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가지 상담이론의 비교
1. 정신분석상담론
1) 개요
주창자: sigmund Freud, Jung, Adler,
인간행동의 기본 동기를 성적 에너지에 두고 무의식, 어린 시절의 경험, 성, 공격성 들을 강조한다.
융은 인간행동의 기본 동기를 개인적인 것과 종족의 역사와 목적 및 욕망으로 본다.
유소년기의 경험이 성격을 형성하고 무의식이 모든 표출 행동의 원동력이다. 따라서 유소년기의 경험중 무의식에 억압되어 있는 것을 상기시켜 늦게라도 그 체험을 극복하게 하는 것, 곧 무의식의 의식화(자유연상, 꿈의 해석, 실언, 잠꼬대)를 중요시한다.
2) 기본철학과 주요개념
프로이드는 개인의 성격은 유아기(0~5세)의 경험들에 의하여 형성되고 성적에너지(libido)는 일련의 심리성욕단계-구순기, 항문기, 남근기, 잠재기, 성기기-를 거쳐 발달해 간다고 하였다. 여기서 그가 말하는 성이란 성교만이 아니라 신체에 쾌감을 얻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인간은 원욕(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의 세가지 성격구조를 갖는다.
id는 쾌락의 원리(pleasure principle)에 따르는 생득적, 생물학적 반사및 충동과 본능을 포함한다. 고통을 최소화하고 쾌락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반응하는 것이다.
ego 는 현실의 원리(reality principle)에 입각한 현실적인 사고과정을 통하여 통제하고 반응할 환경의 성질을 검토하고 선정하며 욕구를 만족시킬 방법을 결정한다. 또한 id와 초자아 사이의 갈등을 조정, 통합하는 조정자 역할을 한다.
super-ego는 당위성의 원리(should principle)에 따르며 현실보다는 이상을, 쾌락보다는 완성을 추구한다. 양심, 도덕, 규범 등이 이에 속한다.
자아가 불안을 의식적인 수준에서 합리적으로 대처할 수 없을 때 그 개인은 무의식적이며 현실의 거부 혹은 왜곡을 통하여 방어적인 행동을 하게 되는데 그것을 방어기제라 한다. 곧 이는 불안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전략과 탈출구라고 할 수 있다. - 억압(repression), 억제(suppression), 승화(sublimation), 합리화(rationalization), 감정전이(transference), 치환(displacement), 지성화(intellectualization), 퇴행(regression), 도피(escape), 동일화(identification), 섭취(interjection), 투영(projection),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보상(compensation)이 있다.
3) 상담기술과 방법
상담과정은 4단계로 구성되는데 a.시작단계(opening):만남과 정보 분석, b.발달과 전이단계(development of transference): 친숙한 관계(rapport)가 형성되고 내담가가 자신의 무의식적인 갈등을 표출하는 단계 곧 전이가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c.작업단계(working through):꾸준한 만남속에 내담자의 문제를 통찰하는 단계, d.해결단계(resolution of the transference):전이의 분석이 종결되고 내담자의 무의식적이고 신경증적인 애착이 해결된다.
상담에서 사용되는 기술로는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해석(interpretation), 꿈의 분석과 해석, 저항의 분석과 해석, 전이의 분석과 해석, 공감, 버텨주기(holding):내담자의 불안과 두려움을 상담자가 잘 알고 있다는 것을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에게 적절한 순간에 적합한 방법으로 전해주는 것, 간직하기(containing):상담자가 내담자가 두려워하는 모든 경험과 체험등을 간직하고 완화시켜주는 역할. 이를 위해서는 상담자가 심한 좌절을 견디어낼 수 있는 감정의 통제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4) 주의사항
감정전이와 저항의 취급을 중요시해야 한다: 방어를 풀고 본래 성격이 나오도록 장면을 설정한다. 그리고 전이를 통해서 증오감정의 소재를 찾는다.
상담자는 역전이(countertransference)에 유의한다. 역전이는 내담자의 전이에 대한 상담자의 태도, 반응을 말하는데 상담자가 내담자의 전이에 반응하여 자신의 분노나 신경증적인 감정을 폭발하는 상태를 말한다.
상담자가 권위적인 입장을 취하지 않아도 저항을 받는 session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런 것들에는 약속위반, 고의적 지각, 진실성이 없는 말 등이다. 이런 것들이 제거될 때 심층반응이 나타난다.
2. 인간중심상담론
1) 개요
인간중심상담은 비지시적 상담(1940), 내담자중심 상담(1951)으로 불리다가 최근(1974)에 개칭된 Rogers에 의해 창안되었다. 모든 인간은 계속적인 성장에 대한 궁극적인 관심이 있고 누구나 이와같은 성자으이 잠재능력을 갖고 있다는 인간관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담 혹은 심리치료는 개인 속에 이미 존재하는 잠재 능력을 제약되고 왜곡된 상태로부터 해방시킴으로써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간의 성장을 조력하는 것이다.
2) 기본철학과 주요개념
Rogers는 객관적 세계보다는 어떻게 느끼는가의 주관적 세계가 행동의 원천이 된다는 견해 곧 현상학과 그러한 세계를 중시한다. 자아(self)의 개념은 개인의 여러 특성들과 능력들, 다른 사람이나 환경과 관계된 자신에 대한 지각과 개념들, 경험과 대상들과 관련된 가치관, 그리고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유인성을 갖는 것으로서 지각되는 목표및 이상같은 요소들이다. 인간은 평생동안 자신을 완성해 가는데 곧 개인의 독특한 특성들과 잠재력을 발달시켜 간다. 자아실현은 완전한 최종상태가 아니라 죽을 때까지 지속되는 성장과정이다.
자아 실현은 자아 일치로 나아가는데 '있는 그대로의 나'(actual self:현실적 나)와 '결심한 나'(idealized self:이상적 나)의 일치를 추구한다.
Rogers는 성공적인 삶 혹은 이상적인 삶을 사는 사람을 '만족한 역할 수행자'(fully functioning person)로 정의하는데, patterson(1980)에 의하면 인간이 만족하게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은 심리적 적응, 심리적 성숙, 완전한 자아일치, 경험에의 개방성(모든 자극들이 어떤 방어기제에 의해서 왜곡되거나 변명되지 않고 신경체계를 통해 자유롭게 전달될 수 있는것)을 갖춘 것이다고 한다.
3) 상담기술과 방법
상담의 과정에서 제1단계는 피상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2단계에서는 가끔 감정들이 표출되고 자신의 문제라기 보다는 객관적인 다른 사람의 문제처럼 지각된다. 3단계는 보다 많은 감정들과 사적인 내용들이 표출된다. 그러나 2단계와 같이 하나의 객체로서 자기와 관련된 경험들을 표출한다. 4단계에서는 자신이 지속적으로 수용되고 있다고 느낄때, 보다 자유로운 감정의 흐름이 가능해진다. 제 5단계에서는 수용적인 분위기속에서 감정들이 느낌으로 표현된다. 6단계에서는 전에 부인했던 감정들이 현재의 경험들로 수용된다. 내담자는 자신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대처한다. 제 7단계는 상담자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는 단계이다.
인간중심 상담에서는 상담기법보다는 상담자의 철학이나 태도가 강조된다. 그리고 상담자의 언행보다는 오히려 상담관계가 강조된다. 이런 점에서 상담자는 상담관계에서 진실성(곧 일치성)을 보여야 하고 내담자를 평가, 판단하지 않고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정확한 공감적 이해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3. 행동주의 상담론
1)개요
행동자체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절차와 기법을 학습심리학적 원리에 바탕을 둔다. 대표적인 학자로 Franks, Pavlov, Watson, Skinner, Wolpe가 있다.
2) 기본 철학과 주요개념
Ivan P. Pavlov는 개의 침샘분비를 연구하여 조건반사이론을 이루어냈다. - 조건형성전에는 무조건자극에 무조건반사만 있고(고기-침), 조건형성과정에서는 무조건자극(고기)과 조건자극(종)에 무조건 반응(침)이 수반되었고, 조건형성 후에는 조건자극(종) 만으로 조건자극(침)을 이루어냈다.
Edward L. Thorndike는 고양이 실험을 통하여(고양이가 lever에 부딪힐 때마다 먹이가 나오니 나중에는 먹이가 없어도 lever에 부딪치는 행동을 하게 됨) 시행착오 과정을 통하여 특정행동을 정착하게 된다는 시행착오이론을 형성했고 Skinner은 이 조작적 조건 형성의 개념을 사회에 적용했다.
Clark L. Hull은 심리학을 생물로서의 개체와 환경사이에 생물학적인 순응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연구하는 것으로 보았다. 여기에서 환경에의순응이 저지되면 욕구가 생기고 이 욕구 충족의 과정이 인간의 행동이라고 생각했다.
행동주의는 정신분석학에서 처럼 인간을 개나 고양이와 같이 하나의 동물적 존재로 본다. 그러나 정신분석학은 본능을 강조하지만 행동주의는 환경을 강조한다.
행동주의 상담에서는 상담의 목표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상담의 목표는 상담의 초기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정의되고 전 상담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목표 달성의 정도를 확인한다.
3) 상담 기술과 방법
A. 고전적인(Classical) 조건화에 의한 행동요법
공포, 긴장, 불안 반응에 유쾌 감정을 넣어 이완시키는 자율훈련법으로 체계적인 둔감법이 있고 집단둔감법, 자기 주장(주장행동)를 통해 마음 속에 있는 그대로를 드러내게 하는 학습방법, 성적 감정을 앙양시켜 공포, 긴장, 불안을 극복하는 방법, 그리고 긍지, 장래의 꿈, 돌일화, 닮아감, 상대방의 실패에 대한 상상과 이미지를 가짐으로써 현재의 공포를 잊거나 완화시켜 주는 정서심상법이 있다.
B. 조작적인(Operant) 조건화에 의한 행동요법
강화법=단계적으로 하나씩 칭찬해주는 shaping, 행동 직후에 보상해 주는 것, 무규칙적으로 보상해 주는 것이 있다.
사고 정지법=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지속적, 강박적, 비생산적인 불안으로 다른 일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생각을 멈추고 즐거웠던 기억을 재생하여 상쇄시킨다.
혐오요법=벌을 주어 행동을 소멸시키는 도피학습이다.강박행위, 동성애, 마약중독, 알코올 중독 등에 사용되며 벌의 방법에도 전기자극, 약물, 불쾌한 상상, 화학적 혐오 등 여러가지가 있다.
소거법=무시를 통해서 행동을 사라지게 한다. 예, 응석부리는 아이에게 아무런 대꾸도 하지 않으면 그 응석이 없어진다.
C. 행동 카운셀링
구성강화법(structuring and reinforcement): 목표 구성을 정한 다음 하위 목표를 차례로 실천하게 함.
역할 연기 강화법(role play): 내담자에게 현실적 장면이나 연국적 장면을 통하여 역할행동을 시킴으로써 이상행동을 적응행동으로 바꾸는 것이다. 이 때는 분위기 조성, 역할수행, 피드백, 일반화의 단계를 거친다.
행동계약법: 둘 사이에 계약을 정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준다.
강화법(reinforcement): 강화대상(칭찬대상)을 설정하고 일정기간동안 거기에 초점을 맞추고 그 행위가 발생하면 즉시 현장에서 칭찬한다.
4. 논리요법 상담론
1) 개요
초기에 RET(rational emotive therapy)로 일컬어지다가 지금은 REBT(Rational-Emotive-Behavior!al Therapy)로 발전되어 인지, 정서, 행동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Ellis는 감정을 언어기술(감정=언어)로 본다. 자기의 비논리적인 문장 기술을 의식화하면서 그것을 논리적인 문장 기술로 고쳐야 한다. 따라서 상담자는 설득자, 세뇌자가 되어야 한다.
2) 기본철학과 주요 개념
사람은 합리적이며 올바른 사고와 비합리적이고 올바르지 못한 사고를 둘 다 할 수 있다고 전제 한다. 사고의 결과로 정서가 나타난다. 정서적 장애는 비합리적이며 비 논리적인 신념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내담자에게 합리적인 생각을 갖도록 도와서 보다 적절한 정서와 행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핵심과제다.
Ellis의 상담이론의 행심은 A-B-C-D-E로 나타낸다.
A. 선행사건(activating event): 개인에게 사고나 정서적 혼란을 일으키는 어떤 사건을 말한다.
B.신념체계(belief system): 어떤 사건이나 행위와 같은 환경적 자극에 대하여 개인이 갖게 되는 정서 또는 사고 방식이다.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이 있다.
C.결과(consequence): 선행사건을 접했을 때 비합리적인 태도 내지 사고방식을 가지고 그 사건을 해석함으로써 느끼게 되는 정서적 결과를 말한다. 대개의 경우 불안, 원망, 비판, 죄책감 등의 감정을 느낀다.
D.논박(dispute): 자신이 가진 비합리적인 신념이나 사고에 대하여 도전해보고 과연 사리에 맞는지 다시 한번 검토하도록 상담자가 촉구하는 것을 말한다.
E.효과(effect): 논박의 결과로 합리적 신념으로 대치된 다음 느끼게 되는 자기 수용적인 태도와 긍정적인 감정의 결과를 지칭한다.
3) 상담의 기술과 방법
a. 인지적 기법: 비합리적인 신념을 논박하고 그런 신념이 약화될 때까지 "해야 한다"거나 "절대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라는 당위를 반복적으로 반박한다. 그리고 당위적 신념을 약화하기 위해 내담자에게 과제를 부여하고 재담자의 언어를 변화시키는데, "당연히 해야 한다."는 절대적인 말보다는 "그렇게 되면 더 낫다."는 상대적 언어로 바꾸어 간다.
b. 정서적 기법: 논리적인 상상을 통해서 부적절한 혼란감을 적절한 것으로 변화시킨다. 또한 역할 연기에는 정서적 요소와 행동적 요소가 모두 포함되는데 이를 통해서 자신의 감정을 바꾸고 자신이 할 수 있는 행동이 무엇인지를 인식하게 한다. 다른 사람의 비난에 대하여 수치심을 느끼지 않도록 연습을 통해 수치심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적절한 유머를 사용하여 문제 상황으로 이끄는 과장된 사고에 논박하는 효과를 낸다.
c. 행동적 기법: 행동적 과제를 부과하고 비능률적인 습관을 버리게 하고 합리적인 인간이 되어 버린 겇럼럼 여ㄴ출하여 합리적인 생각과 행동을 하도록 지시해 본다. 이것을 고정역할치료(fixed role therapy)라 한다.
5. 형태요법 상담론
1) 개요
Fritz Salmon Perls(1893-1970)에 의해 창안된 상담 및 심리치료의 방법으로 '게스탈트상담론'이라고 불린다.
Gestalt 심리학에서 강조하는 전체성이나 완성에 관심을 가지며, '전체로서의 유기체'를 다루고 '여기 그리고 지금(here and now)'에 초점을 둔다. 이는 경험의 즉각성, 비언어적 표현, 말보다는 행동을 강조하는 실존주의의 한 방법이다.
심리상담의 기봅 목표는 내담자가 자신의 경험과 행동을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을 통해서 변화가 일어난다. 이 접근은 내담자의 현실지각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현상학적이며 사람이 항상 자신을 창출, 개선, 재발견하는 과정에 있다고 보는 점에서 실존적이다. 그리고 내담자는 상담자와 상호적인 관계를 갖게 되면서 내담자는 "무엇을""어떻게"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지를 이해하게 된다는 점에서 경험적이다.
2)기본철학과 주요 개념
인간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유의지를 갖고 있어 자기 행동에 대하여 책임을 질 수 있다. 그리고 선천적인 자아실현을 향한 경향성을 가지고 있어 모든 측면에서 미완성된 상태에서 완전한 완성의 상태로 나아가는 하나의 형태(Gestalt)를 형성하려고 한다. 이때 형태란 모든 유기체가 전체 혹은 완성을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는 항구적이고 보편적인 인간 기능화의 법칙을 의미한다.
현재는 유일한 실재로서 '여기 그리고 지금'을 제외하고는 아무 것도 우리에게 존재하지 않는다. 즉 지나간 과거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미래는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과거에 대한 기억이나 미래에 대한 기대는 오직 현재의 시기에서만 경험된다.
'여기 그리고 지금'의 사람이 심리적으로 건강의 최고 상태에 도달한 사람이다.
참고: Gestalt심리학에서는
(1) 귀로 듣고 눈으로 보는 외면적 사물에 관심을 갖는다.
(2) 전체는 부분의 총화이상의 것이다.
(3) 주어진 상황에서 Gestalt를 만들지 못하거나 오직 하나 밖에 만들지 못할 때 그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행동을 하게 된다.- Gestalt의 고착화(one pattern 인간)
(4) 건전한 인격이란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Gestalt를 형성할 수 있는 인간이다.
(5) Gestalt요법은 게스탈트를 못만들거나 한 패턴만 남드는 자에게 Gestalt를 창조할 수 있는 장을 부여하는 것이다.
3) 상담방법과 기술
a.자기표현에 책임지기: 자신의 감정과 행동에 대한 책임을 부여한다.
b.빈의자(empty chair) 기법: 빈의자를 이용하여 자신이 자각하고 잇는 자아의 여러 다른 측면을 빈 의자에 투사한다. 때로는 의자를 어떤 대상인물로 가정하고 그 인물과 대화를 시도하기도 한다.
c.뜨거운 자리(hot seat): 흔히 도마위에 앉은 식의 연출을 통해 자신의 뜨거운 문제(해결해야 할 문제)를 이야기 한다.
d.지금, 어떻게: 문제를 회피하는 대신 지금 그 문제를 직면함으로써 어떻게 할 것인가를 생각하고 문제를 극복하게 한다.
e.차례로 돌아가기(making rounds): 집단구성원들이 각각 돌아가면서 자신의 한 측면을 말하고 다른 사람들이 그에대하여 생각한 바를 말하게 한다. 그래서 자신의 다른 측면을 발견하게 한다.
f.고마움과 원망 표현하기
g.질문형을 진술형으로 바꾸어 말하기
h.역할전환: 거절을 못하는 사람에게 자기주장훈련을 시킨다.
i. 미완성의 과제 완성하기: 과거의 일을 현재의 사고와 감정 속에서 회상하게 하는 기술이다.
6. 교류분석 상담론
1) 개요
이 상담론은 "의사거래 분석상담론"(TA:Transaction Analysis)이라고 부를 수 있다. Eric Berne(1910-1970)이 창시자이고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일상용어로 이해하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인 평이성을 갖고 있다. 인간은 자율적인 존재로서 자신의 생활, 감정, 행동에 대한 선택하고 책임을 질 수 있는 존재이다.
2) 기본철학과 주요 개념
인간행동의 동기가 자극의 욕구, 구조의 욕구(자국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할 때 욕구충족을 위하여 사회적 상황을 만들어내고 구조화하려는 욕구:차단, 의식, 소일, 활동, 게임, 친밀관계), 그리고 허용이나 금지령, 생활자세와 같은 자세의 욕구에 있다.
상담의 과정에서 상담자와 내담자는 계약(상담목표)을 체결하고 구조분석을 통하여 자아 상태를 이해하고(어버이 자아, 어른 자아, 어린이 자아의 분석), 내담자가 다른 사람과 어떤 유형의 교류(의사거래)를 하고 있는지 분석하며, 내담자가 사용하는 게임이나 각본을 분석하고 재결단의 과정을 통해서 각본을 바꾸도록 한다.
3) 상담의 기술과 방법
a.상담분위기를 조성: 상담자는 허용적 분위기와 보호(내담자에 대한 지지)의 자세를 갖고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잠재력)을 갖춘다.
b.조작(상담의 구체적인 기술): 질의, 특별세부반응, 맞닥뜨림, 설명, 실증, 확립, 해석, 구체적 종결 그리고 두의자 기술을 사용한다.
7. 현실요법 상담론
1) 개요
현실요법(Reality Therapy:RT)은 1950년대 WilliamGlasser에 의하여 소개되었다. 인간은 모두 성장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이 힘이 우리의 환경을 통제하면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성공적인 정체감'을 발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자기 행동에 대한 책임 곧 현재 진행중인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상담은 내담자가 현실을 직시하고 자기 자신이나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성공적인 정체감을 획득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2) 기본철학과 주요개념
인간은 자신을 성장시키려는 힘을 가지고 있고 자기 결정이 가능한 존재이다. 따라서 자신이나 환경을 통제할 수 있고 자신에 대하여 책임을 질수 있어야 한다. 자신의 환경을 통제하는 과정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지각체계, 행동체계에 의한다.
현실요법상담에서는 자신의 정체감을 중요하게 여긴다. 상담의 기본이 되는 것은 개인적인 책임이고 현실이 강조된다. 현실적인 상황에서 책임을 지는 사람에게는 옳고 그름과 같은 가치판단 기준이 매우 중요한 푯대가 된다.
3) 상담기술과 방법
(1) 내담자와 개인적인 유대관계 맺기(creat a relation)
(2) 내담자의 감정보다는 현재 행동에, 과거보다는 현재에 초점 두기(focus on current behavior!)
(3)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고 판단하도록 돕기(invite client to eval!!uate his/her behavior!)
(4) 책임있게 행동하는 계획세우기(make a plan of action )
(5) 내담자가 책임있는 행동단계를 결성하고 서약하도록 돕기(get commitment)
(6) 내담자가 계획을 수행 또는 완수하지 못한 경우 변명을 허용않기(refuse to accept excuse)
(7) 처벌을 사용하지 않기(refuse to use punishment)
(8) 절대 포기하지 않기(refuse to give up)
8. 의미요법 상담론
1) 개요
Victor E. Frankl(1905- )은 자신의 집단수용소(1942-1945) 생활의 경험관 관찰을 통해서어떤 최악의 상황에서도 인간은 정신적 자유와 마음의 독립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인간 존재의 본질은 의미와 목표를 추구하는 것으로 우리는 가치(사랑이나 과업의 성취와 같은) 를 추구함으로써, 그리고 고통을 체험함으로써 의미를 배울 수 있다고 하였다.
의미요법은 일정한 이론적 체계를 갖는 것이 아니고 실존주의 사상의 영향에서 개인으로 하여금 다른 사람속에서 살고, 고통을 받고, 사랑하면서 그런 것들을 통해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는 데 도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2) 기본 철학과 주요 개념
실존주의 철학의 기본 주제로서 "나는 어떤 사람인가, 나는 어떠한 사람이었는가, 나는 어떠한 사람이 될 것인가, 나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와 같은 의문을 제기하고 인간 조건의 기본 영역으로 (1)자기 인식의 능력 (2) 자유와 책임 (3) 자신의 정체감의 발견과 다른 사람과의 관계 (4) 의미, 목적, 가치, 목표의 추구 (5) 삶의 조건으로서의 불안 (6) 죽음과 비존재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고 있다.
3) 상담기술과 방법
사용되는 기술로는 다음과 같다. (1) 역설적 지향: 불안신경증과 공포는 두려움을 야기시킨다. 이 경우 순간적으로 공포를 예상하도록 요구하거나 격려하여 그러한 상황에서 자신의 태도를 바꾸도록 한다. (2) 반성제거: 무시를 통하여 내담자의 인식이 적극적인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돕는다.
상담단계에서 먼저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상황대응이 이루어지고 다음으로 증상을 인식하고 원인을 탐색하고 원인과 증상의 관계성을 발견하고 반성제거 혹은 역설지향을 취급한다. 마지막으로 몇가지 사후지도를 행한다.
참고도서: 김형태, [21세기를 위한 상담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2005.
기타 참고: 제랄드 코리,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스그마프레스(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