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벽을 없애고 바룻바닥을 교체하고 천장을 드러내 조명 공사를 하는 것만이 인테리어는 아니다!
전셋집을 내 집처럼 꾸미는 방법『전셋집 인테리어』. 이 책은 그냥 살기에는 아쉽고 고치기에는 부담스러운 전셋집을 합리적인 비용으로 셀프 리폼하는 노하우를 소개한다. 전세 계약 방법부터 좋은 전셋집을 구하는 법, 집을 꾸미는 법까지 처음 전셋집을 계약하는 이들부터 낡은 집이나 내 마음에 들지 않는 집을 멋지게 꾸미고자 하는 이들에게 큰돈을 들이지 않고도 만족스런 결과를 낼 수 있는 셀프 인테리어 아이디어를 자세하게 알려준다. 저자의 첫 번째 전셋집과 두 번째 전셋집, 그리고 저자가 인테리어 한 친구의 신혼집, 가족의 방을 비포 앤 애프터로 나누어 변화한 모습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전해주며 이를 통해 전셋집을 처음 이사 올때와 확 다르게 꾸밀 수 있는 인테리어 팁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
저자 : 김동현
저자 김동현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살아가는 평범한 30대 샐러리맨. 여우같은 부인과 토끼 같은 딸을 둔 한 집안의 가장이자 스무 살까지 형들에 치어 내 방 한 번 못 가져봐 한이 맺힌 셋째 아들이기도 하다. 어릴 때부터 건축, 인테리어, 만화에 관심이 많았다. 이 세 분야와 전혀 상관없는 일을 하고 있지만 신기하게도 내 집도 아닌 전셋집을 꾸민 노하우가 네티즌들 사이에서 입 소문을 타 유명해졌다. 첫 전셋집인 18년 된 아파트를 카페 스타일로 직접 꾸민 노하우를 자신의 블로그와 레몬테라스 카페에 공개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두 번째 전셋집과 인테리어에 도움을 준 주변 사람들의 집이 여러 인테리어 관련 도서와 잡지에 소개되었다. 네이버 블로그 ‘김반장의 이중생활’을 통해 공감 가는 전셋집 인테리어 노하우를 공개하여 많은 이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가장 좋아하는 명언은 윈스턴 처칠의 ‘사람이 집을 만들고 집이 사람을 만든다’.
Prologue
PART 1. 직접 꾸민 전셋집 이야기
김반장의 신혼집_59.5㎡(18평) 아파트 인테리어
김반장이 인테리어한 공간_ 13.2㎡(4평) 처형의 싱글 룸
bonus page_나만의 공간을 꿈꾸는 당신에게
김반장이 인테리어한 공간_59.5㎡(18평) 친구의 신혼집
김반장의 두 번째 전셋집_85㎡(26평) 복도식 아파트
bonus page_ Q&A 전셋집을 꾸미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질문들
PART 2. 인테리어 준비 A to Z
전셋집 구하기부터 이사까지
인테리어의 시작, 정리와 수리
bonus page_김반장이 추천하는 인테리어 핫 스트리트
PART 3. 전셋집 리폼과 꾸미기
작은 변화로 큰 효과 보는 리폼
bonus page_자투리 공간을 나만의 특별한 공간으로!
인테리어의 꽃, 수납과 장식
PART 4. 공간에 딱 맞는 DIY 가구
맞춤 가구 만들기 A to Z
공간별 맞춤 가구 만들기
bonus page_김반장이 알려주는 생활 속 Plus Tip ①
bonus page_김반장이 알려주는 생활 속 Plus Tip ②
bonus page_김반장이 엄선한 인테리어 온라인 사이트
Epilogue
내 집이 아니라도
사는 동안은 멋지게! 내 스타일로!
처음 이사 올 때와 확 달라지는 전셋집 셀프 인테리어 노하우
■ 출간 의의
예비부부, 신혼부부, 싱글 남녀 등 전셋집을 계약하고 멋지게 꾸며보고 싶은 이들을 위한 인테리어 가이드북이다. 첫 보금자리를 마련하는 이들에겐 전세 계약 방법부터 좋은 전셋집을 구하는 법, 집을 꾸미는 법까지 모두 막막하고 큰일처럼 느껴질 것이다.
이 책에서는 처음 전셋집을 계약하는 이들이 꼭 알아둬야 할 실질적인 정보부터 낡은 집이나 내 마음에 들지 않는 집을 합리적인 비용으로 멋지게 꾸밀 수 있는 방법까지 상세하게 알려준다.
2년 혹은 상황에 따라서 더 오랜 기간을 거주할 수도 있는 곳이기에 내 마음에 들게 꾸미고는 싶지만, 내 집은 아니기에 큰돈을 들이기도 아까운 것이 전셋집이다. 큰돈 들이지 않고도 효과는 100% 누릴 수 있는, 인테리어 업체에 비싼 수수료 물지 않아도 되는 알찬 셀프 인테리어 노하우를 찾는다면 이 책이 그 해답을 알려줄 것이다.
■ 내용 소개
그냥 살기에는 아쉽고 고치기에는 부담스러운 전셋집!
합리적인 비용으로 셀프 리폼하는 노하우
대한민국 국민 10명 중 5명은 전셋집 거주자이다. 예비부부나 신혼부부 등 처음으로 보금자리를 마련하는 이들 중 내 집을 가지고 시작하는 이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서점에 가면 수많은 인테리어 책들을 만날 수 있지만 그 속에 소개된 집은 대부분 전문가의 손길이 닿거나 값비싼 자재와 가구들로 화려하게 꾸민 공간이라 나와는 거리가 먼 이야기로 보였던 것도 사실이다. 내 집이 아닌 전셋집을 인테리어하는 방법은 이런 방식과는 조금 달라야한다.
이 책은 자가 주택에 비해 거주 기간이 짧은 전셋집이라도 내 스타일로 꾸미고 살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가장 현실적인 인테리어 책이다. 인테리어 하면 당연하듯 떠오르는 구조 변경, 싱크대 교체, 욕실 수리, 조명 공사, 붙박이장 설치 및 문짝 교체 같은 건 전혀 없다. 기존 벽지 위에 페인트칠을 하고, 장판과 벽이 만나는 굽도리 부분은 흔히 하는 비닐 재질의 굽도리 대신 나무 패널을 간단하게 붙여 고급스럽게 마감한다. 또한 벽에 못 하나 박지 않고 와이어걸이를 이용해 액자를 거는 등 전셋집에 손상이 가지 않게 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는 100% 볼 수 있는 기발하고 놀라운 셀프 인테리어 노하우를 보여준다.
생애 첫 ‘집 꾸미기’에 도전하는 이들을 위한 가이드북!
우리에겐 이런 현실적인 인테리어 책이 필요했다
이 책의 저자인 ‘김반장’은 인테리어 전문가도 건축을 전공한 이도 아닌, 평범한 30대 샐러리맨이자 가장이다. 신혼집으로 얻은 18년 된 아파트를 그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하나하나 손수 고치고 다듬었다. 작은 공간이지만 동선을 잘 짜서 효과적으로 가구를 배치하고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소품으로 꾸민 그의 집은‘카페 같은 집’으로 네티즌들에게 열렬한 호응을 얻었으며, 여러 잡지와 인테리어 책에 소개되었다.
이 책에서는 김반장의 첫 번째 전셋집과 두 번째 전셋집, 김반장이 인테리어한 친구의 신혼집과 가족의 방 등을 <비포 앤 애프터>로 나눠 확실한 변화 모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 과정을 통해 인테리어 준비 과정, 작은 변화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리폼 방법, 수납과 장식 방법까지 셀프 인테리어의 모든 것을 배워볼 수 있다.
전셋집을 꾸미려고 할 때 걱정되는 점들(전셋집을 내 마음대로 고치면 주인이 싫어하지 않을까, 내 집도 아닌데 돈을 적게 들이고 꾸밀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어떤 집이 셀프 리폼하기 좋은 곳일까)에 대해서도 저자의 경험에서 비롯된 합리적이고 명확한 답을 제시한다.
<김반장이 추천하는 인테리어 핫 스트리트>와 <김반장이 엄선한 인테리어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서는 이제 막 인테리어에 눈 뜬 이들이 영감을 받거나 참고할 수 있는 곳들을 엄선하여 보여준다.
인테리어 비용의 상당 부분이 인건비니 직접 팔을 걷어붙이면 비용을 확 줄일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그래도 언젠가 떠날 집인데 들어간 수고와 비용이 아깝지 않느냐고요? 집 자체에는 최소한으로 손을 대고 이사 갈 때마다 가지고 다닐 수 있는 것에 돈과 노력을 들이면 되지요.
말이 쉽지 방법을 모르시겠다고요? 때는 바야흐로 넘쳐나는 정보의 시대. 마음만 먹으면 내 손으로 아늑한 한옥도 지을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답니다.
저는 인테리어 전공자는 아닙니다. 물론 건축 관련 업종과도 전혀 상관없는 평범한 샐러리맨입니다. 모든 작업은 퇴근 후 또는 쉬는 날에 빈방과 베란다와 아파트 비상구에서 이루어졌고요. 그러니 스타일리스트와 시공 전문가들이 꾸민 공간보다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아니, 당연히 부족하겠지요.
그렇기 때문에 제가 하는 작업은 약간의 관심과 무모함과 의지만 갖춘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들입니다. 간혹 너무나 훌륭하게 따라 해 제가 자극을 받을 정도로 멋진 결과물을 자랑하는 분들을 보면 감탄을 금치 못할 정도라니까요. -Prologue 중에서
제가 꼽는 인테리어하기 좋은 전셋집의 조건은 채광과 구조가 좋고, 적당히 낡았는데 싱크대와 화장실은 깨끗한 집입니다. 거기에 집주인 마음이 넉넉하면 금상첨화겠지요. 원하는 걸 얻으려면 포기도 해야 한다는 건 인생의 모든 일에 통용되는 법! 집이 좀 낡아도 괜찮다는 카드로 다른 것들을 욕심내보는 거죠.
전세 계약의 조건은 처음 상태 그대로 살다 나오는 게 원칙이라 집주인이 까다로우면 집 자체에는 손대기 힘들어집니다. 집주인이 어느 정도의 변화에는 트집 안 잡고 넘어갈 정도로 사람이 괜찮아 보이면 집에 손을 좀 보겠다는 의사를 미리 밝혀두는 편이 좋아요. 그래서 오히려 적당히 낡은 집이 좋습니다. 새 집이나 최근에 인테리어를 한 집들은 집주인이 집에 손대는 것에 대해 매우 민감하거든요.
적당히 낡은 집은 집주인이 집의 변화에 덜 까다롭기도 하고 오히려 좋게만 바꿔준다면 손보는 걸 은근히 반기기도 합니다. 게다가 낡은 집은 도배와 장판, 몰딩이나 문짝만 칠해도 분위기가 확확 바뀌는 걸 보는 재미가 쏠쏠하거든요. 다만 세입자로서는 쉽게 고치기 힘든 부분이 있는데 바로 싱크대와 화장실입니다. 두 경우 모두 내 돈 들여 바꾸기도 부담스럽고 혹시 고쳤는데 집주인이 따지고 들면 원래대로 돌려놓기도 어려워요. -78p. '셀프 인테리어하기 좋은 전셋집의 기준' 중에서
첫댓글 김동현 지음 / 출판사 미호 | 2012.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