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인지능력의 첫번째가 자기인지로부터의 시작인데 내 행동의 동기가 무엇인지 이해하면 남의 동기에 이해로도 확장됨. 예시만 놓고 보면 여시는 예를 들어 무의식에 '나는 부족한 사람이다' '그런 내가 부끄럽다' 라는 믿음을 가질 수 있음. 그래서 남에게 비춰질 나의 자아상이 자꾸 신경쓰이는 걸 수 있음. 여시자체가 부족한 사람이 아니라도 내 믿음이 그런 느낌을 계속 유발 시킬 수 있음. 그럼 이제 더 들어가서 무엇이 그런 믿음을 강화시켰는지 파서 해소시키는 과정을 거치면 정서적 안정과 함께 인지능력도 향상되서 남의 마음을 더 신경써줄 수 있게됨. 그래서 해소를 위해 심리상담도 받고 세미나도 듣고 셀프러브가 중요함. 핵심은 '나는 부족한(부끄러운)사람이야'라는 믿음을 '나는 있는 그대로 괜찮은 사람이야'라는 믿음으로 대치시키는 것. - 공부했던거 대충 써봤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다!
첫댓글 2,3번 화사 후임이랑 똑같은데, 이게 자의식과잉이구나
3,4 가 은근 많은거 같아… 겉으론 착하고 순해보이지만… 주변에 은근 많음
삭제된 댓글 입니다.
22 문제가 아닌걸 문제라고 여기고 스스로 옥죄는거 같은데;
상대방마음은 100프로알수도없고..내가어찌할수없는영역이라는걸 인지한다면 마음이 편해짐
항상 주의해야겠다..
걍 사담 줄이고 자기 본업에 집중하면 겸손해지던데
나는 내가 남한테 진짜 관심없어서 남들도 그런줄 알았는데 내 생각보다는 남들한테 관심많더라
메타인지능력의 첫번째가 자기인지로부터의 시작인데 내 행동의 동기가 무엇인지 이해하면 남의 동기에 이해로도 확장됨. 예시만 놓고 보면 여시는 예를 들어 무의식에 '나는 부족한 사람이다' '그런 내가 부끄럽다' 라는 믿음을 가질 수 있음. 그래서 남에게 비춰질 나의 자아상이 자꾸 신경쓰이는 걸 수 있음. 여시자체가 부족한 사람이 아니라도 내 믿음이 그런 느낌을 계속 유발 시킬 수 있음. 그럼 이제 더 들어가서 무엇이 그런 믿음을 강화시켰는지 파서 해소시키는 과정을 거치면 정서적 안정과 함께 인지능력도 향상되서 남의 마음을 더 신경써줄 수 있게됨. 그래서 해소를 위해 심리상담도 받고 세미나도 듣고 셀프러브가 중요함. 핵심은 '나는 부족한(부끄러운)사람이야'라는 믿음을 '나는 있는 그대로 괜찮은 사람이야'라는 믿음으로 대치시키는 것. - 공부했던거 대충 써봤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