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OECD 회원국 중 자살률 1위
S. Korea tops suicide rate among OECD members
지난 3년간 약 40,000명의 한국인이 자살로 사망: 데이터
코리아타임스/2023년 10월 11일
Nearly 40,000 Koreans die by suicide over past 3 years: data
The Korea Times/October 11, 2023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4/02/113_360882.html
지난 3년간 한국인 4만여 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특히 젊은 세대의 자살률이 증가한 것으로 수요일 발표됐다.
Nearly 40,000 Koreans took their own lives over the past three years, with the suicide rate increasing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data showed Wednesday.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이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총 39,453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A total of 39,453 people killed themselves from 2020 to 2022, according to data from the health ministry and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submitted to Rep. Baek Jong-hean of the ruling People Power Party.
이는 같은 기간 코로나19 사망자 32,156명보다 많은 수치다.
The tally was greater than the 32,156 COVID-19 deaths recorded over the same period.
자살률은 2022년 인구 10만 명당 25.2명으로 최근 5년간 소폭 감소했지만 10대와 20대의 자살률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The suicide rate has slightly decreased over the past five years to 25.2 people per population of 100,000 in 2022, but the suicide rate of teenagers and those in their 20s has been showing an upward trend.
10대 자살률은 2018년 인구 10만 명당 5.8명에서 2022년 7.2명으로 증가했고, 20대 자살률은 같은 기간 17.6명에서 21.4명으로 증가했다.
The teenage suicide rate rose from 5.8 per 100,000 individuals in 2018 to 7.2 in 2022, while the rate for those in their 20s rose from 17.6 to 21.4 over the same period.
자살 시도 횟수도 증가했다.
The number of suicide attempts also increased.
지난해 자해를 하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다 응급실을 찾은 사람은 36,754명으로 2012년 21,875명에 비해 68% 증가했다.
Last year, 36,754 people visited an emergency room after hurting themselves or trying to take their own lives, up 68 percent from 21,875 in 2012.
백 의원은 "정부는 자살을 국가재난으로 선포하고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The government should declare suicide as a national disaster and put in all-out efforts to fight it," Baek said.
국내 우울증 환자 100만 명 돌파 : 자료
코리아헤럴드/2024년 1월 10일
No. of depression patients surpasses 1m in Korea: data
The Korea Herald/January 10, 2024
https://news.koreaherald.com/view.php?ud=20240110000615&md=20240206104145_BL
2022년 국내 우울증 환자가 100만 명을 넘어섰다는 통계가 수요일 발표됐다.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epression in Korea surpassed the 1-million mark in 2022, data showed Wednesday.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우울증 치료를 받는 환자 수가 매년 증가했다. 우울증 치료를 받은 환자는 2018년 75만 3,011명, 2019년 79만 9,038명, 2020년 83만 2,329명, 2021년 91만 5,294명이다. 2022년에는 처음으로 100만 명을 돌파해 2018년보다 32.8% 늘어난 100만32명을 기록했다.
According to data released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he number of patients treated for depression has increased every year in the past five years. In 2018, 753,011 patients were treated for depression, 799,038 patients in 2019, 832,329 patients in 2020 and 915,294 patients in 2021. In 2022, the number surpassed the 1 million mark for the first time, recording 1,000,032 -- a 32.8 percent jump from 2018.
환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병원에서 우울증 치료에 사용된 돈은 2022년에 총 5,378억 원(4억 7,700만 달러) 증가했다. 이는 2018년 이후 60% 이상 급증한 수치다. 한 개인이 치료비로 지출한 평균 돈은 538,000원이었다.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patients, the money spent on treatments for depression in hospitals rose by a total of 537.8 billion won ($407 million) in 2022. This is a surge of over 60 percent since 2018. The average money an individual has spent on treatment stood at 538,000 won.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증을 더 많이 앓고 있으며, 여성 환자가 남성 환자의 2배 이상을 기록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우울증 치료를 받은 여성은 674,050명, 남성은 325,982명이었다.
Women suffered from depression more than men, with the number of female patients recording more than double the number of male patients. According to the data, 674,050 women were treated for depression in 2022, compared to 325,982 men.
한국 어린이 우울증 급증
코리아헤럴드/2023년 9월 7일
Depression surges among children in Korea
The Korea Herald/September 7, 2023
https://www.koreaherald.com/view.php?ud=20230907000562
한국 어린이들의 우울증 발병률이 5년 만에 두 배로 증가했고, 같은 기간 800명 이상의 초·중·고등학생들이 목숨을 끊었다고 목요일 자료가 밝혔다.
The incidence of depression in South Korean children has doubled in five years, and more than 8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ere took their lives over the same period, data showed Thursday.
교육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우울증 치료를 받은 6∼11세 아동은 2018년 1,849명에서 2022년 3,541명으로 91.5% 급증했다.
According to data submitted to Rep. Kim Won-i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by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number of children aged between 6 and 11 who were treated for depression surged 91.5 percent, from 1,849 in 2018 to 3,541 in 2022.
같은 기간 15~17세 청소년 24,588명, 12~14세 어린이 9,257명이 우울증 진단을 받았다. 통계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우울증을 앓고 있는 어린이의 총수가 6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ome 24,588 teens between the ages of 15 and 17 and 9,257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12 and 14 were diagnosed with depression in the same period. The figure also showed the total number of children grappling with depression went up by 60.1 percent from 2018 to 2022.
많은 어린이들이 우울증에 시달리는 것 외에도, 이 나라에서는 어린이 자살 건수도 급증했다.
Apart from depression befalling many children, the country also saw a surge in the number of child suicide cases.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총 822명의 초·중·고등학생이 자살로 사망했다. 연도별로는 2018년 144명, 2019년 140명, 2020년 148명, 2021년 197명, 2022년 193명이 목숨을 끊었다.
A total of 82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ied in apparent suicides from 2018 to 2022. By year, 144 kids took their lives in 2018, 140 in 2019, 148 in 2020, 197 in 2021 and 193 in 2022.
우울증을 앓고 있는 10대와 20대들로 가득 찬 한국의 정신병동.
조선일보/2024년 1월 30일
Psychiatric wards in Korea filled up with depressed teens and 20-somethings
Chosun Ilbo/January 30, 2024
https://www.chosun.com/english/national-en/2024/01/30/CQOYDCA4DRHJPJ6BFJUVL3367A/
대구에 사는 중학생 신모(14) 씨는 수년간 게임에 중독됐다. 그는 밤새도록 방에서 게임을 했다. 그는 늘 학교에 지각했고, 친구들은 그를 '게임 오타쿠'라고 부르며 놀렸다. 신 씨는 자신이 불필요한 사람이라고 자책했다. 지난해 말 심한 우울증 진단을 받고 대학병원 정신병동에 입원하려 했으나 빈자리가 없어 이번 달에야 입원할 수 있었다.
Shin (14), a middle school student in Daegu has been addicted to gaming for years. He stayed up all night in his room playing games. He was always late for school, and his friends teased him, calling a “game otaku(maniac)”. Shin blamed himself for being “someone unnecessary.” Late last year, he was diagnosed with severe depression and tried to be admitted to a psychiatric ward at a university hospital, but there were no vacancies, and he was only admitted this month.
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신의진 교수는 29일 “과거 성인 조현병 환자들을 수용하던 세브란스 폐쇄 병동 30개가 최근은 10~20대 청소년들로 가득 차 있다”며 “그들 대부분 우울증이 심해져 자해나 자살을 시도한 아이들”이라고 말했다.
“The 30 closed wards at Severance Hospital, which used to house adult schizophrenia patients, are now filled with teens and 20s,” Shin Yee-jin, a professor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t Severance Hospital, said on Jan. 29. “Most of them have become so depressed that they have attempted self-harm and suicide.”
우울증, 자해, 기타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10대와 20대가 늘어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7년 기준 10~20대 정신과 입원 환자는 13,303명으로 전체 환자의 14.6%에 달한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16,819명(22.2%)으로 5년 만에 10% 포인트 가까이 늘었다.
The number of teens and 20s suffering from depression, self-harm and other mental illnesses is on the rise.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ere were 13,303 psychiatric hospitalizations for teens and 20s in 2017, or 14.6% of all patients. But last year, the number rose to 16,819 (22.2%), an increase of nearly 10 percentage points in five years.
증가 속도도 가파르다. 국립중앙의료원에 따르면 2021년 6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자해 및 자살 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43,268명 중 46%(19,972명)가 10세~29세였다. 최근 5년간 전체 자해·자살 시도자가 11.7%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10대와 20대는 각각 52.5%, 68.9% 급증했다.
The rate of increase is also steep. According to the National Medical Center, 46%(19,972) of the 43,268 people who came to the emergency room for self-harm and suicide attempts between June 2021 and June 2022 were aged 10 to 29. While the overall number of self-harm and suicide attempts increased by 11.7%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number of teens and 20s who harmed themsleves jumped by 52.5% and 68.9%, respectively.
이들이 자해·자살을 시도한 가장 큰 원인은 ‘정신건강 문제(44.1%)’였다. 그런데도 부모들 중엔 정신과 치료에 대한 편견 등으로 “우리 애는 사춘기일 뿐 문제없다”는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The most common reason for these attempts was “mental health problems” (44.1%). Nevertheless, it is not uncommon for parents to say, “My child is just going through puberty and there is nothing wrong with him(her),” due to prejudices against psychiatric treatment.
최근 우울증 환자도 10대와 20대에서 가장 빨리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울증 등으로 인한 공격·충동 성향이 안으로 발현하면 자해, 밖으로 나타나면 범죄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eople with depression has been increasing the fastest among these age groups. Experts said, “The aggressive and impulsive tendencies caused by depression often lead to self-harm when expressed internally and crime when expressed externally.”
요즘 10대와 20대 사이엔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기 신체 일부를 훼손한 사진, 일명 ‘자해 전시’ 사진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환각 효과를 일으킨다고 소문난 특정 감기약을 다량 복용해 응급실에 실려 간 ‘약물 자해’ 후기도 넘쳐난다.
It’s not uncommon that the mentally vulnerable young generations share photos of self-injury on social media, which is called “self-harm displays”. Drug abuses among this certain age group are also frequently reported. It is said many teens and 20s take large amounts of a certain cold medicine that is rumored to have hallucinogenic effects and end up in the emergency room.
한국에서 공황장애 환자 급증
아주코리아데일리(영문)/2023년 4월 14일
Number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rapidly increases in S. Korea
Aju Korea Daily(English)/April 14, 2023
https://www.ajudaily.com/view/20230414165337071
서울 -- 한국은 2017년에서 2021년 사이에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공황장애 환자 수는 2021년 205,540명으로 5년 전보다 44.5% 급증했다. 불안장애는 환자가 치료를 미루거나 다양한 스트레스에 자주 노출되면 심각해진다.
SEOUL -- South Korea experienced a sharp rise in the number of patients suffering from panic disorder between 2017 and 2021. The number of people with panic disorder skyrocketed to 205,540 in 2021, up 44.5 percent from five years ago. The anxiety disorder becomes severe if patients delay receiving medical care or if they are frequently exposed to various types of stress.
이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종종 극도의 불안과 두려움에 시달린다. 심장 두근거림, 식은땀, 몸 떨림, 가슴 통증을 동반한 공황 발작이 발생할 수 있다.
People with the disorder often suffer from extreme anxiety and fear. Panic attacks accompanied by heart palpitations, cold sweats, body tremors, and chest pain can take place.
국민건강보험공단이 4월 1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이 질환 환자의 연평균 증가율은 9.6%였다. 2017년 64,662명이던 남성 환자 수는 2021년 89,273명으로 급증했다. 2021년 이 질환을 앓고 있는 여성의 수는 111,267명으로 2017년보다 50.2% 증가했다.
Data releas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on April 13 showed that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for patients with the disorder was 9.6 percent from 2017 to 2021. The number of male patients, which stood at 64,662 in 2017, soared to 89,273 in 2021. The number of women with the disorder was 111,267 in 2021, up 50.2 percent from 2017.
40대 환자가 23.4%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그 뒤를 이었다. 2021년 기준으로 해당 질환으로 인한 총진료비는 910억 원(7,000만 달러)에 이른다.
Patients in their 40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with 23.4 percent, followed by those in their 50s. As of 2021, the total medical expenses for the disorder reached 91 billion won ($70 million).
한국 ADHD 인구 5년 새 5배 증가
코리아 바이오메디칼 리뷰/2023년 3월 7일
S. Korea’s ADHD population increased 5-fold in 5 years
Korea Biomedical Review/March 7, 2023
https://www.koreabiomed.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95
한국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가 2021년 10만 명을 넘어섰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S. Korea exceeded 100,000 in 2021, a report showed.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7년부터 2021년까지 ADHD 건강보험 진료 현황 자료에 따르면 ADHD 환자는 2017년 53,056명에서 2021년 102,322명으로 약 2배 증가했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ADHD health insurance treatment status data from 2017 to 2021, the number of ADHD patients has nearly doubled from 53,056 in 2017 to 102,322 in 2021.
특히 5년간 여성 ADHD 환자 증가율은 182.8%로 남성의 70.4% 증가에 비해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Notably, the increase rate for women ADHD patients was steep, with 182.8 percent over the five years, compared with men’s 70.4 percent increase.
연령별로는 10대가 41.3%(42,265명)로 가장 많았고, 9세 이하(23.8%), 20대(21.6%), 30대(9.4%) 순이었다.
By age group, teenagers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with 41.3 percent (42,265), followed by those under nine (23.8 percent), those in their 20s (21.6 percent), and those in their 30s (9.4 percent).
청소년과 어린이가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지만 20대 이상 성인이 34.9%를 차지했다.
Although teenagers and children form the overwhelming majority, adults in their 20s and older accounted for 34.9 percent.
최근 5년간 ADHD 환자가 급증하면서 총진료비도 크게 증가했다.
As the number of ADHD patients has increased rapidly over the past five years, total medical expenses have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2021년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ADHD 관련 의료비는 총 870억 원(6,690만 달러)으로 2017년(379억 원)보다 29.5% 증가했다.
In 2021, ADHD-related medical expenses covered by health insurance totaled 87 billion won ($66.9 million), up 29.5 percent from 2017 (37.9 billion won).
충격적인 방화, 살인
코리아타임스/2019년 4월 17일
Shocking arson, murder
The Korea Times/April 17, 2019
https://www.koreatimes.co.kr/www/opinion/2019/04/202_267345.html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7년 조현병 환자는 107,662명으로 2012년 100,980명보다 6.6%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우리 사회의 사회경제적 여건으로 인해 그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말한다. 심지어 자신의 병을 숨기는 환자가 많아 실제 환자 수가 이미 500,000명을 넘었다고 추정하기도 한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re were 107,662 patients suffering from schizophrenia in 2017, up 6.6 percent from 100,980 in 2012. Experts say the number has continued to climb due to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of our society. They even presume that the real number has already surpassed 500,000 as many patients hide their illness.
※ 국가인권위원회에 따르면 한국에서 조현병 환자가 입원한 기간은 연평균 303일로 2016년 OECD 평균 50일의 6배에 달한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the average number of hospitalization days for schizophrenia patients in South Korea is 303 days per year, six times the OECD average of 50 days in 2016.
2015년 기준 정신질환자의 평균 재원 기간은 한국 252일, 프랑스 4일, 이탈리아 16일, 독일 33일, 영국 98일로 한국의 정신의료기관 평균 재원 기간이 OECD 국가 평균에 비해 장기화하고 있다. As of 2015, the average hospitalization period for mentally ill patients was 252 days in South Korea, 4 days in France, 16 days in Italy, 33 days in Germany, and 98 days in the United Kingdom. The average hospitalization period in mental health facilities in South Korea is longer than the average in OECD countries. 비자발적 입원율도 33.6%로 높은 편이며, 퇴원 후 재입원 비율도 OECD 국가 평균의 2배에 달한다. The involuntary hospitalization rate is also high at 33.6%, and the readmission rate after discharge is twice the average of OECD countries. |
'정신병원에서 20대를 낭비했다’
코리아타임스/2017년 5월 28일
'I wasted my 20s in mental hospital’
The Korea Times/May 28, 2017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18/11/119_230155.html
여성 안모(34)씨는 2006년 경기도의 한 정신병원에 입원해 2014년까지 8년간 입원했다.
A woman surnamed Ahn, 34, was admitted to a mental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in 2006 and stayed there for eight years until 2014.
안씨는 “어느 날 회사 근처 기숙사에 있는데 집에 오라고 부르는 어머니의 목소리를 들었다”고 말했다. "집에 달려가서 엄마에게 물어봤는데 엄마는 걱정스러운 표정을 지으며 나를 부르지 않았다고 말했다."
"One day, when I was in my dormitory near my work, I heard my mother's voice, calling me to come home," Ahn said. "I rushed home and asked my mom about it. But she said, with a worried look on her face, she did not call me."
안씨와 어머니는 정신병원을 찾았고, 의사는 환청 등 정신분열증 진단을 내렸고 당장 입원 치료가 필요하다고 했다.
Ahn and her mother went to a psychiatric hospital and a doctor diagnosed her with schizophrenia, symptoms of which include auditory hallucinations, saying she needed immediate hospitalization.
그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었다"며 "엄마가 의사 앞에서 얼마나 당혹스럽고 부끄럽고 죄책감에 사로잡혔는지만 기억한다"며 "나 때문에 엄마가 다른 사람에게 그런 식으로 행동하는 것을 원치 않았다"고 말했다.
"There was nothing I could do. All I remember was how embarrassed, ashamed and guilty my mom looked in front of the doctor. I didn't want my mom being that way to another person because of me.“
약 100명의 여성을 수용하는 감금 시설에서 그녀가 바랐던 것은 밖으로 나가 햇빛을 보는 것, 차갑고 녹슨 쇠창살 뒤에서 잠시 벗어나는 것뿐이었다.
At the confinement facility that housed about 100 women, all she hoped for was to go outside to see the sunlight, to leave just for a short while from behind the cold, rusty iron bars.
한국의 자살률은 OECD 국가 중 1위다.
South Korea's suicide rate is first among OECD countries.
왜 한국인이 세계에서 자살을 가장 많이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Why do you think South Koreans commit suicide the most in the world?
당신은 왜 한국의 자살률이 다른 나라보다 높은지 의아해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 이유가 떠오르겠지만, 무선주파수 무기(마이크로파)의 존재에 대해 알게 되면 곧바로 이해하게 될 것이다.
You may wonder why South Korea's suicide rate is higher than other countries, and many reasons may come to mind, but once you know about the existence of radio frequency weapons (microwaves), you will immediately understand.
유튜브나 구글만 검색해도 무선주파수 무기(마이크로파)의 존재를 증언하는 내부고발자들과 인체실험에 대해 증언하는 세계 각국의 피해자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970년대부터 유력 언론매체들이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무선주파수 무기(마이크로파)의 위험성을 보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Just by searching YouTube or Google, you can find whistleblowers testifying to the existence of radio frequency weapons (microwaves) and victims from around the world testifying about human experimentation. Additionally, it can be confirmed that leading media outlets have reported the dangers of radio frequency weapons (microwaves) affecting the human body since the 1970s.
2020년 UN 인권위원회는 무선주파수 무기(마이크로파)에 의해 고통받는 세계 각지의 피해자들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In 2023, the UN Human Rights Committee investigated victims from around the world suffering from radio frequency weapons (microwaves) and wrote a report on it.
미국 정보기관(정보기관 요원)은 한국에서 무색·무취의 무선주파수 무기(마이크로파)를 사용해 표적이 된 개인(한국인)을 고문한다. 그들은 세계에서 가장 가혹하고 잔인하게 표적이 된 개인(한국인)들을 고문하고 있다. 비유하자면 고문 가해자(미 정보기관 요원)는 권총사격장에서 기관총으로 표적을 난사하고 있다.
Just by searching YouTube or Google, you can find whistleblowers testifying to the existence U.S. intelligence agencies (intelligence agents) use colorless and odorless radio frequency weapons (microwaves) in South Korea to torture targeted individuals (South Koreans). They are torturing some of the most harshly and brutally targeted individuals( South Koreans) in the world. To use an analogy, the torturer (a U.S. intelligence agency agent) is shooting a target with a machine gun at a pistol shooting range.
고문 가해자(미 정보기관 요원)는 무선주파수 무기(마이크로파)를 이용해 표적 된 개인(한국인)의 신경계(뇌신경 12쌍, 척수신경 31쌍), 호르몬(내분비계, 외분비선), 신경전달물질(시냅스소포)에 공명을 발생시킨다. 그들은 표적 된 개인(한국인)의 신체 각 부위에 수십 가지의 각종 급성 증상을 동시에 일으킨다. The torturer (U.S. intelligence agents) use radio frequency weapons (microwave) to generate resonance in the targeted individual's nervous system (12 pairs of cranial nerves, 31 pairs of spinal nerves), hormones (endocrine system, exocrine glands), and neurotransmitters (synaptic vesicles). They simultaneously cause dozens of acute symptoms in each part of the body of the targeted individual (South Koreans). |
한국은 오래전부터 미국 정보기관(CIA. NSA)이 비밀리에서 사용하는 무선주파수 무기(마이크로파)의 인체 실험장이었다.
South Korea has long been a human testing ground for radio frequency weapons (microwaves) secretly used by U.S. intelligence agencies (CIA and NSA).
미국 정보기관(CIA. NSA)은 지역별, 성별, 연령별, 직업별로 인구 비율을 고려해 인체실험 대상자를 선정한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미 정보기관이 비밀리에 사용하는 무선주파수 무기(마이크로파)의 표적이 될 수 있다. 심지어 자궁 속의 태아도 인체실험 대상자가 된다.
U.S. intelligence agencies (CIA and NSA) select human experiment subjects by considering the population ratio by region, gender, age, and occupation. Therefore, anyone can be a target of radio frequency weapons (microwaves) secretly used by U.S. intelligence agencies. Even fetuses in the womb become subjects of human experiments.
미 정보기관이 비밀리에 운영하는 무색·무취의 무선주파수 무기(마이크로파)의 표적이 되는 순간 당신은 죽을 때까지 각종 인체실험의 대상자가 된다.
The moment you become the target of a colorless and odorless radio frequency weapon (microwave) secretly operated by the U.S. intelligence agency, you become the subject of various human experiments until you die.
한국에서 개인이 미 정보기관이 사용하는 무선주파수 무기(마이크로파)의 표적이 될 확률은 최소한 1/100이다. 이는 한국인 100명 중 1명이 무선주파수 무기(마이크로파)의 표적이 된다는 의미이다.
In South Korea, the probability of an individual becoming a target of radio frequency weapons (microwaves) used by U.S. intelligence agencies is at least 1 in 100. This means that 1 in 100 South Koreans will be targeted by radio frequency weapons (microwaves).
우려되는 점은 지속적인 서버 증설로 인해 개인이 무선주파수 무기(마이크로파)의 표적이 될 확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What is concerning is that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s being targeted by radio frequency weapons (microwaves) is increasing due to the continuous expansion of servers.
첫댓글 한국 T.I가 최소 500000이고 계속 늘어날것이고~
25000000이 돼야 소리가 들릴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