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특산식물】 37. 가야산은분취 〔Saussurea pseudogracilis Kitam〕
◈과 국화과(Compositae) 106속 (피자식물문/목련강/국화목)
◈ 속 취나물속(Saussurea) 47종
◈ 국명 가야산은분취
◈ 학명 Saussurea pseudogracilis Kitam.
◈ 원산지 한국
◈ 분포 전국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 전체크기 높이 35~70cm이다.
◈ 형태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으며 엽병이 길고 피침상 3각형 또는 난상 3각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길이 6~8cm, 폭 2~4cm로서 표면은 붉은빛이 도는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에 솜같은 백색 털이 밀생하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15cm이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고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6~7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화서의 잎은 선형이다.
ⓑ8~9월에 개화하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서에 백색 털이 있다. 총포는 구상 종형이며 길이 13mm, 지름 11~12mm로서 가장자리에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덮여 있고 자줏빛이 돌며 포편은 6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길이 2mm로서 내편의 1/5 정도이다. 화관은 자주색이며 길이 10~11mm로서 불규칙하게 5개로 갈라지고 관모는 2줄로서 바깥 것은 길이 1.5~4mm, 안쪽 것은 길이 9mm이며 자방에 털이 없다.
ⓓ높이 35-70cm이고 백색 털로 덮여 있지만 곧 없어진다.
◈ 서식지 심산 지역에서 자란다.
◈ 개요 가야산은분취(Saussurea pseudograco;os Kitam.)는 길고 좁은 잎, 작은 총포, 적은 총포편 열수에 의해 유사 종인 은분취(S. gracilis Maxim.)로부터 구별되고 있다. 그러나 가야산은분취와 은분취를 구별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가야산은분취의 분류학적 실체를 확인하기 위해 45개의 정성혈질과 42개의 정량형질을 축정및 분석하였다. 정성형질은 물론 정량형질에 대한 다변량분석(PCA)에서도 가야산은 분취와 은분취를 구별할 수 없었다. 가야산은분취는 분류학적으로 독립된 종이 아니며 은분취의 이명으로 처리함이 타당하다.
가야한은분취의 분류학적 재검토
선은미 ( Eun Mi Sun ) , 장정원 ( Jeong Won Jang ) , 김별아 ( Byeol Ah Kim ) , 정재민 ( Jae Min Chung ) , 손성원 ( Sung Won Son ) , 임형탁 ( Hyoung Tak Im ) - 한국식물분류학회 , 식물분류학회지 | 44권 2호
◈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