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가근시(晏家近市)
재상 안영의 집이 번잡한 시장 근처에 있다는 뜻으로, 검소하게 생활하며 권력자에 굴하지 않고 바른 말을 하는 신하의 모습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晏 : 늦을 안(日/6)
家 : 집 가(宀/7)
近 : 가까울 근(辶/4)
市 : 저자 시(巾/2)
중국의 역대 재상 중에서 안영(晏嬰)은 관중(管仲)과 함께 첫째, 둘째를 다툴 만큼 후대에까지 존경을 받는다. 둘 다 춘추시대(春秋時代) 제(齊)나라의 재상으로 100년 이상 앞선 관중이 환공(桓公)을 첫 패자(覇者)로 올리는 데 출중한 능력을 발휘했다면 안영은 세 임금을 모시며 나라를 바르게 이끌었다.
관중이 목적을 향해 물불을 가리지 않고 직진한 데 비해 안영은 몸소 검소하게 생활하며 작은 몸집에도 권력자에 굴하지 않고 바른 말을 하는 거인으로 안자(晏子)라며 존경받을 정도였다. 안영에 따르는 여러 고사 중에서 재상 신분임에도 그가 사는 집(晏家)은 초라하고 시장 가까이 번잡한 데 있었다(近市)는 이야기부터 보자.
안영이 모신 제나라 세 군주는 영공(靈公)과 장공(莊公)과 경공(景公)이다. 경공은 사냥을 좋아하고 세금을 무겁게 매겨 사치에 빠지고 혹형을 일삼아 어지러웠다. 장공의 횡사 후 은거하던 안영을 다시 불러들인 뒤 차츰 안정을 찾게 됐다. 경공은 백성들의 신망을 받는 안영의 집이 초라하고 비좁으며 시장과 가까워 불편하다는 것을 알고 바꿔 주겠다고 했다.
안영은 임금의 신하였던 부친에게서 물려받아 분에 넘치게 살고 있다며 사양한다. "게다가 소신은 시장 가까이에 살아 조석으로 필요한 물건을 살 수 있으니(且小人近市 朝夕得所救/ 차소인근시 조석득소구), 그것은 소인의 이익입니다(小人之利也/ 소인지리야)."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전하는 내용이다.
높은 자리에 있는 안영은 검소한 삶이 생활화되어 있어 불편을 득이라 본 것이다. 안영의 재치 넘치는 간언으로 혹형을 폐지하는 이야기가 이어진다. 경공이 시장 가까이 살고 있으니 물건의 비싸고 싼 것을 아는지 물었다.
당연히 안다며 "의족은 비싸고 보통 신발은 쌉니다(踊貴屨賤/ 용귀구천)"고 답했다. 뛸 용(踊)은 옛날 다리를 잘린 사람이 대신해 신던 의족을 말한다. 당시 경공은 형벌을 남용하고 있어 죄인의 발꿈치를 베는 월형(刖刑)이 가혹하다는 진언이었다. 경공은 이 말을 듣고 처형을 완화한 것은 물론이다.
권세가 높을수록, 돈이 많을수록 더 높이 더 넓게 호화주택을 가지려는 요즘 사람들에겐 전혀 상상이 되지 않는다. 안자의 상상이 안 되는 검소한 생활과 젠 체하며 앞으로 나서지 않는 태도를 말하는 성어를 더 보면 명성을 실감한다. 안영호구(晏嬰狐裘)와 안어양양(晏御揚揚)이 그것이다.
안자는 재상이 된 뒤에도 한 벌의 여우갖옷을 30년이나 계속 입어 검소함으로 칭송을 받았다. 또한 안자의 수레를 끄는 마부가 키 크고 늘씬했던 모양인데 재상보다 제가 잘나 모두 엎드리는 줄 알고 거들먹거리다 부인의 이혼 요구를 받은 뒤 고쳤다는 이야기다.
▶️ 晏(늦을 안)은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날 일(日: 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安(안)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晏(늦을 안)은 ①늦다, 저물다 ②편안하다(便安--) ③(하늘이)맑다 ④화락하다(和樂--: 화평하게 즐기다) ⑤곱다 ⑥온화하다(穩和--) ⑦산뜻하고 고운 모양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천하가 잘 다스려져서 태평함을 안녕(晏寧), 마음이 편안하고 침착한 모양을 안연(晏然), 불안하거나 초조한 빛이 없이 태연스러움 또는 민심 등이 편안하고 태평스러움을 안여(晏如), 아침 늦게까지 잠을 안면(晏眠), 재상 안영의 집이 번잡한 시장 근처에 있다는 뜻으로 검소하게 생활하며 권력자에 굴하지 않고 바른 말을 하는 신하의 모습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안가근시(晏家近市) 등에 쓰인다.
▶️ 家(집 가, 여자 고)는 ❶회의문자로 宊(가)와 동자(同字)이고, 姑(시어미 고)와 통한다. 갓머리(宀; 집, 집 안)部와 안에서 돼지(豕)를 기른다는 뜻을 합(合)하여 집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家자는 '집'이나 '가족'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家자는 宀(집 면)자와 豕(돼지 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예로부터 소나 돼지와 같은 가축은 집안의 귀중한 재산이었다. 그러니 도둑이 훔쳐가지 못하도록 곁에 두는 것이 가장 안전했을 것이다. 그래서 고대 중국에서는 돼지우리를 반지하에 두고 그 위로는 사람이 함께 사는 특이한 구조의 집을 지었었다. 아직도 전통적인 생활방식을 고집하는 중국의 일부 소수민족은 집안에 돼지를 기르고 있다. 家자는 그러한 가옥의 형태가 반영된 글자이다. 그래서 家(가)는 (1)일부 한자어 명사(名詞) 다음에 붙어 그 방면의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이나 또는 어떤 일에 종사하는 사람이란 뜻을 나타내는 말 (2)어떤 일에 능하거나 또는 지식이 남보다 뛰어난 사람이란 뜻을 나타내는 말 (3)어떤 것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 (4)성 다음에 붙어, 그 집안을 나타내는 말 (5)호적상, 한 가(家)로 등록된 친족의 단체 등의 뜻으로 ①집 ②자기(自己) 집 ③가족(家族) ④집안 ⑤문벌(門閥) ⑥지체(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⑦조정 ⑧도성(都城) ⑨전문가 ⑩정통한 사람 ⑪용한이 ⑫학자(學者) ⑬학파(學派) ⑭남편(男便) ⑮아내 ⑯마나님(나이가 많은 부인을 높여 이르는 말) ⑰살림살이 ⑱집을 장만하여 살다 그리고 ⓐ여자(女子)(고)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집 당(堂), 집 우(宇), 집 택(宅), 집 실(室), 집 궁(宮) 등이 있다. 용례로는 부부를 기초로 하여 한 가정을 이루는 사람들을 가족(家族), 한 가족으로서의 집안을 가정(家庭), 집안 살림에 관한 일을 가사(家事), 집에서 나가 돌아오지 않음을 가출(家出), 대대로 전하여 내려오는 집안의 보물을 가보(家寶), 집안 식구를 가구(家口), 남에게 대하여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을 가친(家親), 남에게 자기 아들을 이르는 말을 가아(家兒), 집안 살림의 수입과 지출의 상태를 가계(家計), 한 집안 사람을 가인(家人), 사람이 들어가 살기 위하여 지은 집을 가옥(家屋), 집안이나 문중을 가문(家門), 집안의 어른을 가장(家長), 집안 어른이 그 자녀들에게 주는 교훈을 가훈(家訓), 오랜 세월에 걸쳐 사람에게 길들여져 집에서 기르는 짐승을 가축(家畜), 집안 살림에 관한 일을 가사(家事), 한 집안의 대대로 이어 온 계통을 가계(家系),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된다는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집집마다 또는 모든 집을 일컫는 말을 가가호호(家家戶戶), 빈한한 집안이라서 아무것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살림이 심히 구차함을 이르는 말을 가도벽립(家徒壁立), 집안이 네 벽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 형편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을 가도사벽(家徒四壁), 석은 한 항아리고 담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조금도 없다는 말로 집에 재물의 여유가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을 가무담석(家無擔石), 한 집안에 주인이 둘이 있을 수 없다는 뜻으로 군신의 다름을 이르는 말을 가무이주(家無二主), 집에서 먹는 평소의 식사라는 뜻으로 일상사나 당연지사를 이르는 말을 가상다반(家常茶飯), 타국이나 타향에 살 때는 고향 가족의 편지가 더없이 반갑고 그 소식의 값이 황금 만 냥보다 더 소중하다는 말을 가서만금(家書萬金), 집집마다 알려주어 알아듣게 한다는 뜻으로 누구나 다 아는 것을 이르는 말을 가유호효(家喩戶曉), 집의 닭을 미워하고 들의 물오리를 사랑한다는 뜻으로 일상 흔한 것을 피하고 새로운 것 진기한 것을 존중함을 비유하는 말을 가계야목(家鷄野鶩), 집의 닭을 미워하고 들의 꿩을 사랑한다는 뜻으로 아내를 소박하고 첩을 좋아함 또는 흔한 것을 멀리하고 언제나 새롭고 진귀한 것을 중히 여김을 이르는 말을 가계야치(家鷄野雉), 집집마다 살림이 부족함이 없이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해 살기 좋음을 이르는 말을 가급인족(家給人足), 집안이 가난하여 혼백이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에 빠짐을 이르는 말을 가빈낙탁(家貧落魄), 집이 가난하고 부모가 늙었을 때는 마음에 들지 않은 벼슬자리라도 얻어서 어버이를 봉양해야 한다는 말을 가빈친로(家貧親老) 등에 쓰인다.
▶️ 近(가까울 근, 어조사 기)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책받침(辶=辵; 쉬엄쉬엄 가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斤(근)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斤(근)은 나무를 베는 도끼로 일부를 잘라내다, 구분 짓는 일을 뜻한다. 물건의 주위를 구분하는 일에서 그 주위, 가깝다, 가까이, 가까워진다는 뜻을 나타낸다. ❷회의문자로 近자는 '가깝다'나 '비슷하다', '근처'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近자는 辶(쉬엄쉬엄 갈 착)자와 斤(도끼 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斤자는 '도끼를 그린 것이다. 여기에 辶자가 결합한 近자는 길을 나누듯이 거리를 줄인다는 뜻을 표현하고 있다. 다만 지금의 近자는 거리의 짧음 뿐만 아니라 사람 관계에서의 친분이나 시간의 가까움을 뜻하기도 한다. 그래서 近(근, 기)은 셈을 나타내는 말 뒤에 붙어서 그 아래의 말이 나타내는 수량(數量)이나 시간(時間) 따위에 거의 가까움을 나타내는 말로 ①가깝다 ②닮다, 비슷하다 ③천박하다, 생각이 얕다 ④가까이하다, 친하게 지내다 ⑤사랑하다, 총애하다 ⑥알다 ⑦근처(近處) ⑧곁, 가까운 곳 ⑨가까이 지내는 사람 ⑩근친(近親), 일가(一家), 집안, 친척(親戚) ⑪요사이, 요즘 ⑫가까이, 가까운 데서 그리고 ⓐ어조사(語助辭)(기)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멀 원(遠)이다. 용례로는 가까운 곳을 근처(近處), 육지에 가까운 바다를 근해(近海), 가까운 데 것은 잘 보아도 먼 데 것은 잘못 보는 눈을 근시(近視), 가까운 곳을 근방(近方), 물체를 똑똑하게 볼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점을 근점(近點), 가까운 요즈음이나 요사이를 근래(近來), 요사이나 요즈음을 근자(近者), 가까이 닿음이나 아주 가까움을 근접(近接), 가까운 지난날의 세상을 근세(近世), 도시에 가까운 주변을 근교(近郊), 최근의 형편을 근황(近況), 아주 비슷함이나 거의 같음을 근사(近似), 촌수가 가까운 일가를 근친(近親), 장소나 위치가 가장 가까움을 최근(最近), 거리 상으로 가까운 이웃을 인근(隣近), 가까이 닿음을 접근(接近), 곁의 가까운 곳이나 가까이 친한 사람을 측근(側近), 어떠한 곳을 중심으로 하여 그에 가까운 곳을 부근(附近), 멀고 가까움을 원근(遠近), 정분이 친하고 가까움을 친근(親近), 흔히 보고 들을 수 있을 만큼 알기 쉽고 실생활에 가까움을 비근(卑近),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진다는 뜻으로 나쁜 사람을 가까이하면 그 버릇에 물들기 쉽다는 말을 이르는 말을 근묵자흑(近墨者黑), 붉은빛에 가까이 하면 반드시 붉게 된다는 뜻으로 주위 환경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르는 말을 근주자적(近朱者赤), 부근에 있는 사람들이 즐거워하고 먼 곳의 사람들이 흠모하여 모여든다는 뜻으로 덕이 널리 미침을 이르는 말을 근열원래(近悅遠來), 가까운 곳에서 불이 나 손해는 입지 않았으나 근심을 끼쳐 미안하다는 인사를 일컫는 말을 근화사례(近火謝禮), 가까운 곳에서는 근심하고 먼 곳에서는 염려함을 이르는 말을 근우원려(近憂遠慮), 촌수가 가까운 일가끼리 간음하는 일을 일컫는 말을 근친상간(近親相姦), 먼 데 있는 물은 가까운 데의 불을 끄는 데는 쓸모가 없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멀리 있는 것은 급할 때에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원수근화(遠水近火), 먼 나라와 친하고 가까운 나라를 쳐서 점차로 영토를 넓힘으로 중국 전국시대에 범저가 진왕에게 진언한 외교 정책을 일컫는 말을 원교근공(遠交近攻),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는 말을 이르는 말을 법원권근(法遠拳近), 말은 알아듣기 쉬우나 내용은 깊고 오묘함을 일컫는 말을 언근지원(言近旨遠) 등에 쓰인다.
▶️ 市(저자 시)는 ❶회의문자로 巿(시)는 통자(通字)이다. 옷(巾)을 차려 입고 장보러 간다(之)는 뜻을 합(合)하여 시장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市자는 '시장'이나 '저자'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市자는 亠(돼지해머리 두)자와 巾(수건 건)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래서 이전에는 市자가 상점에 걸린 간판을 그린 것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그러나 금문에 나온 市자를 보면 본래는 兮(어조사 혜)자와 止(발 지)자가 결합한 모습이었다. 止자가 '발'을 그린 것이고 兮자는 소리가 울려 퍼지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니 금문에서의 市자는 발소리가 울려 퍼지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이것은 사람이 많은 시장에서 왁자지껄한 소리가 울려 퍼지고 있다는 뜻이었다. 지금의 市자는 해서체에서 모양이 크게 바뀌어 만들어진 것이다. 그래서 市(시)는 (1)저자. 시장(市場). (2)도시(都市). 시가(市街). (3)시청(侍廳). (4)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저자, 상품을 팔고 사는 시장 ②시가(市街), 인가가 많은 번화(繁華)한 곳 ③장사, 거래(去來), 매매(賣買) ④값, 가격(價格) ⑤벼슬의 이름, 사시(私諡)의 약칭 ⑥행정 구획의 단위 ⑦사다 ⑧팔다 ⑨장사하다, 거래하다 ⑩벌다, 돈벌이를 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서울 경(京), 도읍 도(都), 고을 읍(邑)이다. 용례로는 도회지에 날마다 서는 물건을 사고 파는 곳을 시장(市場), 도시의 주민을 시민(市民), 한 시의 행정을 맡아보는 우두머리를 시장(市長), 도시의 안이나 도시의 중심가를 시내(市內), 행정 구역의 하나인 시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곳을 시청(市廳), 도시의 안을 시중(市中), 시장에서 판매함을 시판(市販), 도시의 형편을 시세(市勢), 상점이 죽 늘어 서 있는 거리를 시가(市街), 인가가 모인 거리를 시정(市井), 갖가지 물건을 늘 팔고 사고 하는 일정한 곳을 시상(市上), 시에서 설립함을 시립(市立), 시에서 하는 경영을 시영(市營), 상품을 시장에 내보냄을 출시(出市), 시장을 열어 물건을 사고팔기 시작함을 개시(開市), 큰 고을에서 일정한 날을 정하여 베풀던 시장을 관시(官市), 빛의 굴절에 이상이 나타나 실제 보이지 아니한 대상들이 눈앞에 잠깐 곡두 같이 나타나는 현상을 해시(海市), 시장과 길거리에서 이루어지는 교제라는 뜻으로 이익이 있으면 서로 합하고 이익이 없으면 헤어지는 시정의 장사꾼과 같은 교제를 일컫는 말을 시도지교(市道之交), 사실이 아닌 것이라도 많은 사람이 말하면 듣는자도 언젠가는 믿게 된다는 말을 시호삼전(市虎三傳), 불규칙한 시의 구역을 고쳐서 바로 잡음을 일컫는 말을 시구개정(市區改正), 대문 앞이 저자를 이룬다는 뜻으로 세도가나 부잣집 문 앞이 방문객으로 저자를 이룬다는 말을 문전성시(門前成市), 빚을 내서 된 장수와 돈 주고 산 관리라는 뜻으로 시조는 벼슬을 팔고 사느라 시장판이 된 조정이라는 말을 채수시조(債帥市曹)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