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세리도(因勢利導)
형세에 맞춰 유리하게 이끌다는 뜻으로, 오판하지 않고 잘 분석함을 이르는 말이다.
因 : 인할 인(囗/3)
勢 : 형세 세(力/11)
利 : 이할 리(刂/5)
導 : 인도할 도(寸/13)
중국의 고대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에는 제자백가(諸子百家)라 할 정도로 다양한 학파가 존재했다. 유가(儒家), 도가(道家) 등 잘 알려진 외에 병가(兵家)는 전략과 용병을 연구한 일파다. 바로 떠오르는 인물로 손자병법(孫子兵法)의 손무(孫武)와 오기(吳起)가 대표한다. 손무의 후손으로 이들보다 100년 정도 뒤에 태어난 손빈(孫臏)이 훌륭히 뒤를 잇는다.
젊은 시절 함께 병법을 배웠던 방연(龐涓)의 모함에 의해 발꿈치 아래를 잘려 본명은 전하지 않고 손빈으로 불리게 됐다고 한다. 전쟁에서는 당연히 이겨야 하고 그래서 주어진 형세를 잘 이끌어(因勢) 유리하게 이끌어야(利導) 승리를 가져오는 것도 당연하다. 손빈의 이야기에서 나왔다.
손빈도 아주 후세인 1972년 손빈병법(孫臏兵法)이 발굴돼 그의 저작으로 인정됐는데 이 성어는 병가를 모아 소개한 사기(史記)의 손자오기(孫子吳起) 열전에 실려 있다. 제(齊)나라 사람인 손빈은 종횡가 귀곡자(鬼谷子) 밑에서 같이 공부했던 방연이 위(魏)나라에서 먼저 대장군이 되자 함께 가 벼슬하게 됐다.
손빈이 자신보다 재능이 훨씬 뛰어나다고 생각한 방연은 은밀하게 죄를 뒤집어씌웠다. 억울하게 두발이 잘리는 형벌을 받은 손빈은 제나라 사신이 왔을 때 아무도 모르게 탈출에 성공하여 군사가 됐다. 조(趙)나라가 위나라 침략을 받고 제나라에 도움을 청했을 때 손빈은 텅 빈 위의 수도를 공격해 구해준 위위구조(圍魏救趙) 전략으로 지략을 떨쳤다.
13년의 세월이 지나 손빈이 방연에 복수할 날이 왔다. 위나라가 한(韓)을 칠 때 제나라 전기(田忌) 장군이 군사를 일으키자 방연이 맞섰다. 손빈이 방연 군사는 용맹을 믿고 제나라 병사를 겁쟁이라 부른다며 건의했다. "전술에 능한 장군이라면, 이런 형세를 잘 이용하여 스스로 유리하게 이끌어가야 합니다(善戰者 因其勢而利導之/ 선전자 인기세이리도지)."
방연 군사에 쫓기듯 도주하여 길이 좁고 험산이 많은 마릉(馬陵)에서 궁수를 매복시켰다. 나무껍질에 "방연은 이 나무 아래서 죽을 것이다(龐涓死于此樹之下/ 방연사우차수지하)"라고 쓴 대로 우박 같은 화살이 쏟아져 방연은 벌집이 되었다.
형세가 불리한데도 오판하거나 만용을 부리면 필히 실패한다. 순서에 따르지 않고 거꾸로 일을 하는 도행역시(倒行逆施)가 그것이다. 명장은 전세에 따라 힘의 균형을 우세하게 잘 이끈다. 바람 따라 돛을 달고 물길 따라 배를 띄우는 순수추주(順水推舟)는 10년 홍수를 해결한 하(夏)나라 우(禹)임금의 물길을 막지 않고 바다로 빠지게 하는 방법과 같다.
한의학에서도 인체의 저항능력을 환자에 유리하도록 이용하는 인세도지(因勢導之) 치료방법이 있다고 한다. 선거에 출마한 사람은 모두가 내편이고 자기를 지지하는 줄 안다. 형세를 분석하지 않고 여론을 오판하다가 신세 망친다.
▶️ 因(따를 인)은 ❶회의문자로 囙(인)은 통자(通字)이다. 사방을 둘러싼(큰입구몸 囗部) 둘레에 사람이 팔 벌리고(大) 있다는 데서 '인하다'를 뜻한다. 에워싼 영토(領土)를 넓히려고 하는 데에는 반드시 큰 원인이나, 이유가 있다는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因자는 '인하다'나 '말미암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因자는 囗(에운담 위)자와 大(큰 대)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因자는 침대에 누워있는 사람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因자의 본래 의미는 '자리'였다. 그러나 후에 因자가 '인하다'나 '말미암다'와 같이 어떠한 원인과 이유를 뜻하게 되면서 본래의 의미는 더 이상 쓰이지 않고 있다. 그래서 여기에 艹(풀 초)자가 더해진 茵(자리 인)자가 따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그래서 因(인)은 (1)원인(原因)을 이루는 근본(根本) 동기 (2)인명(因明)의 논식(論式) 중 논증(論證)의 근거가 되며 논증을 성립시키는 이유로서, 논리학(論理學)에 있어서의 매개념(媒槪念)과 같음 등의 뜻으로 ①인(因)하다(어떤 사실로 말미암다) ②말미암다, 원인이나 계기(契機)로 되다 ③의지(依支)하다 ④의거(依據)하다 ⑤겹치다 ⑥잇닿다(서로 이어져 맞닿다), 연달다 ⑦이어받다 ⑧따르다, 좇다 ⑨부탁(付託)하다 ⑩쌓이다 ⑪친하게 하다, 친하게 지내다 ⑫인연(因緣) ⑬연고(緣故), 연줄, 인연(因緣) ⑭유래(由來), 연유(緣由), 까닭 ⑮원인(原因)을 이루는 근본(根本) ⑯말미암아, 관련(關聯)하여 ⑰~의 이유(理由)로, ~에 의하여 ⑱~에서, ~부터,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인할 잉(仍), 인연 연(緣),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실과 과(果)이다. 용례로는 어떤 사물들 사이에 맺어지는 관계를 인연(因緣), 원인과 결과로 먼저 한 일의 갚음을 인과(因果), 옛 습관을 그대로 좇음 또는 그 습관을 인습(因襲), 사물을 성립시키는 요소를 인자(因子), 이전부터 전하여 몸에 젖은 풍습을 인습(因習), 머뭇거리고 선뜻 내키지 않음 또는 낡은 구습을 버리지 못함을 인순(因循), 어떠한 일의 원인을 사인(事因), 어떤 일의 근본이 되는 까닭을 원인(原因), 어떤 일이 일어나는 핵심적 원인을 요인(要因), 확실한 원인을 확인(確因), 어떤 사물을 발동하여 일으키는 원인을 동인(動因), 죽음의 원인을 사인(死因), 일이 일어나는 원인을 기인(起因), 근본이 되는 원인을 근인(根因), 선악의 과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행위를 업인(業因), 싸움에 지거나 일에 실패한 원인을 패인(敗因), 사물이 이루어지는 원인을 성인(成因), 어떤 사태를 이끌어 낸 원인을 도인(導因), 시집가고 장가듦을 혼인(昏因), 사물이나 현상이 생기는 원인을 생인(生因), 어떤 일의 근본 까닭이나 근본이 되는 원인을 소인(素因), 어떤 작용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을 유인(誘因), 원인과 결과는 서로 물고 물린다는 뜻으로 과거 또는 전생의 선악의 인연에 따라서 뒷날 길흉화복의 갚음을 받게 됨을 이르는 말을 인과응보(因果應報), 원인과 결과가 서로 호응하여 그대로 갚는다는 말을 인과보응(因果報應), 구습을 고치지 않고 목전의 편안함만을 취함 또는 일을 행함에 있어 결단력 없이 우물쭈물 함을 인순고식(因循姑息), 남에게 의뢰하여 남의 힘으로 일을 이룸을 이르는 말을 인인성사(因人成事), 시기를 잘 이용하면 재화도 복리가 된다는 말을 인화위복(因禍爲福), 목이 멘다고 그 음식을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소한 장애를 두려워한 나머지 중대사를 폐함을 이르는 말을 인열폐식(因噎廢食), 언뜻 보이다가 바로 없어져 보이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을 인홀불견(因忽不見), 실패한 것이 바뀌어 성공이 된다는 말을 인패위성(因敗爲成), 안락은 고통의 원인이라는 말을 낙시고인(樂是苦因), 사람의 열로써 밥을 짓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에게 은혜를 입는 것을 떳떳이 여기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불인인열(不因人熱), 부부의 의가 좋은 것은 중매에 의함이 아니라는 말을 친불인매(親不因媒), 착한 원인에 착한 결과라는 뜻으로 선업을 닦으면 그로 말미암아 반드시 좋은 업과를 받음을 이르는 말을 선인선과(善因善果), 악한 원인에서 악한 결과가 생긴다는 뜻으로 악한 일을 하면 반드시 앙갚음이 되돌아온다는 말을 악인악과(惡因惡果) 등에 쓰인다.
▶️ 勢(기세 세)는 ❶형성문자로 势의 본자(本字), 势(세)는 간자(簡字), 埶(세)는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힘 력(力; 팔의 모양, 힘써 일을 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埶(예)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문자의 윗부분인 埶(예)는 나무를 심다, 나무가 자라는 일, 나중에 藝(예)로 쓴 글자와 力(력)은 힘, 힘이 있다, 元氣(원기)가 좋다로 이루어졌다. 나무가 자라듯이 원기가 좋다, 기운차다는 말이다. ❷회의문자로 勢자는 '형세'나 '권세', '기세'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勢자는 埶(심을 예)자와 力(힘 력)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埶자는 묘목을 심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심다'나 '재주'라는 뜻이 있다. 이렇게 묘목을 심는 모습을 그린 埶자에 力자를 결합한 勢자는 나무가 힘차게 자란다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묘목은 작고 연약하지만 언젠가는 크고 울창한 숲을 이루게 될 것이다. 그래서 勢자는 점차 큰 힘을 갖게 된다는 의미에서 '형세'나 '기세'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勢(세)는 (1)세력(勢力) (2)힘이나 기운(氣運) (3)형세(形勢) 등의 뜻으로 ①형세(形勢) ②권세(權勢) ③기세(氣勢: 기운차게 뻗치는 형세) ④기회(機會) ⑤동향(動向) ⑥시기(時期) ⑦불알, 고환(睾丸) ⑧언저리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권세 권(權)이다. 용례로는 권력이나 기세의 힘 또는 일을 하는데 필요한 힘을 세력(勢力), 일정한 자세를 갖춤을 세구(勢具), 형세가 기울어 꺾임을 세굴(勢屈), 권세를 잡을 수 있는 길을 세도(勢塗), 올려다 봐야 하는 형세를 세앙(勢仰), 권세 있는 사람을 세객(勢客), 세력을 얻기 위한 사귐을 세교(勢交), 권세가 있는 자리 또는 그 자리에 있는 사람을 세요(勢要), 어떤 동작을 취할 때 몸이 이루는 어떤 형태를 자세(姿勢), 어떤 현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힘 또는 그 형편을 추세(趨勢), 공격하는 태세나 그 힘을 공세(攻勢), 병으로 앓는 여러 가지 모양을 증세(症勢), 정치 상의 형세를 정세(政勢), 남보다 나은 형세를 우세(優勢), 상태와 형세를 태세(態勢), 일이 진행되는 결정적인 형세를 대세(大勢), 사물의 형편과 세력을 형세(形勢), 사람을 두렵게 하여 복종시키는 힘을 위세(威勢), 권력과 세력을 권세(權勢), 적을 맞아 지키는 형세 또는 힘이 부쳐서 밀리는 형세를 수세(守勢), 어떤 때의 형세 또는 어느 일정한 때의 어떤 물건의 시장 가격을 시세(時勢), 사람이 타고난 운명이나 운수를 운세(運勢), 약한 세력이나 기세 또는 물가나 시세 따위가 떨어지고 있는 상태를 약세(弱勢), 실제의 세력 또는 그 기운을 실세(實勢), 힘찬 세력 또는 물가 상승의 기세를 강세(强勢), 세력을 제거함을 거세(去勢), 바깥의 형세 또는 외국의 세력을 외세(外勢), 실상은 없이 겉으로 드러내는 형세를 허세(虛勢), 세력을 더하는 일이나 거드는 일을 가세(加勢), 힘이 상대편보다 못한 형세를 열세(劣勢), 기세가 대나무를 쪼개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기세가 맹렬하여 대항할 적이 없는 모양을 세여파죽(勢如破竹), 권세는 10년을 넘지 못한다는 뜻으로 권력은 오래가지 못하고 늘 변한다는 말을 세불십년(勢不十年), 기세가 다 꺾이고 힘이 빠짐이나 기진 맥진하여 꼼짝할 수 없게 됨을 이르는 말을 세궁역진(勢窮力盡), 권세 있는 사람에게 빼앗기는 것을 이르는 말을 세가소탈(勢家所奪), 권세와 이익을 위하여 맺는 교제를 일컫는 말을 세리지교(勢利之交), 비슷한 두 세력은 동시에 존재할 수 없다는 말을 세불양립(勢不兩立), 사세가 그렇지가 아니할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을 세소고연(勢所固然),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으로 곧 세력이 강대하여 대적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쳐들어가는 기세 또는 세력이 강하여 걷잡을 수 없이 나아가는 모양을 이르는 말을 파죽지세(破竹之勢), 누구를 형이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형제인 장남과 차남의 차이처럼 큰 차이가 없는 형세 또는 우열의 차이가 없이 엇비슷함을 이르는 말을 백중지세(伯仲之勢), 포개어 놓은 알의 형세라는 뜻으로 몹시 위험한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누란지세(累卵之勢), 헛되이 목소리의 기세만 높인다는 뜻으로 실력이 없으면서도 허세로만 떠벌림을 이르는 말을 허장성세(虛張聲勢),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기세라는 뜻으로 범을 타고 달리는 사람이 도중에서 내릴 수 없는 것처럼 도중에서 그만두거나 물러설 수 없는 형세를 이르는 말을 기호지세(騎虎之勢), 장대 끝에 서 있는 형세란 뜻으로 어려움이 극도에 달하여 꼼짝 못하게 되었을 때를 이르는 말로서 아주 위태로운 형세를 비유하는 말을 간두지세(竿頭之勢) 등에 쓰인다.
▶️ 利(이로울 리/이)는 ❶회의문자로 勿(물)은 여기에서는 쟁기와 흙을 나타내는 모양이며 논을 갈아 엎는 모양이다. 禾(화)는 벼라는 곡식을, 利(리)는 곡식을 만드는 밭을 가는 쟁기로, 쟁기날이 날카롭다, 나중에 날카롭다는 것과의 관계로 부터 勿(물)을 刀(도)로 쓰게 되고, 또 刀(도)는 돈과 관계가 있으므로 이익의 뜻으로도 쓰여지게 된 듯하다. ❷회의문자로 利자는 '이롭다'나 '유익하다', '날카롭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利자는 禾(벼 화)자와 刀(칼 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벼와 칼을 함께 그린 것이니 利자는 벼를 베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利자는 본래 칼이 벼를 벨 수 있을 정도로 '날카롭다'라는 뜻을 위해 만든 글자였다. 利자에 아직도 '날카롭다'나 '예리(銳利)하다'라는 뜻이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利자는 후에 '이익'이나 '이롭다'라는 뜻이 파생 되었는데, 벼를 베어 추수하는 것은 농부들에게 수익을 가져다 주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利(리)는 ①이롭다, 이하다(이익이나 이득이 되다) ②이롭게 하다 ③유익하다 ④편리하다 ⑤통하다 ⑥날카롭다 ⑦이기다 ⑧날래다 ⑨탐하다 ⑩이자 ⑪이익(利益) ⑫승전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더할 가(加), 더할 증(增), 더할 첨(沾), 더할 첨(添), 더할 익(益),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해할 해(害)이다. 용례로는 편리하게 씀을 이용(利用),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보탬이 된 것을 이익(利益), 이익을 얻음을 이득(利得), 남에게 돈을 빌어 쓴 값으로 무는 일정한 비례의 돈을 이자(利子), 돈벌이를 하는 동안에 남는 돈을 이윤(利潤), 적을 이롭게 함을 이적(利敵), 자기 이익만 꾀함을 이기(利己), 이익을 탐내는 욕심을 이욕(利欲), 다른 이에게 이익을 주는 일을 이타(利他), 겨루어 이김을 승리(勝利), 이익이 있음을 유리(有利), 편하고 이로우며 이용하기 쉬움을 편리(便利), 빌려 준 돈의 이자를 금리(金利), 조건이나 입장 따위가 이롭지 못함을 불리(不利), 날이 서 있거나 끝이 뾰족함을 예리(銳利), 부당한 방법으로 얻은 이익을 폭리(暴利), 이익을 얻음을 득리(得利), 실지로 얻은 이익을 실리(實利), 이해 관계를 이모저모 따져 헤아리는 일을 일컫는 말을 이해타산(利害打算), 기구를 편리하게 쓰고 먹을 것 입을 것을 넉넉하게 하여 백성의 생활을 나아지게 함을 이르는 말을 이용후생(利用厚生), 이로움과 해로움 이나 얻음과 잃음을 일컫는 말을 이해득실(利害得失), 이익과 손해가 반반으로 맞섬을 일컫는 말을 이해상반(利害相半), 이욕은 사람의 밝은 지혜를 어둡게 만듦을 이르는 말을 이령지혼(利令智昏), 나라를 이롭게 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함을 일컫는 말을 이국편민(利國便民), 이를 찾는 문과 명예를 얻는 길을 일컫는 말을 이문명로(利門名路), 이가 되든지 해가 되든지 간에를 이르는 말을 이불리간(利不利間), 적을 이롭게 하는 짓을 이르는 말을 이적행위(利敵行爲), 이로움이 있는 곳을 말함을 이르는 말을 이지소재(利之所在), 이해를 따지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을 이해불계(利害不計), 이해에 관하여 지극히 작은 것이라도 따진다는 뜻으로 인색함을 가리키는 말을 이석추호(利析秋毫) 등에 쓰인다.
▶️ 導(인도할 도)는 ❶형성문자로 导(도)의 본자(本字)이다. 음(音)을 나타내는 道(도)는 길, 寸(촌)은 손→ 도와줌, 導(도)는 남을 도와서 목적지에 인도하다→ 남의 행실을 좋은 쪽으로 인도하는 일, 옛날에는 道(도)와 導(도)는 같을 글자로서 道(도), '길', '인도하다'의 뜻을 나타냈다. ❷회의문자로 導자는 '이끌다'나 '인도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導자는 道(길 도)자와 寸(마디 촌)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여기서 道자는 길을 그린 辶(갈 착)자와 首(머리 수)자를 결합한 것으로 '길'이나 '도리'라는 뜻이 있다. 본래 '인도하다'라는 뜻은 道자가 먼저 쓰였었다. 그러나 후에 道자가 '도리'나 '이치'를 뜻하게 되면서 여기에 寸자를 더한 導자가 '사람을 인도한다' 라는 뜻을 대신하게 되었다. 寸자가 사람의 손을 그린 것이니 지금의 導자는 마치 손으로 방향을 가리켜 목적지를 안내하는듯한 모습이 되었다. 그래서 導(인도할 도)는 ①인도하다(引導--) ②이끌다 ③소통(疏通)하게 하다 ④통하다(通--) ⑤행동(行動)으로 옮기다 ⑥행하다(行--) ⑦간하다(諫--: 웃어른이나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하다) ⑧인도 ⑨유도(誘導) ⑩안내(案內) ⑪지도 따위의 뜻이 있다. 유의어로는 引(끌 인), 惹(이끌 야, 비방할 약), 携(이끌 휴), 敎(가르칠 교), 訓(가르칠 훈, 길 순), 誨(가르칠 회) 등이다. 용례로는 끌어 들임으로 인도하여 들임을 도입(導入), 결론 등을 논리적으로 이끌어 냄을 도출(導出), 어떤 목적이나 방향에 따라 가르쳐 이끎을 지도(指導), 이끌어 가르침 또는 길을 안내함을 인도(引導), 꾀어서 이끎을 유도(誘導), 계발하여 지도함 또는 깨우쳐 이끌어 지도함을 계도(啓導), 주장이 되어 이끎을 주도(主導), 열 또는 전기가 그 물체의 한 부분에서 점차 다른 부분으로 옮아 감을 전도(傳導), 남의 앞에 서서 인도함 또는 앞장서서 안내함을 선도(先導), 잘못을 바로잡아 인도함을 교도(矯導), 어떤 대상을 그릇된 길로 이끄는 것을 오도(誤導), 온화한 기색으로 남의 환심을 사는 일을 일컫는 말을 도영화기(導迎和氣), 형세에 맞춰 유리하게 이끌다는 뜻으로 오판하지 않고 잘 분석함을 이르는 말을 인세리도(因勢利導)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