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북한, 전날 신포 인근 해상 잠수함서 미사일 시험 발사”···북한 매체 “전략순항미사일 발사”
합참, 하루 뒤인 13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공지
13일부터 시작된 한·미연합연습 겨냥한 듯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를 열어 ‘전쟁억제력’의 공세적 활용을 위한 조치들을 논의 결정했다. 조선중앙TV 화면
북한이 전날 잠수함에서 기종이 확인되지 않은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합참)가 13일 밝혔다.
합참은 이날 오전 출입기자단에 보낸 문자 공지를 통해 “군은 12일 오전 북한 신포 인근 해상 북한 잠수함에서 시험 발사한 미상 미사일을 포착했다”면서 “세부 제원은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분석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군은 감시 및 경계를 강화한 가운데, 한·미간 긴밀하게 공조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13일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도 “12일 새벽 잠수함 ‘8·24 영웅함’이 동해 경포만수역에서 2기의 전략순항미싸일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신문은“2기의 전략순항미싸일은 조선동해에 설정한 1500㎞계선의 거리를 모의한 ‘8’자형 비행궤도를 7563~7575초간 비행하여 표적을 명중타격했다”고 전했다. 또 “이번 발사훈련이 무기체계의 신뢰성을 확인하고 공화국핵억제력의 또 다른 중요구성부분으로 되는 잠수함부대들의 수중대지상공격작전태세를 검열판정했다”고 했다.
북한의 이날 미사일 시험 발사는 13일부터 시작된 한·미연합연습 ‘자유의 방패(프리덤 실드·FS)’를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북한은 12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열린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에서 “전쟁억제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사하며 위력적으로, 공세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중대한 실천적 조치들을 결정했다”고 발표하면서 FS 견제에 나섰다.
한·미는 이날부터 11일간 20여 개 야외 실기동훈련을 포함한 전구급 연합연습을 한다. 양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와 달라진 안보 환경이 반영된 연습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맞춤형 연습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