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v.daum.net/v/20240223080014452
신생아 절반은 고소득층서 출생, 아이 키우는 데 얼마 들길래…
대한민국 합계출산율이 세계 최저수준으로 떨어진 가운데 태어나는 아이 중 열에 아홉은 중산층 이상에서, 열에 한 명만 저소득층에서 태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정재
v.daum.net
대한민국 합계출산율이 세계 최저수준으로 떨어진 가운데
태어나는 아이 중 열에 아홉은 중산층 이상에서,
열에 한 명만 저소득층에서 태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 교수는 이 같은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결과적으로 모두가 아이를 낳지 않기 시작한 시대이지만
고소득층은 그래도 아이를 낳고 있고,
중산층은 아이 낳기를 주저하고 있으며,
저소득층은 아예 출산을 포기하기 시작했다고 추측할 수 있겠다” 말했다.
아울러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말이 있지만,
이제는 ‘유전자녀, 무전무자녀’라는 말이 생길 수도 있겠다”고도 말했다.
지난해 5월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선 자녀가 성인이 될 때까지
키우는 데 약 3억6500만원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여성시대* 차분한 20대들의 알흠다운 공간 원문보기 글쓴이: 귤토끼이
첫댓글 출산을 포기한 저소득층은 그나마 깨어있는(?) 사람들이네... 돈도 없는데 자꾸 애낳는 사람들 보면 복장터짐 .. 하나 키우기도 버거워보이는데 뭔놈의 애를 자꾸 낳아 ...... 부자들이 애 많이 낳자
이게 맞지... 집도 차도 없는데 애 꾸역꾸역 낳는거 보고 진짜 할말 잃었는데...
요즘은 돈이 많거나 아예 돈이 없는 사람들이 애 많이 낳는듯오히려 중산층들이 애 안낳고
기사 전문 보니까 고소득층 기준이 가구당 6300만원인데 이게 우리가 생각하는 고소득 기준하곤 다른거같은데
엥( ꒪⌓꒪) ….? 맞벌이 3천씩이면 고소득층..? 기사가 좀..
기사에는 인당이랬다가 가구당이랬다가 정확하지 않아서 연구 원문 봤는데 정확히 얼마로 구분했다고 나오지도 않고 2010년이랑 2019년이랑 비교한거라 흠.. 소득구간을 얼마로 산정한건지 ㅎ
2023년 중위소득기준으로보면 2인가구로 잡은거같아(확실하지않음)
@모노로로호 와 2인가구를 6300으로 잡은것 같다는거지? 나도 믿을수없어서 원문까지 본건데ㅜ 대박이네
근데 똑똑하다..... 기를 여건이 안된다고 생각하니 애를 포기하네.. 교육열 높은나라답네
프레임 짜네 근데 안 속지
근데 부자들이 애 낳으면 탄소배출 수준이 중저소득층 애들이랑 차원이 다르던데 그거보니까 마냥 부자들 애낳으라고 하고싶지듀 않아짐ㅋㅋㅋ 어차피 부자들은 애 낳아서 다 해외로 보내서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크게 도움도 안 되고...
의외네
와 진짜? 내 주변은 오히려 고소득자들이 결혼도 늦게 애도 하나 혹은 아직인데저소득층들이 둘셋 낳던데
한국인들 진짜 똑똑해서 전세계적으로 인구동향 한국만 이렇다는 글 보고 이해가 되더라
삭제된 댓글 입니다.
근데 1인당으로 보는거면 부모가 둘 다 일하면 1억 넘는걸로 보나? 가구로 봐야하지 않나?
고소득은 모르겟는데 확실히 저소득은 애 줄줄이 낳더라ㅜㅜㅜ
아니던데오히려 저소득층들이 애 둘 셋씩 낳던데 내 주변엔 고소득층은 애없음 싹다
저번에 봤던 연구 결과랑은 다르네^^ 왜일까..?
아무래도 돈없으면 다 포기하니까
내주변보면 남편이 고소득인 경우는 아내가 집에서 애기 케어만 할 수 있는경우 애 잘낳긴하던데
고소득층 애들은 거의 다 해외에서 커서 지금 한국에 있는 애들은 큰 해당사항 없다더라.
내 주변도 집안에 돈이 좀 있든지 부모가 안정적으로 잘 벌든지 하는데만 애 낳음. 이 말이 맞는듯... 회사 기혼인 여성분들은 다 커리어 걱정해서 주저하고있어서...낳아도 한명이고
내주변은 저소득은 아예 안낳고 고소득인사람들은 셋씩 낳음
첫댓글 출산을 포기한 저소득층은 그나마 깨어있는(?) 사람들이네... 돈도 없는데 자꾸 애낳는 사람들 보면 복장터짐 .. 하나 키우기도 버거워보이는데 뭔놈의 애를 자꾸 낳아 ......
부자들이 애 많이 낳자
이게 맞지... 집도 차도 없는데 애 꾸역꾸역 낳는거 보고 진짜 할말 잃었는데...
요즘은 돈이 많거나 아예 돈이 없는 사람들이 애 많이 낳는듯
오히려 중산층들이 애 안낳고
기사 전문 보니까 고소득층 기준이 가구당 6300만원인데 이게 우리가 생각하는 고소득 기준하곤 다른거같은데
엥( ꒪⌓꒪) ….? 맞벌이 3천씩이면 고소득층..? 기사가 좀..
기사에는 인당이랬다가 가구당이랬다가 정확하지 않아서 연구 원문 봤는데 정확히 얼마로 구분했다고 나오지도 않고 2010년이랑 2019년이랑 비교한거라 흠.. 소득구간을 얼마로 산정한건지 ㅎ
2023년 중위소득기준으로보면 2인가구로 잡은거같아(확실하지않음)
@모노로로호 와 2인가구를 6300으로 잡은것 같다는거지? 나도 믿을수없어서 원문까지 본건데ㅜ 대박이네
근데 똑똑하다..... 기를 여건이 안된다고 생각하니 애를 포기하네.. 교육열 높은나라답네
프레임 짜네 근데 안 속지
근데 부자들이 애 낳으면 탄소배출 수준이 중저소득층 애들이랑 차원이 다르던데 그거보니까 마냥 부자들 애낳으라고 하고싶지듀 않아짐ㅋㅋㅋ 어차피 부자들은 애 낳아서 다 해외로 보내서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크게 도움도 안 되고...
의외네
와 진짜? 내 주변은 오히려 고소득자들이 결혼도 늦게 애도 하나 혹은 아직인데
저소득층들이 둘셋 낳던데
한국인들 진짜 똑똑해서 전세계적으로 인구동향 한국만 이렇다는 글 보고 이해가 되더라
삭제된 댓글 입니다.
근데 1인당으로 보는거면 부모가 둘 다 일하면 1억 넘는걸로 보나? 가구로 봐야하지 않나?
고소득은 모르겟는데 확실히 저소득은 애 줄줄이 낳더라ㅜㅜㅜ
아니던데
오히려 저소득층들이 애 둘 셋씩 낳던데 내 주변엔 고소득층은 애없음 싹다
저번에 봤던 연구 결과랑은 다르네^^ 왜일까..?
아무래도 돈없으면 다 포기하니까
내주변보면 남편이 고소득인 경우는 아내가 집에서 애기 케어만 할 수 있는경우 애 잘낳긴하던데
고소득층 애들은 거의 다 해외에서 커서 지금 한국에 있는 애들은 큰 해당사항 없다더라.
내 주변도 집안에 돈이 좀 있든지 부모가 안정적으로 잘 벌든지 하는데만 애 낳음. 이 말이 맞는듯... 회사 기혼인 여성분들은 다 커리어 걱정해서 주저하고있어서...낳아도 한명이고
내주변은 저소득은 아예 안낳고 고소득인
사람들은 셋씩 낳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