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복수수(福復壽酬)'
복이란 자기 한 일을 돌려받는 것이고, 오래 사는 것은 자기 한 일에 대한 응보다.
설을 맞이하여 축하하는 인사를 많이 주고 받는다.
한 10년 전까지만 해도 주로 연하장(年賀狀)을 주고 받았는데,,,
지금은 연하장은 거의 사라지고, 컴퓨터 전자우편이나 휴대전화(携帶電話) 문자메시지로 서로 설날 인사를 교환한다.
형식이야 어떠하던 간에
“새해 복(福) 많이 받으십시오”.
“만복이 깃들기를 기원합니다”
등등 복을 받기를 바라는 내용임에는 다를 바 없다.
‘복(福)’이란 글자는. 갑골문(甲骨文)에서는 ‘두 손으로 술동이를 들어 신(神)에게 바치는 모습’을 본뜬 것이다.
신에게 술동이를 바쳐서 빌면 신이 상서로움을 내려 좋은 일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후세에 와서 복이라 하면,,,
으레 오래 사는 것[壽]
부유한 것[富]
지위가 높은 것[貴]
자식이 많은 것[多男]
건강한 것[康] 등을 든다.
누구를 평할 때도
‘복이 많은 사람’.
‘복이 없는 사람’ 등등으로 나눈다.
옛날 가정에서 쓰는 장롱 등의 장석은 그것이 박쥐 모양인데 박쥐는 한자로 ‘복’이다.
그 발음이 ‘복(福)’자와 같기 때문에 복을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다.
흔히 중국 음식점의 문에 ‘복(福)’자를 거꾸로 붙여놓은 것을 볼 수 있는데
거꾸로 ‘도(倒)’자의 뜻에 ‘쏟아 붓는다’ 는 뜻이 있어 ‘복을 마구 쏟아 부어주시오’ 라는 뜻이 된다.
또 ‘도(倒)’자와 이를 ‘도(到)’의 발음이 같으므로. ‘복이 이른다’는 뜻도 겸하고 있다.
이 세상에 어느 누구도 복을 받기를 원하지,재앙을 당하기를 원하지는 않는다.
개중에는 복을 받을 일은 하지 않고 재앙을 받을 짓만 골라 하면서,,,마음으로는 복을 받기를 바라는 사람이 있다.
옛날 어른들이 자손들을 교육 시킬 때,,,
“그런 짓 하면 복 나간다”.
“그러면 복이 달아난다”.
“복을 차버린다”.
“그 참 거복(拒福)이다”
등등의 말을 많이 했다.
밥을 앞에 놓고 먹을 것이 없다고 투정하는 아이나
밥 귀한 줄 모르고 마구 퍼흩는 아이,,,
옷을 함부로 취급하는 아이 등이 많이 듣던 말이다.
복이라는 것은 하늘이나 운명의 신이 주는 것이 아니고, 자기 자신이 스스로 만드는 것이다.
복을 받기를 간절히 원하면서 마음속으로 남을 시기하고 질투하고 모함하고, 입으로는 남을 욕하고 이간질하고 거짓말한다면,
복이 올 턱이 없다.
올바르게 살면 언젠가는 복이 오게 마련이다.
간교한 사기술로 남의 재물을 빼앗거나 남을 모함하거나 억울한 사람을 만들어서 부자가 되고 권력자가 되어 천하에 부러울 것이없는 듯이 살아가는 사람들이 우리 주변에 적지 않다.
그런 식으로 성공한 사람들은 대개 말로가 좋지 않다.
혹 자기 대는 그럭저럭 잘 살았다 해도, 그 아들이나 손자대에 가면 반드시 망나니 같은 자손이 나와 집안을 쑥대밭으로 만들어 버리고 만다.
그래서 복이라는 것은
자기 한 일에 대한 보답[復]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경주의 최부자가 12대 동안 만석을 누리는 것은 하늘이 준 복 때문이 아니고,
겸손하고 절제하고 부지런하고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고 가정을 다스려 나갔기 때문이다.
사람의 수명(壽命)도 마찬가지다.
장수하는 유전적인 요소를 타고난 사람이 분명히 있기는 있다.
그러나 자기가 관리하기에 따라서 얼마든지 수명도 늘릴 수 있다.
비싸고 좋은 차라고 꼭 오래 타는 것이 아니다.
아무리 좋은 차라도 관리를 옳게 하지 않고,
함부로 운전하여 부딪히고 넘어지고 하면 얼마 쓰지 못한다.
좀 싸고 못한 차라도 관리를 잘 하고 조심스럽게 운전하면 오래 쓸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지나친 욕심 안 내고,운동하고 음식 조심하면 누구나 장수할 수 있다.
절제 없이 술 마시고 담배 피우고,
시도 때도 없이 인스턴트 식품 등으로 과식하고,
운동 안하고,불규칙적으로 생활하고,허욕(虛慾)이 많아 늘 불평이 가득한 사람은 몸이 견딜 수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이 장수[壽]하는 것은 자기가 오랫동안 해온 습관에 대한 반응[酬]인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건전한 마음과 건강한 몸으로 행복하게 오래오래 사느냐.
우울하게 불안하게 병고에 시달리느냐 하는 것은 결국 자기 하기에 달려 있다.
*. 福 : 복. 복.
*. 復 : 회복할 복. 다시 부.
*. 壽 : 목숨. 수
*. 酬 : 갚을. 수
'가져온 글'
https://m.cafe.daum.net/spdprpvuswlfmf/B71w/7889?svc=cafeapp클릭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