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5칙 천녀이혼(倩女離魂) / 천녀 혼이 떠나다
五祖 問 僧云, 倩女離魂, 那箇是眞底.
오조 문 승운 천녀이혼 나개시진저
오조 법연 선사가 한 선승에게 물었다.
“천녀의 혼이 떠났는데 어느 쪽이 진짜인가?”
[평창(評唱)]
無門曰, 若向者裡悟得眞底, 便知出殼入殼, 如宿旅舍.
무문왈, 약향자리오득진저 변지출각입각 여숙여사
其或未然, 切莫亂走.
기혹미연 절막난주
驀然地水火風一散, 如落湯螃蠏, 七手八脚.
맥연지수화풍일산 여락탕방해 칠수팔각
那時莫言不道.
나수막언부도
만약 여기서 진짜를 깨칠 수 있다면
껍질을 들고나는 것이 객사를 출입하는 것과 같음을 알 것이다.
그러한 이치를 모를 양이면 함부로 어지러이 날뛰지 마라.
문득 물 불 바람 흙으로 한번 흩어지면
뜨거운 물솥에 떨어진 게와 같을 것이니
손이 일곱, 발이 여덟인들 어쩔 것인가?
이때 이를 수 없다고도 말하지 마라.
[송(頌)]
頌曰. 雲月是同, 溪山各異, 萬福萬福, 是一是二.
송왈 설운시동 계산각이 만복만복 시일시이
구름과 달은 같고
개울과 산은 각기 다르다
복 많고 복 많은 이들이여
이 하나인가 둘인가
[사족(蛇足)]
이제 무문관도 종반을 접어들었다.
조계종 본사에서 늦게나마 화두해설집을 낸 것은
고육지계라 할 수 있지만, 어찌하겠는가?
현실여건이 뒷짐만지고 큰기침이나 하고 있으면서
화두해석은 이러니저러니 하고 있을 때
비파사나를 비롯한 유사한 수행법들이 일반화되어
대중 속을 파고든지 옛날이다.
화두선 보급을 위한 무차대회를 열어가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만은
때늦은 감은 부인할 수 없다.
여기서 본인이 굳이 간화선만을 수행법으로 주장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동안 너무 옥탑방에 가둬놓아
대중이 쉽게 접근하기가 어려웠다.
그런데다 수행도 비파사나보다 솔직히 더 어렵다.
이유야 어떻든 이제라도 해설집의 발간은
여러 측면에서 매우 반가운 일이다.
이번 칙의 천녀이혼은
앞서 선이야기 메뉴에서 다뤘던 중복된 내용 중의 하나인데
우선 천녀이혼의 얘기부터 알아야 되니
간략하게 소개하겠다.
이 화두는
당나라 시대의 전기(傳記) 소설에 나와 있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형주(衡州)에 사는 장감(張鑑)이란 사람의 장녀에
천녀라는 미녀가 있었고
장감의 외조카인 왕주(王宙)란 미남이 있어서
서로 간에 결혼을 약속한 사이였다.
그런데 장감은 후에 딸 천녀를
부잣집 아들인 빈료(賓僚)에게 출가시키기로 했다.
천녀는 한사코 이를 거절했으나
엄한 아버지의 명령이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고민하다가 그만
상사병이 걸려 병석에 눕게 되었다.
왕주도 화가 나서
고향을 떠나 멀리 타향에 가서 살기로 작정하고 배를 탔다.
강 언덕에 배가 닿으려고 할 무렵
어떤 여자가 "여보!" 하고 부른다.
왕주가 돌아보니 천녀였다.
이게 웬일이냐고 하며 두 남녀는 얼싸안고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
그후 촉(蜀)으로 가서 두 사람은 5년 동안 같이 살면서
아들을 하나 낳아 단란한 가정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던 중 천녀가
고향 부모를 그리워하며 왕주에게 말하기를
"우리가 아들까지 낳았으니
이제 와서 부모님도 어쩌지는 못하실 것이니
고향에 돌아가서 부모님께 과거를 사죄하고
정식으로 부부가 되기를 간청합시다."라고 하기에
왕주도 이에 동의하여 고향으로 돌아가기로 했다.
왕주가 배에서 내려 장인 되는 장감을 찾아뵙고
지난 일을 낱낱이 이야기했다.
그러자 장감은 깜짝 놀라며 하는 말이
"천녀는 그후 병석에 누워 있는데
그게 무슨 말이냐?"고 반문을 했다.
왕주는 그럴 리가 없다고 하며
문밖에 있는 천녀를 데려오자
병중의 천녀가 이를 맞아
두 천녀가 한 몸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여기서 오조법연(五祖法演 : 1024~1104)선사는
무문선사가 법손이 된다.
이 화두는 소설의 내용이나
육신과 영혼의 진위를 얘기하자는 것이 아니라
선(禪)의 입장에서 어떻게 보느냐는 물음이다.
선지란 상대를 떠나 절대경지의 세계란 것을 주지하면
이 요상한(?)화두도 별개 아니다.
여관을 드나들듯이 육신과 혼이 다르지 않음을 모르면,
어떠한 삶을 살았던 간에
인간이 죽으면 사대[地水火風]로 분리되어
뜨거운 물속의 게와 같이
발버둥 치며 사라질 것이니 원망치 말라.
달이 있어 구름이 있고 산과 골은 서로 다르다.
절대경지에서 보면 모두가 하나요, 차별경지는 모두 다르다.
하지만 이 두 경지 또한 다르지 않으니
하나면 어떻고 둘이면 어떤가.
그저 선지(禪旨)는 좋고 좋구나.
|