노기연’ 2개의
전시등을 제작하였으며 행복과 아름다운 인연이 가득하기를 축복한다.
(40) 대만(臺灣) 기복(祈福)
‘신파채금(神派採金)’의 등장인물은 福 氣運이 충만한 神으로 ‘공희(恭喜∙축하의 의미)’를
손에 들었으며, 富의 상징인 황금 돈과 황금털을 걸쳐 그를 본 사람들은 모두 축복을
받을 것이다.
‘월노기연(月老祈烟)’의 등장인물은 감정을 주관하는 神인 月下老人으로 그 손에는
남녀의 인연을 연결하는 붉은 실이 들려있으며 옆에 있는 인연장부에는 당신과 연인의
이름이 쓰여 있을 것이다.
(41) 필리핀의 크리스마스 카피즈(CAPIZ) 등불
企業協贊燈
(42) 12살 소년 구도일-S Oil
(43) AMORE PACIFIC
(44) GREEN CYCLE
(45) Union Pay Your Way
(46) 그린카드와 마스코트 물범이
(47) KDB 산업은행
- 淸溪川의 夜景-서울 빛초롱축제 (2-2)에 계속 –
첫댓글 한양 청계천에서 등 축제가 열리고 있는 모양인데 안신 사니 깜깜 무소식 산에 만 다니지 마시고 이런 구경도 하시라고 옮겨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